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아름다운 해안에 왜..." 독일인 관광객의 탄식
고성 오호리 해변-죽도에 추진되는 해양관광단지 사업...
아름다운 자연을 그대로 두면 안 될까
https://v.daum.net/v/20231026140001443
▲ 공사현장 죽도와 오호해변을 잇는 공사현장(2023/10/24) ⓒ 진재중
"왜 이렇게 해야 합니까, 이 아름다운 해변을 왜 망가트리지요?"
강원도 고성 송지호해변 공사 현장을 두고 터져나오는 한숨 섞인 말들이다. 공사 현장은 흉물스럽게 해변을 따라 콘크리트로 덮이고 있다. 이 해변에 고성군이 사업비 410억 원을 투입, 오호리 해변과 죽도를 잇는 780m 길이의 해상 산책로, 해상 전망대, 수중공원 등을 설치하는 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 고성 송지호해변은 고성군에 있는 해변 중 가장 유명한 곳으로 꼽힌다. 송림이 우거져 있고 갯그령, 갯방풍, 갯메꽃, 해당화 등 다양한 염생식물이 분포돼 있어 학습의 장으로도 불린다.
길 건너에는 설악산을 배경으로 석호인 송지호가 있어 경관으로도 빼어난 해변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바로 앞에는 동해안에서는 울릉도 다음으로 큰 섬이고 무인도로는 가장 큰 섬인 죽도(竹島)가 있다. 죽도(竹島)는 '대나무가 자생을 했다'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면적이 5만 292㎡에 달한다.
▲ 송지호와 송지해변 송지호와 죽도 ⓒ 진재중
▲ 염생식물 송지호해변은 다양한 염생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 진재중
섬은 온통 화강암으로 돼 있어 파란 대나무와 하얀 바위가 조화를 이룬다. 죽도는 생태자연도 지질 경관 1등급으로 산림청과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희귀식물이 자생하는 곳이다. 야광나무, 참싸리, 해당화, 갯방풍, 갯메꽃, 갯쇠보리 등이 자란다.
고성 죽도 일원은 국내 최고의 바닷속 경관과 생태계 환경을 보유하고 있어 2018년 해중경관지구로 지정됐으며 해양수산부 '해양레저관광 거점' 시범 사업지로도 선정된 섬이다.
'모세의 기적'이 일어나는 곳
▲ 죽도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에 위치한 섬(2023/10/24. 드론촬영) ⓒ 진재중
▲ 죽반 암반 화강암으로 이뤄진 죽도와 해조류 ⓒ 진재중
중략, 전문은 출처로
▲ 모세의 기적 육지와 섬이 연결되는 현상이 동해안에서 유일하게 나타나는 곳이다. (2022/2/17,드론촬영) ⓒ 진재중
▲ 죽도 섬이 화강암으로되어 있으며 생태자연도 지질경관 1등급으로 희귀식물이 자생하는 섬 ⓒ 진재중
고성군 사업비 410억 투입... 관광수입에 집착하는 지자체
중략, 전문은 출처로
▲ 죽도와 송지호 죽도에서 바라본 송지호와 해변(2023/10/24) ⓒ 진재중
중략, 전문은 출처로
▲ 흉물스런 시설물 죽도와 해변을 잇기위한 공사현장 ⓒ 진재중
전문은 출처로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