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괘사(卦辭) - 2
彖曰損은 損下益上하야 其道 上行이니
(단왈손) (손하익상) (기도 상행)
損而有孚면 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이니
(손이유부) (원길무구가정이유유왕)
曷之用二簋可用享은 二簋 應有時며 損剛益柔 有時니
(갈지용이궤가용향) (이궤 응유시) (손강익유 유시)
損益盈虛를 與時偕行이니라.
(손익영허) (여시해행)
●단에 가로되 손은 아래를 덜어 위를 더하여 그 도가 위로 행함이니,
더는데 믿음을 두면 '원길무구가정이유유왕' 이니, '갈지용이궤가용향'
은 두 대그릇이 마땅한 때가 있으며, 강함을 덜어 유약함에 더함이 때가
있으니, 덜고 더하고 차고 비는 것을 때에 따라 함께 행함이라.
(曷 - 어찌 갈. 盈 - 찰 영. 偕 - 함께 해. )
★뜻풀이
損괘는 泰卦에서 하괘인 乾의 구삼을 덜어 상괘인 坤에 주어 상구가 되니,
乾의 道가 위로 坤에게 행함이라.
지나친 것을 덜어 中을 취함에 지극한 정성으로 한다면, 괘사에서 말한
'원길무구가정이유유왕' 의 네가지 이익이 있음이라.
괘사에 '갈지용이궤가용향' 이라고 한 것은, 봄제사인 약(禴 : 종묘제사이름 약)
은 제사에 쓸 제물이 아직 자라지 못하고 가을에 걷어들인 곡식도 떨어져 가기
때문에 간략히 지내는 것이며,
剛은 덜려고 하지 않고 柔는 스스로 더할 수가 없는 것인데도 剛을 덜어 柔에
더한 것은, 乾은 이미 꽉 차 있고, 坤은 비어 있기 때문에 '손강익유' 가 가능한
것이니, 바로 때에 응한 것이다.
제사를 간략히 지내고 강을 덜어 유에 보탬이 일반적인 일은 아니지만, 지나친
것은 덜고 부족한 것은 보태며, 찬 것은 기울이고 빈 것은 차게 하는 것이 다 천
리(天理)에 순응하는 것이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주역 산택손을 봅니다~^^
산택손의 괘사를 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