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수 여러가지 공덕들을 모두갖추고 자비로운 눈으로서 중생살피며 쌓은복덕 바다처럼 한량없기에 그러므로 모름지기 정례하도다 구일체공덕具一切功德 자안시중생慈眼視衆生 복취해무량福聚海无量 시고무정례是故應頂礼
-----♡-----
관세음보살은 스승 아미타불 앞에서 열 가지 넓고 큰 서원을 세운다 이를 <천수경千手經>에서는 '여래십대발원문'이라 일컫는다 '여래'와 '보살'은 칭호 자체가 다르다 재상을 보고 임금이라 칭하지 않고 임금을 재상이라 칭하지 않듯이 여래와 보살도 분명 이와 같다 보살을 각유정覺有情이라 칭하듯 아직 여래 경지에 오르지 않았다면 당연히 깨달음을 지향하는 중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수경>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십대발원문을 두고 '여래십대발원문'이라 하면서 관세음보살의 영원한 스승이신 극락세계 교화주 아미타불로 부른다 따라서 관세음보살의 서원이 아니라 아미타불의 서원으로 새기는데 발원문의 문맥을 잘 살펴보면 관세음보살의 서원이 분명하다 또한 천수관음보살의 경전이니까 [원문과 원문 풀이에 관해서는 생략]
<천수경>이나 또는 <대다라니는>는 모두가 천수경을 일컫는 이름이며 그중에서 '신묘장구대다라니'다 매일 대다라니를 정성껏 읽고 외우면 15가지 좋은 데 태어난다고 한다 모든 공덕을 다 갖추었다는 말씀은 보살이 닦고 쌓은 공덕의 표현이다 관세음보살의 고운 마음을 생각하고 관세음보살의 우아한 모습을 떠올리고 관세음보살의 깊은 사랑을 생각할 때 이미 그는 관세음보살과 가까워진다 이를 '삼밀가지三密加持'라 한다
●나는 곳마다 뛰어난 왕을 만나고 ●항상 좋은 나라에 태어나고 ●언제나 좋은 시절을 만나고 ●큰 스승 선지식을 만나고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하고 ●저절로 도 닦을 마음이 일어나고 ●사람으로서 법도를 어기지 않고 ●권속들이 두루 화합하고 ●곳간에는 재물이 풍족하고 ●틈만 나면 남에게 베풀고 ●재물에 손재수損財數가 없고 ●뜻대로 일이 이루어지고 ●언제나 선신善神이 옹호하고 ●세세생생 부처님을 만나 법을 듣고 ●들은 법문을 제대로 이해함이다
13가지 죽음을 당하지 않는다 한다 다라니를 외거나 염불念佛하면 필히 따라붙는 공덕이 있다 ●굶주림으로 인하여 죽지 않고 ●갇히거나 매 맞아 죽지 않고 ●원수의 손길에 죽지 않고 ●전쟁에 나가 죽지 않고 ●맹수에게 죽지 않고 ●독사나 독충에게 죽지 않고 ●수재나 화재로 죽지 않고 ●마약과 주술에 죽지 않고 ●외로움으로 죽지 않고 ●정신 이상으로 죽지 않고 ●험지에서 떨어져 죽지 않고 ●가위에 눌려 죽지 않고 ●귀신에게 홀려 죽지 않고 ●불치병으로 인하여 죽지 않고 ●스스로 목숨을 끊지 않는다
관세음보살 십일면 수원즉득다라니 <옴 마하 가로니카 사바하>를 날마다 108번씩 읽으면 14가지 공덕이 따른다고 한다 이 또한 관세음보살의 큰 공덕이다 ●몸이 항상 병 없이 건강하고 ●모든 부처님의 복을 받고 ●쓰고 써도 재물이 다함이 없고 ●원수로부터 항복을 받고 ●존귀한 이로 존경을 받고 ●마약과 맹독과 균에 상하지 않고 ●칼과 흉기에 상하지 않고 ●깊은 물에 빠지지 않고 ●불로 인해 화상을 입지 않고 ●뜻하지 않게 횡사하지 않는다 ●죽은 후에 부처님을 뵙고 ●악도惡途에 떨어지지 않고 ●죽을 때 험악스럽게 죽지 않고 ●숨이 멎으면 극락세계에 왕생한다
그러고 보니 장수도 하나의 공덕이다 오래 장수하는 나라 Top10이다 2023년 보건 통계 기준으로 대한민국은 83.6세로 3위다 오륙십 년 전만 하더라도 회갑 잔치를 제대로 차렸는데 요즘은 종심從心도 건너뛴다 한다 그래도 망구望九나 미수米壽 정도는 건너뛰지 말고 그냥 받는 것이 좋겠지!
1위 일본 84.5세 2위 스위스 83.9세 3위 대한민국 83.6세 4위 호주 83.5세 5위 스페인 83.4세 6위 아이슬란드 83.3세 7위 노르웨이 83.2세 8위 스웨덴 83.1세 9위 이탈리아 82.8세 10위 룩셈부르크 82.7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