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율관(黃鐘律管)
조화된 음악을 얻으려면, 악기가 바른 성음(聲音)을 낼 수 있어야 하고, 악기가 바른 성음을 낼 수 있도록 조율되려면, 율관이 필수적이다.
세종대왕이 아악정비에 뜻을 두고 악기제작을 명하자, 박연(朴堧, 1378~1458)은 먼저 해주의 거서(黍:기장)로 고설(古說)에 의거하여 황종율관을 제작했으나, 그 소리가 중국의 종(鐘)·경(磬)보다 약간 높으므로, 1427년(세종 9) 4월경 기장 모양을 따라 밀랍을 녹여 조금 큰 낟알을 만들어 황종율관을 만들었다.
1낟알을 1분으로 삼고 10낟알을 1촌으로 하여, 9촌을 황종 길이로 삼고, 원경(圓經)은 3분(分) 4리(釐) 6호(毫)의 법을 취하여, 해죽(海竹)을 잘라 만들고, 밀랍으로 만든 기장 낟알 1천 2백 개를 관(管) 속에 넣으니 진실로 남고 모자람이 없었으며, 중국의 종·경 및 당피리의 황종 소리와 서로 합치되었으므로, 이 관을 삼분손익하여 12율관을 만들었다.
1427년(세종 9) 5월에 박연이 바친 편경은 바로 이 율관으로 조율하여 만든 것이다.
세종은 중국에서 보내준 편경과 새로 만든 편경을 율관에 맞추어 보게 하고는, “중국의 편경이 과연 잘 조화되지 않고, 새로 만든 편경이 맞는 것 같다.
경석(磬石)을 얻은 것이 이미 하나의 행운인데, 지금 소리를 들으니 또한 매우 맑고 아름다우며, 뜻밖에 율관을 만들어 음(音)을 비교해보기까지 하니, 매우 기쁘다”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자연의 산물인 기장(黍)을 쓰지 않고, 밀랍으로 기장 형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황종율관의 양(量)을 쟀다는 점이 만족스럽지 않았으므로, 1430년(세종 12)에 박연은 또다시 자연산의 기장을 써서 율관을 제작했다.
기장을 재배하여 세 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기장 1200낟알이 들어가는 관을 만들어, 그 중 중국의 황종과 합치되는 것을 택하는 방법을 썼다.
당시 박연은 ‘역대(歷代)로 율관을 만들 때 기장으로 기준을 삼았으므로 일정하지 않아, 성음의 높낮이도 시대마다 차이가 있었을 것인데, 오늘날 중국의 율이 오히려 참된 것이 아니고, 우리나라의 기장이 도리어 참된 율을 얻을지 어찌 알겠사옵니까?’라며, 중국의 황종율에 맞추지 않고 독자적으로 만들 여지도 있음을 언급했지만, 바로 뒤이어 ‘율관과 도량형을 만드는 일은 천자(天子)의 일이고 제후국에서 마음대로 할 수 없으니, 중국의 황종에 합치하도록 율관을 만드는 것이 옳을 것이옵니다’라고 아뢴 것은 황종관에서 도량형이 비롯되기 때문이다.
한 문화권에서 도량형이 서로 다르면 혼란스럽게 되므로, 황종관을 독자적으로 만들 수 없는 것이다.
황종율관으로부터 도량형을 만든다는 것은 황종관을 만사(萬事)의 근본으로 삼은 것이니, 황종율은 단순한 음고(音高) 이상의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한편 대로 만든 율관은 추위와 더위에 쉽게 감응하여 볕나고 건조하면 소리가 높고, 흐리고 추우면 소리가 낮아지므로, 1430년(세종 12) 경에 기후의 영향을 덜 타는 구리로 율관을 만들어 음을 맞추기도 했다.
黃鐘[황종]
한국의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율명(律名).
12율(律)의 첫째 율이며 양률(陽律)에 속한다.
12율을 산출하는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의 기준음이 되며
율관(律管)의 길이는 대개 9치 9푼으로 한다.
황종의 음높이는 당악계(唐樂系)음악이나
제례악 등에서는 서양음악의 C음에 가깝고,
《여민락(與民樂)》 《보허사(步虛詞)》 및
가곡 ·가사 등 향악계(鄕樂系)음악에서는 E♭에 가깝다.
天道, 만파식적(龠)과 우주의 시계 黃鐘(황종)
때로는 전래동화나 설화 속에 조상들의 지혜로운 메세지가
숨겨져 있을 때가 있습니다.
바다의 용이 된 문무왕이 내려준 대나무로 만든 만파식적은
신라의 태평성대를 지켜 주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용뉴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신라의 만파식적은 세상의 다툼과 전쟁을 불식시키고
평화를 가져왔다는 상징을 가진 피리(龠=籥)입니다.
이 피리가 아름다운 에밀레 종(黃鍾)과 한 몸이 되었군요.
신라의 만파식적이 표방하고 있는 것은
다툼이 없는 평화로운 大同의 세상입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사회에서 다툼과 분쟁이 만연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不通인데,
불통이라는 가장 큰 사회적 병폐를 치료하는 방법 중에
으뜸은 <도량형>을 통일하는 것이겠지요.
하여,
국가가 바로 세워지고, 태평성대로 발돋움해가는
첫번째의 국가 대사는 도량형을 통일하는 일입니다.
도량형을 기준으로 나라의 모든 국법과 세법이 정해질 것이니까요.
옛 사람들은 항상 변함없고 어긋남이 없는 자
연의 법칙(우주와 지구의 율동)을 본받아 국가의 기본법을 세우고자
했는데,그 율동의 첫번째가 되는 一陽이 한발을 내딪고 올라오는
子月의 音을 으뜸음(黃鍾)으로 삼았습니다.
한치의 어긋남도 없이 항상한 우주의 율동을 본받은
기본법에 따라 국가가 운영된다는 것은 백성들이 곧 우주율동의
일부가 되어, 다툼이나 어긋남없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었다는 것이었겠죠.
그러니 군주(君主)들은 우주(陽)가 꿈틀거리는
첫소리(黃鍾音)를 찾아 만파식적이나 에밀레종에 담고자 했을 겁니다.
늘 느끼는 것이지만,
고구려 강서고분의 사신도나,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에서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옛 사람들의 思維체계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보다
훨씬 은유적이고 과학적이며 우주적이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감동을 받을때 마다 이 땅의 주인으로 태어났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군요.
龠(피리 약)은 律管을 의미하고
黃鍾(황종)의 음(音)을 잡는 기본이 됩니다.
그러므로 龠는 단순한 피리라는 의미 보다는
국가를 다스리는 근본이 되는
도량형의 표준(기준)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龠은 국가의 기본이 되는 특별한 상징성을 갖고 있는
중요한 글자인 만큼 당당히 부수글자로
자리매김 되어 있습니다.
"조선 세종시대에 선포된 도량형의 기준이 되었던
율관은 대나무나 구리로 만들어졌는데, 3촌(寸) 9분(分)의
길이가 황종(黃鍾)음에 해당하며, 황종관(黃鍾管)이라고 합니다.
세종은 악기 소簫를 이루는 16개의 죽관竹管의 하나인
제1관(黃鐘, C)의 제작을 박연(朴堧) 등에게 명하여
황종률관黃鐘律管을 만들고 여기서 황종척黃鐘尺을 얻어
이를 도량형 척도의 표준으로 하여 기존의 고구려척을
대신할 영조척營造尺(=32.08cm)을 만들어냅니다.
이 황종률관은 길이뿐만 아니라 부피의 기준도 되는데
황종률관에 들어가는 만큼의 물을 무게의 기준으로 정합니다.
이는 마찬가지로 물 무게를 기준으로 한
프랑스 미터법보다 370년가량 앞선 것입니다."
亥月(10월-地)
應鍾(응종 B), 쇠북鐘, 속이 모두 비다,
종자를 갈무리하여 잘 간직하다
궐음풍목(厥=블랙홀, 구덩이(坎), 바람이 일다,
깊은 골짜기에서 시작되는 바람(風木)
子月(11월-復)
黃鍾(황종 C), 鍾=種, 鐘(마을에 걸어두어 때를 알리다)
- 속이 비었으므로(亥) 씨앗을 잉태할 수 있다(子-復)
군화(子-분산의 初-불씨), (午-분산의 極-큰불-夏)가 무르익다
丑月(12월-臨) 大呂(대려 C#), 呂(하늘과 땅이 소통하다)
= 旅(나그네, 이리저리 흩어져 모든 만물에 임하다
(臨-臣=相火) 女-毋-母(자궁), 毋(닫히다) - 丑(땅이 열리다
♨ 丑未太陰濕土 - 열리다, 풀리다),
雨水-穀雨(물의 분화)
* 亥子丑(궐음-소음-태음) = 동방의 물생운동 = 三陰運動
寅月(1월-泰)
太簇(태주 D), 太-씨앗(콩), 簇-뾰족뾰족한 싹,
泰 二 + 一 + 水의 기화작용으로 人(만물)을 만들다-
땅이 열리다(屯)
卯月(2월-大壯)
夾鍾(협종 D#), 봄의 가운데,
땅 밖으로 새싹이 나오다, 大壯
辰月(3월-夬)
姑洗(고선 E), 姑-두루두루 洗-만물을 씻다,
穀雨-만물을 적시다, 씻어주다
巳月(4월-乾)
仲呂(중려 F), 무성해지도록 펼쳐주다
午月(5월-姤)
蕤賓(유빈 F#), 흐드러지게 피는 가운데(蕤)
손님-陰이 들어오다(賓) - 겨울눈이 만들어짐
未月(6월-遯)
林鐘(림종 G), 무성하게 열매 맺다,
아직 맛이 들지 않다(味), 遯-숨다, 피하다, 도망치다 (君火)
申月(7월-否)
夷則(이칙 G#)), 양이 상하여 쫒겨가다(遯)
- 열매의 맛이 들기 위해 비가 오면 안됨(祈晴祭-도당굿)
酉月(8월-觀)
南呂(남려 A), 양 기운이 바람에 흩어지다 (風地 觀)
戌月(9월-剝)
無射(무역 A#), 단단하게 여문 종자(碩果),
갈무리하여 무탈하도록 보호한다, 거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