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hwp
1. 프란스시코의 나비 : 줄거리와 구성단계
1) 줄거리
1940년대 말, 멕시코의 한 작은 마을 엘란초블랑코에서 살던 꼬마 판치토의 가족은 더 나은 생활을 꿈꾸며 국경을 넘어 미국으로 간다. 목화와, 딸기, 포도 수확철에 맞추어 1년에 세 번이나 이사를 해야 하고, 주소도 없는 텐트촌에서 살며 하루 12시간의 노동을 하며, 개에게 준다며 정육점에서 고기 뼈를 얻어오는 건 꼬마 판치토는 물론 가족 모두의 일이다. 판치토는 영어를 하지 못해서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쓰레기장에서 고무를 줍고, 선생님께 트럼펫을 배우기로 약속한 다음날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가족과 함께 이사를 해야 한다.
그러나 판치토의 아버지는 비록 배우지 못했고 가난하지만, 판치토에게 남을 속이는 것은 나쁜 짓이고 돈보다 신의가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 어머니는 흰 목화자루를 몸에 두르고 '세상에서 가장 예쁜 웨딩드레스'라고 말하며 활짝 웃고, 형은 불법입국자 단속에도 '이민국 여자는 내 스타일이 아니야'라며 유머를 잃지 않는다. 이렇듯 힘겨운 삶 속에서도 판치토의 가족은 서로를 따뜻하게 감싸 안고 의지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겨우 미국에서 자리를 잡을 즈음 이민국의 불법체류 단속에 걸리게 된다.
2) 사전의 전개 방식
멕시코의 작은 마을에서 살던 꼬마 판치토의 가족은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 국경을 몰래 넘어 ‘꿈의 땅’ 캘리포니아로 간다. - 발단 (배경, 인물, 사건의 실마리 소개)
이들 가족은 미국에서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 철따라 목화와 포도, 딸기 수확을 위해 돌고 도는 유랑생활을 한다. - 전개 (사건의 전개)
주소도 없는 텐트촌, 오두막, 창고 등지에서 생활하며 끊임없이 이사를 해야만 한다. 너무 어려 일하러 나갈 수 없어 혼자 남아 목화를 따던 판치토는 목화의 무게를 더 나가게 하기 위해 목화더미에 흙을 섞는다. 이런 판치토에게 아버지는 양심을 속이는 일은 나쁜 짓이라며 꾸짖는다. - 위기 (주인공의 위기, 갈등의 시작)
판치토는 학교에 다니기도 하지만 수확철이 아닐 때, 즉 일을 하지 않아도 될 때만 학교에 갈 수 있다. 영어를 못하는 판치토는 나비 그림을 그리거나 병 속의 애벌레를 관찰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애벌레의 고치에서 나비가 나오는 날 판치토는 선생님과 모든 반 아이들과 함께 나비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것을 지켜본다. 그리고 그날 판치토가 그린 나비 그림이 상을 받게 되고 판치토는 그 그림을 자신과 싸웠던 학급 친구에게 준다. - 절정 (사건의 절정, 갈등의 절정, 위기에서 반전)
이렇듯 힘겨운 삶 속에서도 판치토의 가족은 서로를 따뜻하게 감싸 안고 의지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겨우 미국에서 자리를 잡을 즈음 이민국의 불법체류 단속에 걸리게 된다. - 결말 (주인공의 운명 결정, 이 작품은 불법체류 단속에 걸리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어 결론이 유보된 작품임)
2. 마틴 루터 킹 (평전이나 위인전은 연대기를 중심으로)
1) 줄거리 (평전이나 위인전은 연대기를 중심으로 줄거리 구성)
1929년 조지아 주 애틀랜타시의 침례교 목사 마이클 루터 킹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마이클과 같은 이름이 붙여졌지만, 아버지가 1935년 마틴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마틴이 이름이 된다. 1955년 진보적인 학풍의 보스턴 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면서 보수적인 기독교 근본주의 신앙에서 진보적인 자유주의 신앙으로 신앙의 성격이 바뀐다.
마틴은 1954년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덱스터 애버뉴 침례교회 목사를 맡게 된다. 그러던 중 1955년 12월 몽고메리에서 로자 팍스라는 흑인 아주머니가 버스에서 백인 남자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체포당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이것을 계기로 펼쳐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코트 운동을 지도하고, 1956년에는 미국 연방 최고 재판소에서 버스 내 인종 분리법의 위헌판결을 얻어낸다. 이후 애틀랜타의 침례교회 목사로 있으며 미국 각지의 인권운동을 지도했다.
1963년 4월 12일 앨라배마 주 버밍햄에서 열린 항의 데모 때 스스로 버밍험 시 경찰에 체포되어 4월 19일까지 구치소의 독방에 투옥된 적도 있다. 이 해 워싱턴 대행진 때 링컨 기념관 앞에서 인종차별 철폐와 인종간의 공존이라는 사상이 담긴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연설을 했다.
1964년 10월 14일, 미국 내의 인종 편견을 끝내기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게된다. 그 후,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도 목소리를 냈지만, 베트남 전쟁이 장기화되어가는 한중간 시기인 1968년 4월 4일 테네시 주 멤피스의 한 모텔 발코니에서 암살되었다.
* ‘줄거리 - 느낀 점 - 적용하기’로 구분해서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