좌익=좌파=사회주의=진보... 우익=우파=자본주의=민족주의=보수...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죠.. '중도'가 들어가면 그 농도가 옅어지는 거구요. '극' 혹은 '극도'가 들어가면 그 농도가 짙어지죠. 남한 현대사에서 대표적 인물로는 좌파=>박헌영, 중도좌파=> 여운형, 중도우파=>김규식,안재홍 우파=>김구 극우=>이승만.. 정도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방법이 좀 학자와 책마다 좀 달라요 .. 제 책에는 방법1 민족주의(우익)1.우파: 자치론.타협론.기회주의.개량주의,실력양성론.참정권요구(이광수.김성수.송진우.초린)2.좌파: 반자치론.비타협론.선독립.절대독립(신성우.안재홍.권동진)와 사회주의(좌익)입니다. 즉 민족주의 우파. 민족주의 좌파. 사회주의 이렇게 셋입니다 신간회에서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의 연합이죠
방법2 좌익(박헌영, 김일성, 김원봉) 좌파(여운형,백남준) 우파(김구 김규식) 우익(안재홍 송신우 이승만) 좌우로 날개를 펴고(극과 극), 그 사이에 파벌이 형성 됐다고 이해하세요. 두가지로 하면 당연히 좌익과 우익이겠죠 아도스님 설명에서 좌익=좌파 하셨는데 상대적으로 이해하셔야 할 듯하네요...
첫댓글 좌익 우익을 나누는 개념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됬습니다.. 의회의 좌측은 사회주의 우측은 자본주의 자들이 앉았죠. 한마디로 좌익 :사회주의 우익 :자본주의 중도좌파는 좌파중에도 우파성양이 있는파 중도우파는 반대겠죠.
님 답변 고맙습니다^^
좌익=좌파=사회주의=진보... 우익=우파=자본주의=민족주의=보수...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죠.. '중도'가 들어가면 그 농도가 옅어지는 거구요. '극' 혹은 '극도'가 들어가면 그 농도가 짙어지죠. 남한 현대사에서 대표적 인물로는 좌파=>박헌영, 중도좌파=> 여운형, 중도우파=>김규식,안재홍 우파=>김구 극우=>이승만.. 정도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님 자세한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방법이 좀 학자와 책마다 좀 달라요 .. 제 책에는 방법1 민족주의(우익)1.우파: 자치론.타협론.기회주의.개량주의,실력양성론.참정권요구(이광수.김성수.송진우.초린)2.좌파: 반자치론.비타협론.선독립.절대독립(신성우.안재홍.권동진)와 사회주의(좌익)입니다. 즉 민족주의 우파. 민족주의 좌파. 사회주의 이렇게 셋입니다 신간회에서는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의 연합이죠
방법2 좌익(박헌영, 김일성, 김원봉) 좌파(여운형,백남준) 우파(김구 김규식) 우익(안재홍 송신우 이승만) 좌우로 날개를 펴고(극과 극), 그 사이에 파벌이 형성 됐다고 이해하세요. 두가지로 하면 당연히 좌익과 우익이겠죠 아도스님 설명에서 좌익=좌파 하셨는데 상대적으로 이해하셔야 할 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