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 워드프로세서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고민하는 사람들중,
이런저런 고민이 많아 시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사람이 있을거야. (내가 그럼)
그래서!! 고민이 많은 사람들을 위해 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공부를 했는지 후기를 써보려고 해!
실기는 아직 합격여부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100퍼센트 합격 느낌~^_^
그럼 시작할게~~!
1. 시험을 접수하기 전 나의 상황
- 한글97을 마지막으로 타이핑밖에 할 줄 모르는 컴맹.
- 한컴타자연습 기준 한글 400타, 영어 130타 이하.
(나는 영어/특수문자에서 버퍼링이 심하게 걸림.)
- 특수문자, 알파벳 몇 가지는 키보드를 보고 쳐야 하는 독수리타법.
- 실기 시험에서 지원하는 한글2010 버전과는 메뉴 구성이 너무나 다른 한글2007버전 보유
2. 공부기간
이런저런 핑계+나태함의 끝판왕으로 시간에 쫓겨 필기 3일, 실기 2일 만에 공부를 끝냄.
마지막 날에 몰아서 공부했기 때문에 시간이 굉장히 촉박했고
순수 공부시간으로 필기 30시간+자기 전 스마트폰으로 기출 문제 1~2회씩 풀기
실기 24시간 공부했어!!
절대 이렇게 공부하지 말어.. 실기는 잠도 안 자고 시험치기 2시간 전까지 컴퓨터 붙잡고 공부함.
3. 시험접수
시험접수는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에서 가능해. http://license.korcham.net/
응시료는 필기 15,700원, 실기 17,800원에 인터넷 결제 수수료 1200원 별도!
그리고 정기시험/상시시험이 있는데
정기시험은 정해진 날짜에만 접수,응시가 가능하고,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나올 가능성이 있어.
상시시험은 원하는 날짜에 응시가 가능하고, 문제은행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시시험이 훨씬 쉽다는 후기들이 있음.
그래서 나도 상시시험으로 접수했어!
그리고 날짜마다 정원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빨리 접수하는 게 좋아.
참고로 시험일로부터 5일 전까지는 3회 시험일 변경이 가능함!
4. 제한시간/커트라인
필기는 워드프로세싱 일반, PC 운영체제, 컴퓨터와 정보 활용 총 3과목이고
과목당 20문제씩 총 60문제를 60분 안에 풀어야 해.
각 과목당 40점, 평균 60점 이상 합격!
실기는 한글2010, MS워드2010 두 가지 버전 중 선택해서 응시가 가능하고,
제한 시간 30분 이내에 문서작성을 완료해야 해.
점수는 80점 이상 합격인데,
오탈자, 띄어쓰기, 엔터부터 시작해서 각 항목마다 3~5점 감점이기 때문에 때문에 커트라인이 높은 편이라 생각함.
5. 교재

나는 시나공으로 공부를 했어!
그런데 내가 사용한 필기 문제집의 경우 책에 핵심 요약본 없이
기출문제집+해설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요약본이 필요하다면 홈페이지에서 다운을 받아야 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요약본은 71페이나 됨.)
6. 필기공부

나는 핵심요약본 없이 바로 시나공 문제집을 이용해서 기출문제를 풀었어!
문제 바로 밑에 풀이와 함께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해주기 때문에
굳이 요약본이 필요하지 않더라구.
그래서 처음엔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문제 하나 풀면 해설 이론 보고 계속 반복했음.
그리고 나에겐 굉장히 낯선 단어, 개념인데 자주 나오는 것들은
형광펜으로 체크 후 더 꼼꼼히 읽고 노트에 정리해서 외움.

몇몇 문제들은 시나공에서 토막강의를 제공해!
영상은 2~3분 분량이고 잘 모르겠는 문제는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한 번 보니까 이해하기 수월하더라구.
그리고 피곤한데 잠은 안 올 때, 이동할 때 등등
스마트폰으로 전자문제집CBT 앱을 다운받아서 수시로 문제를 풀었어.
그리고 나는 이해를 바탕으로 쓰면서 외우는 타입이라
기출문제를 프린트해서 풀 때는 문제마다 왜 이게 맞는 답인지, 왜 틀린 답인지
개념을 직접 적어가면서 공부했어!!
하지만 커트라인이 워낙 낮기 때문에
도저히 외우지 못하겠는 것들은 깔끔하게 포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7. 실기공부

책에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도 충분히 따라올 수 있도록 각 기능을 자세히 설명해줘.
나는 그 기능을 하나씩 실습할 때마다 단축키나 팁 수행과정들을 노트에 바로바로 정리했고
노트를 봐도 잘 모르겠는 기능들은 책으로 바로 찾을 수 있게 노트에 페이지 정리도 해놨어.
이렇게 노트 정리를 한 후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시간 재면서 계속 품!
문제를 풀다가 책에서 가르쳐준 팁보다 내가 생각하는 팁이 훨씬 나으면 수정하고,
노트를 3번 이상 참고한 기능들은 빨간펜/형광펜으로 체크해서 더 집중적으로 봤어.
참고로 내가 정리한 노트는 생략한 부분도 많고 내가 알아보기 편하게 정리해놔서
따로 정리하는 게 좋을 것 같아~
그리고 쉬운 유형으로 시간 재서 30분 안에 완벽히 풀었다고 만족하지 말구
필드입력, 스타일편집+추가 4개, 영어 많이 나오는 복잡한 유형 있지? 그걸 기준으로 해!!
그게 요즘 나오는 시험 유형 같더라. 나두 그 유형으로 시험 쳤어.
8. 실기 작성순서
나는 시험치기 10시간 전까지 문서작성 시간이 33분이었음 T_T..
그래서 포기할까 말까 생각하다가 작성순서를 바꿔봄!
아래는 내가 작성했던 순서고 이 순서가 맞지 않는 사람들도 있을 거야!
그리고 스스로 공부하지 않고 이 작성순서에만 의지하면
얼핏 봤을 때 감점당할 수 있는 항목이 5군데는 되는 것 같아.
기출문제를 꼼꼼하게 읽어보고 많이 풀어봤는데도 도저히 속도가 나오지 않는 사람들만 참고해줘!!
1. 편집용지(F7)
2. 쪽 - 다단설정(중반에 설정하는 유형도 있음)
3. 쪽번호(Ctrl+N+P) -> 문제를 보고 판단해서 세부지시사항을 보지 않고 처리(위치,모양,시작번호지정)
4. 머리말, 꼬리말(Ctrl+N+H) 입력 -> 문제를 보고 문단정렬만 미리 함 -> 세부지시사항 나중에 처리
5. 쪽테두리 설정 -> 세부지시사항 제일 위쪽에 있어서 바로 편집
6. 글상자(Ctrl+N+B) -> 마우스로 길게 그리기 -> 텍스트 입력
필드입력(Ctrl+K+E)-누름틀 0000. 00. 00. 입력-> 세부지시사항 나중에 처리
7. 텍스트 입력, 한자변환(F9), 전각기호(Ctrl+F10)
8. 표(Ctrl+N+T) 만들기 -> 크기, 글자처럼취급 확인 -> 입력(탭을 이용해 오른쪽 이동), 블록계산은 표에 기재한 합계/평균을 보고 처리, 표를 가운데정리
표 캡션(Ctrl+N+C) -> 문제를 보고 캡션내용 입력, 문단정렬 -> 나중에 표 세부지시사항 처리 시 캡션 위치 변경.
9. 차트 제일 나중에 만들고 계속 입력
10. 모든 텍스트 입력 완료 후 들여쓰기(Alt+T) or 우클릭 문단모양
11. 세부지시사항 차례대로 수행. 차트는 제일 마지막에!
- 글자모양(Alt+L) 문단모양(Alt+T), 외우기 싫으면 우클릭
- 스타일 설정(F6)
- 각주(Ctrl+N+N)
- 표 블럭 후 L -> 테두리변경
- 이미지삽입(Ctrl+N+I)
- 하이퍼링크(Ctrl+K+H), 외우기 싫으면 우클릭. 우클릭이 더 빠름
12. 차트 완성
13. 오탈자 세부지시사항 점검
그 외 저장(Alt+S)은 수시로, 취소(Ctrl+z)등의 단축키를 사용함.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초반에 두 손을 이용하는 단축키를 모두 사용하는 방향으로 순서를 바꿨고
세부지시사항을 보지 않고도 처리할 수 있는 건 바로바로 처리했어.
이렇게 바꾼 후 1~6까지 설정하는데 2분가량 걸렸고 문서작성시간은 10분정도 단축됨.
그리고 아무리 늦어도 15분 내로 입력완료하고 지시사항들을 수행하는 게 좋아.
9. 한글 2010버전, 2018버전의 차이
시험은 한글2010이나 MS워드2010으로 응시해야 해.
나는 한글이 익숙하고 책도 한글로 설명해줘서 집에 있는 한글2007로 공부하려고 했지만
한글2010과 한글2007은 아주 딴판이라서 2007버전으로 공부하면 안 됨.
하지만 제조사에서 한글 2010을 판매하지 않음;;
그래서 급한대로 한글2018 체험판을 다운받아서 공부했어!
한글2018 체험판은 30일 동안 사용이 가능하고
https://www.hancom.com/cs_center/csDownload.do 이곳에서 다운받으면 돼!
2010과 2018은 어떻게 보면 차이가 있고, 어떻게 보면 차이가 없는데
시험장에서 몇가지 테스트 후 바로 2010버전을 사용해도 무리 없이 적응할 수 있는 수준이었어.
다만,
나는 단축키를 꽤 외웠고,
2018버전은 실기 채점프로그램이 지원되지 않는 것
편집용지(F7)에서 탭을 눌렀을 때 커서가 이동하는 순서가 다른 것.
쪽번호를 새번호로 지정할 때 2018버전은 쪽번호를 삽입하면서 새 번호 지정까지 처리가 가능했지만,
2010버전은 새 번호로 지정하기에 따로 들어가서 설정해야 하는 것.
차트 편집 시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
색상 구성이 달라 공부할 때는 색상 밝기를 알맞게 설정하는 방법을 모르겠다는 것.
차트 편집의 경우는 2010 버전이 훨씬 쉽기 때문에 책만 2~3번 보면 문제 없음!
색상 밝기도 2010버전에서 이미 있는 색을 선택하기만 하면 돼.
그리고 채점기준도 책에서 아주 자세히 설명해주기 때문에 채점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해서 불편한 건 없었어.
이 모든게 불안하다면 문서작성이 어느정도 가능한 시점에
유튜브로 기출문제 풀이를 2배속으로 보면서 2010버전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

참고로 책에서 설명해주는 채점기준.
어디서 띄우는지 다 설명해줌! (사진은 일부만 찍었어!)
10. 시험치기 전 주의할 사항
★ 집에서 수험표, 신분증 챙기기★
필기는 최소 15분 전
실기는 30분 전에 도착하는 게 좋아!
특히 실기는 무조건!!!!!!!
시험장마다 다를 수도 있는데,
내가 응시한 시험장은 15~20분 전에 입장시켜서 5~10분가량 한글2010의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해줬어.
그래서 낮은 해상도 적응과 2018버전이랑 다른 부분을 재빨리 확인하고 테스트했어.
나머지 시간에는 시험 주의사항 들음.
아 그리고!! 책상 위에는 아무것도 꺼내면 안 돼. 그러니까 필기구.. 자도 이용이 불가능!
컴퓨터에 기본으로 설정된 해상도 변경 불가능!
휴대폰 울리면 국가자격시험 2년 동안 응시 못 하니까 꼭꼭 종료!!!
내가 TMI라 글이 굉장히 길어진 것 같은데
그만큼 걱정이 많았다고 생각해줘 ㅋㅋㅋㅋ
그리고 필기 처음 공부할 때 무슨 말인지 1도 못 알아먹겠는 거 나도 그랬고
실기 처음 공부할 때 문서작성 1시간 넘게 걸린 거 나도 그랬어!!
그러니까 다들 자신감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면 좋은 결과 있을 거야!!!
모두 모두 화이팅!!!
저기 체크한 부분을 띄우니깐 문제지처럼 똑같이 되긴했는데, 함께 라고 쓰지 함 께 라고는 안쓰자나ㅠㅠ 그리고 원래 제곱미터도 다음에 한번 띄우지 두번 띄우지도 않고.. 이렇게 문제지 그대로 보이게 만드는게 맞는거야?
@갈우어엉 스타일 설정에서 들여쓰기나 폰트 등등 잘 맞는지 확인해보고
지시사항 다 지켰는데도 다르게 출력되면 다르게 출력되는대로 둬야해~
나 실기 4일만에 딸 수 있을까...?
삭제된 댓글 입니다.
시간 재려고 2018버전으로 계속 연습했어.
대신 시험용 버전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유튜브 영상이나 수험서 참고했구
그런데 시험용버전이 훨씬 쉬워서 적응하는데 무리는 없더라
혹시 아직있니? 물어봐도 될까?
그 표만들때 가운데 정렬..이건 그냥 글자처럼취급만 체크하면 돼?
이 표 경우 다 글자가 가운데 정렬이아니잖아! 아니면 별개로 표 속성에 글자처럼 취급하면 가운데 정렬이 되는거야..?이게 너무 궁금해서 댓글남겨봐 ㅠㅠㅠ
나도 딴지 오래돼서 잘 기억이 안 나는데
표 안에 글자를 가운데 정리하라는 말이 아니라(글자 정렬은 문제랑 똑같이 정렬해야함)
지시사항에 아마 표를 가운데로 정리하라는 문구가 있으면
표 앞에 커서를 놓고 가운데 정리하라는 말이야
@똥멍똥멍 아 그말이었구나ㅠㅠ 정말 너무 고마워 본문 진짜 도움 많이 됐어!!! 고마워!😄😄
@어렵군어려웡 웅ㅎㅎ 열공하고 합격행!!
채점프로그램 없이 공부하는거 ㄱㅊ았어?
아구ㅠ 내가 요즘은 커뮤니티 사이트에 거의 방문하지 않아서 댓글이 달린지도 몰랐어ㅠ
댓글이 너무 늦지 않았을까 싶은데
난 채점프로그램 없이 하는것도 괜찮았어!
채점기준이 책 앞에 있기 때문에 작성할때 어떤 부분을 좀 더 신경써야할지 충분히 파악이 되었고
지금은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실제로 시험을 칠때 타이핑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걸려서
채점프로그램에 신경쓰는 것보다는 지시사항을 빨리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게 더 효율적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