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다가 쉬고 쉬고는 걷고 그러면서 즐기는 소백산 자락(自樂)길은 봉화를 거쳐 마구령, 고치령의 고갯길을 지나 다시 국망봉, 비로봉, 연화봉 기슭으로 풍기, 순흥, 단산, 부석의 산간 마을을 낳은 평화롭게 보듬은 아늑한 촌길이다.
선비촌 승운정의 소백남허고순흥(小白南墟古順興) 주련처럼 소백 남쪽의 터는 옛 순흥이라. 순흥은 여말선초(麗末鮮初)에는 남순북송(南順北松)으로 남은 순흥, 북은 송도라 할만치 번창했다. 그러나 세조 3년(1457)에 금성대군 축으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 이곳에서 발각되어 피천지가 되었고 고을은 산산이 쪼개 단양, 영월, 태백, 풍기, 예천, 봉화, 안동으로 분산 편입시켜 버렸다. 하기야 혁명은 성공하면 충신이요, 실패하면 삼족이 멸문의 화를 당하지 않았던가.
그래도 1683년, 숙종은 순흥고을을 절의지향(節義之鄕)으로 명예를 회복시켜 주었지만 그 후 일제침략기에 지방 유생들의 곧은 절의가 눈에 가시가 되자, 고을 전체를 불살라 버린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자락길의 시작, 금성대군신단
소백산 1자락길 시작점은 선비촌에서 제월교(청다리)를 지나면 단종복위운동성지 금성대군신단이란 안내판이 걸린 자리다. 신단은 조선 세조때 단종복위를 도모하다 화를 당한 금성대군(세종의 6째 아들)과 순흥 도호부사 이보흠(李甫欽), 그리고 뜻을 같이한 이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영조 18년(1742)에 설치한 제단으로 신단은 품(品)자 형태로 상석을 설치해 두었다.
내삼문의 금성단(錦城壇)현판의 글씨 중에 단(壇)자는 옆 금성(錦城)의 글씨하고는 특이한 필체라 흥미롭다. 흙토(土)변에 믿을 단(亶)의 (亠)획이 신단의 의미를 뜻하는지 획은 힘을 놓고 꼬부라져 있었다.
신단을 나서는 여대생을 만났다. 오늘은 영주, 내일은 안동을 거쳐 경북북부지방의 문화유적을 순례 중이란다. 혼자 겁도 없이 신단을 보고도 무섭지도 않는지 배시시 웃는다. 학생!, 신단의 단(壇)의 뜻을 아는지? 금시초문인 표정이다.
무덤에도 여러 말이 있어요. 단(壇)은 원래 죽은 자의 무덤이 없거나 실묘(失墓)를 했을 경우에 죽은 자를 기리기 위해 위패나 그의 자취를 묻어온 무덤이고,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이며, 왕과 왕비의 친족의 무덤은 원(園)이라하고, 오래된 옛무덤은 고분(古墳)이다. 고분을 발굴할 때 출토된 유물에 따라 ‘천마총’ ‘호우총’ ‘금관총’ ‘금척총’ 등 총(塚)으로 총칭하고, 일반 백성들의 무덤은 묘(墓)라는 설명에 고맙다는 인사가 각별했다. 하기야 스마트폰에 넋이 빠진 세대에 비하면 얼마나 기특하고 대견한 가. 다음 행선지로 부석사를 소개하자 보고 왔단다. 젊은이의 소감이라도 들었으면 좋았을 것을 참 아쉽다
나한전의 꽃살문
붕어빵에 붕어가 없듯, 성혈사((聖穴寺)에는 성혈이 없었다. 의상대사가 수도 했다는 작은 토굴의 수도처가 어딘가 있었을 텐데…. 성혈은 성혈암이 되었고 쇄락해 가던 나한전의 좌우로 불사가 한창이다.
하나, 성혈사의 핵은 나한전 어간의 두 짝 꽃살문이다. 이 꽃살문은 ‘통판투조(通板透刻)연지수금(蓮池水禽)꽃살문’으로 널판에 연꽃과 수금을 통째로 새겨 문짝에 끼운 것이다.
당시 소목장이나 각수는 4매의 통판을 이어 그것을 연지로 삼아 빗방울이 떨어지듯 한 연못에는 지금 만개한 연꽃으로 절정이다. 연잎과 꽃봉오리, 연잎에 오른 두꺼비며, 연못가의 물고기 떼, 두 마리의 게, 먹이를 쫓는 두 마리의 여름철새, 여의주를 찾는 작은 용 한 마리, 그중의 압권은 연잎에 올라 삼라만상을 즐기며 노 젓는 동자의 모습이다. 퇴색되고 바래 진 나뭇결은 흡사 연맥 같다.
중국 돈황 막고굴의 원장의 말이 연상되다. 그는 막고굴을 찾을 때마다 나는 지금 2000년 전에 서있습니다. 그때의 역사를 찾아가는 일이지요. 그것은 지금 살고 있는 우리들의 책임 있는 일이요 보람 있는 삶이기 때문입니다. 그의 말처럼 나는 지금 461년 전 1553년 시대에 서있는가? 문화재를 찾아가는 것도 그 시대의 역사를 찾아가는 책임 있는 일이요 보람이라고… 비록 불자가 아니더라도 말입니다.
절은 어디나 다 똑 같다고
절은 어디나 다 똑 같다고, 내 친구들의 말이다. 그러나 알면 다르다. 무량수전의 서편에 부석(浮石)이란 글자가 새겨진 바위는 어디서 옮겨다 놓은 것 같기도 하고, 채석하고 버린 돌인 것 같기도 하다. 혹 거석문화의 흔적은 아닌지. 다만 부석(浮石)이 새긴 바윗돌은 부석사보다는 오래 전에 있었다는 것만은 사실일 것이다.
부석사는 천년의 세월을 넘기면서 아름다운 건축물로 건축과를 전공하는 학생이면 필수적으로 찾는 코스란다. 무량수전은 몇 개의 돌계단을 밟아야 한다. 돌계단 양쪽으로 쌓은 석축은 페루의 마츄피츄의 석벽들을 상상되고 결국 계단이 많다는 것은 대상의 위치가 높은데 있다는 말이다.
부석사의 건축미는 중심축의 휘어짐에 있다 한다. 전각의 바깥기둥을 안쪽 기둥보다 약간 높게 세우는 방법을 ‘귀솟음’이다. 안쏠림이니 배흘림기둥이니 하는 용어들은 전통건축의 묘미를 만드는 방법들이다.
안양(安養)은 극락(極樂)을 달리 한말이다. 안양루를 통과한다는 것은 곧 극락정토에 이른다는 뜻이다. 무량수전 앞뜰에서 뒤돌아 본 풍광은 곧 부석사의 미(美)요 아름다움이다. 범종루의 받침기둥의 나뭇결에서 승천하는 잉어들을 찾았고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의 나뭇결에서 해맑은 동자상과 눈 맞춤을 하다. 이 또한 귀한 인연으로 남겨두고 싶다.
다음 코스의 자락 길을 따라가다, 길가의 맛 자랑 묵집에서 점심 겸 저녁을 때우고 나니 소백태백양백지간(小白太白兩百之間)의 십승지 명당에서 쏘다닌 소백산 자락(自樂)의 하룻길 답사였다.
첫댓글 남순북송(南順北松)으로 남은 순흥, 북은 송도---- 조선,세조 3년(1457)에 금성대군의 단종 복위ㅡ피천지가 되었고ㅡ 고을은 산산이 쪼개저ㅡ 단양, 영월, 태백, 풍기, 예천, 봉화, 안동으로 분산 편입-----
도대체 권력이 무엇이기에 동생까지 죽여야만 했을까요..
피비린내 나는 골육상잔의 비극이 담긴 역사의 소용돌이가 그려집니다.
단종의 죽음보다 더 슬픈 금성대군의 위리안치는 애잔합니다.
"나한전의 꽃살문' 설명 감사합니다.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늘 평강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