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리모델링 사업 취약층보다 건물주가 혜택
그린리모델링 건축주에게 조세·재정 지원된다
2023년 예산은 80억원 전년대비 20%가 삭감
조오섭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광주북구갑, 국토위)은 국토부 업무보고에서 “난방비 폭탄으로 국민은 고통받고 있는데 ‘그린리모델링’ 정책을 축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3년 그린리모델링 사업이 에너지취약계층 보다 고가주택, 건물주 등 부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에 따르면 국토부가 2014~2022년까지 추진한 민간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실적은 총7만1,281건, 집행액은 323억원에 달한다. 이 사업은 처음 시작됐던 2014년 352건(20억원)에서 2021년 1만1,955건(102억원)으로 승인건수는 34배 증가했고, 예산도 약 5배 증가했다.
하지만 2022년 7,217건으로 사업건수는 급격히 줄었고 2023년 예산은 80억원으로 전년대비 20%가 삭감됐다.
국토부가 예산은 줄이는 반면 이자지원율은 기존 3%에서 4%로 인상할 계획까지 세우고 있어 사실상 사업대상이 대폭 축소될 것을 예고하고 있는 셈이다.
또 국토부는 올해부터 ▲고가주택 보증제한기준(9억→12억) 상향 ▲부동산 등록대장 이력기재 ▲대출없는 그린리모델링 건축주에게 조세·재정 지원 등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취약계층, 에너지다소비, 다물량을 사업대상 선정 우선순위로 두고 있지만 실상은 고가주택, 건물주 등 부자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비판적 시각이 높다.
관련분야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해 추진해온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재평가와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에너지취약계층에 직접 지원하는 서민을 위한 정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환경경영신문www.ionestop.kr 고명곤 전문기자)
연도별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사업 (’22.12.기준)
구 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사업승인(건) | 352 | 2,753 | 7,742 | 8,551 | 9,278 | 11,428 | 12,005 | 11,955 | 7,217 |
|
예산(백만원) | 2,000 | 3,000 | 800 | 1,658 | 3,200 | 6,788 | 8,296 | 10,223 | 10,242 | 8,076 |
집행(백만원) | 31 | 476 | 800 | 1,658 | 3,200 | 6,547 | 6,082 | 6,743 | 6,807 |
|
(출처 : 국토부, 조오섭 의원실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