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 쉬운 성경 이사야 7장 1 - 9절
1 웃시야의 손자이며, 요담의 아들인 아하스가 유다 왕으로 있을 때에 아람 왕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인 이스라엘 왕 베가가 예루살렘을 치러 올라왔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루살렘을 무너뜨리지 못했습니다.
2 아람과 에브라임 군대가 서로 힘을 합쳤다는 소식이 유다 왕 아하스에게 전해지자, 아하스와 모든 백성이 크게 놀라며 두려워했습니다. 그들은 너무나 무서워서 바람에 흔들리는 수풀처럼 떨었습니다.
3 그러자 여호와께서 이사야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너와 네 아들 스알야숩은 세탁자의 들판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윗못으로 흐르는 물길 끝으로 가서 아하스를 만나라.
4 그리고 그를 만나 '조심하고 침착하게 행동하라'고 일러 주어라. '두려워 마라. 타다 만, 연기 나는 부지깽이와 같은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 베가 때문에 겁먹지 마라'고 일러 주어라. 그들이 화를 낸다 해서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5 아람과 에브라임과 르말리야의 아들이 모여서 악한 음모를 꾸몄습니다. 그들이 유다를 공격하며 말하기를,
6 '우리가 유다로 올라가서 그것을 정복하자. 그리고 그 땅을 갈라서 우리끼리 나누어 가지고 그 나라에는 다브엘의 아들을 새 왕으로 세우자'고 합니다.
7 하지만 주 여호와께서는 이처럼 말씀하십니다. '그들의 계획은 성공하지 못한다. 그들 뜻대로는 되지 않는다.
8 아람의 가장 강하다고 하는 도시가 수도 다마스커인데, 그곳을 다스리는 왕은 연약한 르신 왕이기 때문이다. 에브라임은 육십 오 년 안에 망하여 다시는 나라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
9 이스라엘의 중심 도시는 수도 사마리아인데, 사마리아는 연약한 르말리야의 아들이 왕이 되어 다스린다. 너희의 믿음이 굳세지 못하면 너희는 결코 바로 서지 못한다.'
<묵 상>
분문은 이사야 선지자가 유다 왕국의 아하스 왕에게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메시를 전하는 내용입니다. 아하스 왕이 직면한 정치적 위기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보여 줍니다. 특히 이 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대한 유명한 예언(14절)이 등장합니다. 구약의 예언이 신약에서 성취되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해줍니다.
1. 배경 - 아하스 왕의 위기(1-2절)
"웃시야의 손자이며, 요담의 아들인 아하스가 유다 왕으로 있을 때에 아람 왕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인 이스라엘 왕 베가가 예루살렘을 치러 올라왔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루살렘을 무너뜨리지 못했습니다."(1절) 웃시야는 앗수르에 대하여 강경책을 썼습니다. 그의 아들 요담도 동일한 정책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아하스는 그들과는 달리 앗수르에게 친선 정책을 폈습니다. 그는 앗수르의 도움을 얻기 위해 디글랏 빌레셀에게 성전과 자신의 궁전에서 취한 금과 은을 보냈습니다(왕하 16:5-10). 그런데 그 당시 이스라엘의 왕 베가는 반앗수르 정책을 펼치고 있었습니다(왕하 15:29). 이는 디글랏 빌레셀이 그를 치러 왔기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아람의 르신도 앗수르에게 적대적이었습니다. 이때에 서아시아 대부분의 나라들은 앗수르에 대항해서 하나의 동맹체로 연합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아하스에 대한 베가와 르신의 공격은 그를 폐하고 새 왕을 그 자리에 앉히며, 또한 유다에게 앗수르에 대항하는 일에 연합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아하스가 유다왕으로 다스릴 때, 유다는 북이스라엘과 아람의 동맹 군대에 의해 위협을 받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람 왕 르신과 북이스라엘 왕 베가가 예루살렘을 공격하려고 계획하자, 유다 왕국은 극도의 두려움을 느낍니다. 이 위기는 단순한 정치적 갈등을 넘어 유다 왕국의 존폐를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이었습니다.
"아람과 에브라임 군대가 서로 힘을 합쳤다는 소식이 유다 왕 아하스에게 전해지자, 아하스와 모든 백성이 크게 놀라며 두려워했습니다. 그들은 너무나 무서워서 바람에 흔들리는 수풀처럼 떨었습니다."(2절) 아하스와 모든 백성이 크게 놀라며 두려워하고, 수풀이 바람에 흔들리듯 너무 무서웠다고 묘사합니다. 그들은 사시나무 떨듯 떨고 있었습니다. 이는 그들이 하나님보다 인간적 해결책에 의존하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아하스는 왕좌에서 쫓겨날까봐 두려워하였습니다. 그는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눈에는 자신의 왕국이 곧 무너질 것처럼 보였습니다.
2. 이사야의 만남 - 하나님의 위로와 약속(3-9절)
하나님은 이사야에게 아하스를 만나서 위로하라고 명령하십니다. 이사야는 "너와 네 아들 스알야숩은 세탁자의 들판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 윗못으로 흐르는 물길 끝으로 가서 아하스를 만나라."(3절)라는 지시를 받습니다. '스알야숩'이라는 이름의 뜻은 '남은 자가 돌아오리라'는 의미입니다. 하나님께서 남은 자를 통해 구원을 이루실 것이라는 희망을 암시합니다.
"그리고 그를 만나 '조심하고 침착하게 행동하라'고 일러 주어라. '두려워 마라. 타다 만, 연기 나는 부지깽이와 같은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 베가 때문에 겁먹지 마라'고 일러 주어라. 그들이 화를 낸다 해서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4절) 하나님은 이사야를 통해 아하스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침착하게 행동하라고 하십니다. 아람과 북이스라엘의 계획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전합니다. 그들의 동맹은 하나님 앞에서 '연기 나는 부지깽이'에 불과하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그들의 위협이 일시적이고 결국 소멸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겉보기에는 강력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힘이 빠져 쇠약해진 이스라엘과 아람 그리고 그 왕들은 타다가 남아서 연기 나는 부지깽이들에 불과했습니다. 그들은 다 타버리고 남은 것이 거의 없는 상태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아하스가 이스라엘이나 아람과 관련해서 지혜로운 정책을 펼치도록 지금 그 나라들이 맞이할 운명을 예언하고 계십니다. 아하스가 염두에 두어야만 할 것은 힘을 잃어 가는 아람이나 이스라엘이 아니라 떠오르는 세력인 앗수르였습니다. 이어지는 40-50년 동안 유다는 앗수르에게 거의 삼킨 바 되었지만, 아하스는 불가피하게 앗수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정책을 추구하고 있었습니다.
"아람과 에브라임과 르말리야의 아들이 모여서 악한 음모를 꾸몄습니다. 그들이 유다를 공격하며 말하기를, '우리가 유다로 올라가서 그것을 정복하자. 그리고 그 땅을 갈라서 우리끼리 나누어 가지고 그 나라에는 다브엘의 아들을 새 왕으로 세우자'고 합니다."(5-6절) 그들의 계획은 유다를 공격하여 그 땅을 정복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아하스를 폐하여 다윗 왕조를 몰락시키고 새 왕으로 '다브엘의 아들'을 보좌에 앉히고자 했습니다. 이 새 왕의 신원은 알 수 없지만, '다브엘'이라는 이름의 뜻은 '선한 신'이라는 의미를 지닌 아람어입니다. 이것으로 보아 아람 사람이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스라엘과 아람은 다윗의 보좌에 새로운 꼭두각시 군주를 앉히기로 서로 합의하였던 것입니다.
"하지만 주 여호와께서는 이처럼 말씀하십니다. '그들의 계획은 성공하지 못한다. 그들 뜻대로는 되지 않는다."(7절) 이스라엘과 아람이 세운 계획은 하나님께 대적하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성공할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다윗에 대하여 다른 계획을 갖고 계셨습니다. 하나님은 사람들이 유다에 대한 자기의 목적을 방해하거나 메시야가 나오실 그 왕조를 몰락시키도록 허락지 않을 것이었습니다.
"아람의 가장 강하다고 하는 도시가 수도 다마스커인데, 그곳을 다스리는 왕은 연약한 르신 왕이기 때문이다. 에브라임은 육십 오 년 안에 망하여 다시는 나라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 이스라엘의 중심 도시는 수도 사마리아인데, 사마리아는 연약한 르말리야의 아들이 왕이 되어 다스린다. 너희의 믿음이 굳세지 못하면 너희는 결코 바로 서지 못한다.'"(8-9절) 아람과 북이스라엘의 최후에 대한 내용 말미에 남유다의 최후에 대해도 말씀합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왕국의 최후를 야기하는 요인이 군사력도, 경제력도, 권력도 아닌 믿음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하스에게 믿음을 요구하셨습니다. '만일 네가 내 말을 믿지 않으면 너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으면 아하스의 왕국 역시 흔들릴 것임을 경고합니다. 아하스는 여전히 두려워하고 있었습니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습니다(히 11:6). 또한 하나님의 지혜롭고 자비로운 지도력에 자신을 맡길 수도 없습니다.
<오늘의 기도>
선하고 의로우신 아버지 하나님! 하나님만을 바라고, 소망하는 삶을 결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의 삶은 세상의 상황과 변화에 반응하며 살아갑니다. 나의 믿음을 굳게 세우고, 바로 서지 못 했음을 불쌍이 여겨 주옵소서. 세상의 것 다 함부로 무시하고, 아무렇게나 살 수는 없지만, 그것들을 하나님보다도 더 귀히 여기며, 우선시하며 살았던 어리석음을 벗어 버릴 수 있도록 도와주옵소서. 범사가 좀 꼬여도, 무화과나무가 있고, 열매가 있으면 좋지만, 없다고 뒤집어질 것도 없고, 외양간의 소가 있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없다고 해서 불행한 것도 아님을 깨우쳐 주옵소서. 세상 나라의 것들로 인해서 믿음이 흔들리지 않게 하시고, 오직 하나님의 나라와 의를 구하는 믿음의 삶을 살아가게 하옵소서. 구원의 하나님을 인하여 기뻐할 줄 알았던 하박국 선지자 같은 삶을 살게 하여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