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매일매일 따라다니며
그의 곁에 있는 그림자가 있었습니다
그림자는 항상 그의 곁에 있었습니다
그는 그림자에게 잘 해주었고
그림자는 말없이 그의 곁을 지켰습니다
어느 날 질투심 많은 바람이
그의 곁을 지나며 말했습니다
"왜 그림자에게 잘 해주세요?"
그러자 그는
"그림자는 항상 내 곁에 있어주기 때문이지"
하고 말했습니다
바람이 다시 말했습니다
"핏, 아니예요
그림자는 당신이 기쁘고 밝은 날만 잘 보이지
어둡고 추울 때는 당신 곁에 있지 않았다고요"
생각해 보니 그도 그럴 것이
그가 힘들고 슬프고 어두울 때는 항상
그림자는 보이지 않았던 거였어요
그는 화가 났습니다
그리고 그림자에게 가서
"더 이상 내 곁에 있지 말고 가 버려"
하고 말해버렸어요
그 한 마디에 그림자는 조용히 사라졌답니다
그 후로 그는 바람과 함께 즐겁게 지냈습니다
그것도 잠시...
잠시 스친 바람은 그저 그렇게
조용히 사라져버렸습니다
너무나 초라해져버린 그는
다시 그림자를 그리워하게 되었답니다
"그림자가 어디 갔을까
다시 와줄 순 없을까"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어디선가 그림자는 다시 나오고
조용히 그의 곁에 있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림자는 이렇게 말했지요
"난 항상 당신 곁에 있었답니다
다만 어두울 때는
당신이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왜냐고요?
힘들고 슬프고 어두울 때는
난 당신에게 더 가까이...
가까이 다가가고 있었기 때문이예요
너무나 가까이 있어서
당신이 바라 볼 수가 없었나봐요"
우리, 서로가 힘이 들 때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다는 걸
잊지말고 살아요
세상에 혼자 남겨져 있다 생각하면
그 아픔은 배가 되어 버린답니다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 것을...
너무나 가까이 있어서
보이지 않았을 뿐이란 것을...
- 좋은 생각 -
---------------------------------------------------------------------------------------
있던 건 지나가고
있던 건
지나가고
없던 건
돌아온다
곧 지나갈 순간들
너무 두려워하며
마음 쓰지 마라
네 마음이 밝으면
해가 뜨고
네 마음을 접으면
달도 진다
인생이란
의외로 심플한 것
마음으로 이기고
마음으로 져라
그리고 웃어라
없던 게 온다
바라는 게 내 앞에 온다
- [괜찮아, 넌 잘하고 있어]中 ,하시 카모노 -
---------------------------------------------------------------------------------------------------
◐ 생활속 건강상식 14가지 ◑
1. 빈혈증세 있을 때
갑자기 나른하고 어지러울 때는 피가 부족해 발생하는 빈혈증세로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기름기가 적은 생선과 계란, 탈지유, 두부, 콩, 김, 유부, 멸치, 간 등 헤모글로빈의 생성을 활발하게 만드는 식품이 좋다.
마른 살구와 건포도, 사과 등도 양질의 단백질과 철분을 함유하고 있어 좋다.
2. 살속 파고든 발톱 깎으려면
발톱이 살속으로 파고들어 고통스러울 때가 있다. 이런 발톱은 깎아내려 해도 딱딱해서 깎기가 힘들다. 이럴 땐 탈지면에 식초를 흠뻑 적셔서 발톱 위에 10분 정도 올려놓으면 발톱이 물러지면서 통증이 멎는다. 또 손톱깎이로 깎아내도 아프지 않고 잘 깎인다.
3. 하얀치아를 원한다면
(1) 상추를 말려서
상추를 바짝 말려서 가루로 빻아서 세면대 옆에 두고 양치할 때마다 치약을 묻힌 치솔에 살짝 찍어 양치하시면 희고 깨끗한 치아를 가질 수 있다.
(2) 바나나 껍질로
누런 치아는 바나나 안쪽의 껍질로 닦아보자. 바나나 껍질에는 산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레몬으로 치아를 닦는 것과 마찬 가지다.
4. 손톱 윤기나게 하려면
매니큐어를 지우고 나면 손톱이 푸석푸석하고 윤기가 없다. 이 때 치약을 칫솔에 묻혀 닦아주면
손톱에 윤기가 난다.
5. 팔꿈치 거무스레할 땐
무릎, 팔꿈치, 발뒤꿈치가 거무스레할 때는 레몬 조각으로 닦아 준다. 과일산이 검은 것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6. 티눈을 빼려면 알로에
알로에 잎의 껍질을 벗기고 잘게 썰어 그 즙을 바른다. 아침 저녁으로 2회 2~3일이면 통증이 없어진다.
그 다음에는 하루에 한 번씩 3개월 이상 꾸준히 바르면 뿌리까지 다 빠진다.
7. 코 고는 소리 심할 땐
코 고는 소리가 심하다면 베개를 높이 하고 자 본다. 또는 옆을 보고 자거나 엎드려 자는 훈련을 한다.
옆을 보고 잘 때는 베개 끝에 빰이 오도록 하고 몸도 옆을 향한다. 엎드려 잘 때는 베개를 이마에 댄다.
8. 발냄새·무좀 심할 때
소다를 신발 속이나 양말에 뿌려서 신으면 아무리 심한 발냄새라도 싹 없어진다. 무좀에도 효과가 있다.
9 .습관성 코피 흘릴 때
코피를 습관적으로 자주 흘리는 사람에게 통 연근을 갈아 즙을 낸 후 하루 2~3회 소주잔 2잔 정도를
3~4일간 복용시킨다. 지혈제를 먹일 수 없는 아이들에게 특히 좋은 민간 요법이다.
10. 감기로 코 막혔을 때
감기 때문에 코가 막혔을 때 양파를 갈아서 면봉으로 찍어바르면 코가 시원하게 뚫린다. 또는 말린 쑥을 가볍게 비벼서 콧구멍에 잠깐 넣어 두어도 된다.
11. 동상에 걸렸을 땐
동상에 걸렸을 때 세면기 하나 정도의 물에 소금 한줌을 넣어 끓인 다음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온도가 되면 손과 발을 담가 본다. 가려움증과 통증이 사라진다.
12. 안경 김서림 없애려면
유리나 안경의 김서림을 없애려면 마른 비누로 문질러 준 다음에 수건으로 닦아주면 된다. 또 스펀지나 솜에 샴푸를 몇 방울 떨어뜨려 닦아주어도 된다.
13. 눈이 침침하고 안 보일 땐
눈이 침침하고 갑자기 앞이 잘 안보일 때 당근 주스를 마시면 눈의 피로가 싹 가신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당근 주스를 마시면 속도 편하고 식욕도 좋아진다.
14. 머리카락 윤기나게 하려면
마요네즈를 머리에 고루 바르고 뜨거운 스팀 타월을 두른 뒤 10분 후 미지근한 물에 헹구면 푸석푸석한 머리카락에 윤기가 흐른다
---------------------------------------------------------------------------------------------
◐ 치매와 멀어지는 25가지 방법 ◑
01. 화내지 마라. 흥분 할 때마다 수십만 개의 뇌세포가 파괴된다
02. 좋은 물을 많이 마셔라. 몸도 마음도 머리도 맑아진다
03. 성격을 개조하라. 낙천적인 사람은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
04. 뇌에 영양을 주는 식품을 섭취하라. 호두, 잣, 토마토, 녹차가 좋다
05. 두부 청국장 등 콩류를 많이, 콩은 뇌영양 물질덩어리다
06. 계란은 완전식품이다. 콜레스테톨 따위 신경 쓰지 말고 먹어라
07. 식탁에 멸치그릇을 놓아두고 수시로 먹어라. 멸치는 보약이다
08. 치아가 손상되면 바로 고쳐라. 이가 없으면 치매도 빨리 온다
09. 호두를 굴려라. 호두를 넣고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굴리기를 하라
10. 손으로 많이 써라. 화가에게는 치매가 없다
11. 악단 지휘자는 모두 장수한다. 손을 많이 쓰라
12. 가운데 손가락을 마찰하라. 뇌가 즉각 반응한다
13. 손을 뜨거울 때까지 비벼라. 그 손으로 온몸을 마찰하라
14. 집 앞을 쓸어라. 청소도 되고 운동도 된다
15. 뜨겁게 사랑하라. 사랑이 뜨거우면 치매는 도망친다
16. 남을 미워 말라. 미움은 피에 독성물질을 만들어 낸다
17. 잔소리하지 말라. 하는 이나 듣는 이나 다 같이 기가 소진된다
18. 짜증은 체질을 산성으로 만든다. 산성체질은 종합병원이다
19. 머리는 차게 발은 따뜻하게 그러면 의사가 필요 없다
20. 책이나 글을 많이 읽어라. 소리 내어 읽으면 최고의 뇌운동이다
21. 웃어라.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다
22. 대화 상대를 만들어라. 외로움은 가장 큰 형벌이다
23. 노래방기기를 장만하라. 노래와 춤은 치매예방의 최고다
24. 글의 쓰기와 읽기를 생활화하라. 뇌 운동에는 그만이다
25. 많이 움직여라. 몸도 마음도 활동이 멈추면 병들기 마련이다
- 출처 : 사랑채 -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