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규모가 1년 새 18조원 가량 불어난 데 이어 연체율도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와 금융당국이 금융권과 건설사의 부실 경영을 막기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섰지만, 중견급 이하 건설사와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자금 경색이 심화되면서 줄도산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기준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 2021년 112조6000억원에서 129조9000억원까지 증가했다. 1년새 18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금융권의 연체율도 0.37%에서 1.19%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부동산 PF 부실 가능성을 반복적으로 경고한 바 있다.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 규모는 2696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125.9% 수준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관련, PF사업장에 여러 저축은행이 묶여있는 만큼 유사시 발생할 연쇄 부실 차단을 위한 점검에 나섰다.
점검을 통해 저축은행 건전성 전망을 체크하는 한편,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위험을 감안해 충당금을 더 보수적으로, 선제적으로 쌓도록 지도하고 있다.
또한 자본비율이 부족한 일부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금감원이 직접 증자를 요구하는 등 시정조치를 실시 중이다.
금감원은 금융권 PF대출 위험이 잠재된 건 사실이나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과 캐피탈사로부터 부동산 PF대출 연체율을 일 단위로 보고받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부동산PF 부실로 자금줄이 막힌 건설사들의 줄도산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건설사 폐업 신고건수는 총 912곳으로, 작년 1분기 대비 16.3% 증가했다.
주택 경기 불황에 따른 미분양 급증도 건설사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대우건설은 지난 2월 울산 동구의 한 주상복합아파트 개발사업에서 브릿지론 440억원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고 시공권을 포기했다. 부동산 시장의 악화가 심화되자 추가적인 손실을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PF 부실의 문제는 복잡한 구조 가운데 어느 한 편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여파가 전체로 퍼질 수 있다는 것”이라며 “중견·중소건설사 하나가 무너지는 게 문제가 아니라 하위 도급업체를 비롯해 연관된 금융권 등의 추가적인 연쇄 피해가 우려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