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3x3 대표팀은 5년 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김낙현-안영준-양홍석-박인태를 앞세워 결승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중국에 연장 접전 끝 패하며 아쉬운 은메달을 기록했다. 5년 만에 다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서 과연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3대3에 대한 분석을 제대로 하고 준비 많이 해야지, 저때 은메달은 안영준-양홍석 3점되고 골밑되고 수비 되는 2미터 언저리 선수들 있어서 가능했다 봅니다. 김낙현이 막판에 본헤드 플레이만 안했어도... ㅜㅜ
u23기준으로 명단 짰다고 했으니 이에 맞춘 기준으로 국대선발전을 했음 싶어요. 아마 이 팀이 우승할거 같긴 하지만 그래도 선발전 하고 안하고는 국대 정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한편으로 개인적으론 아쉬운 구성이네요. 2가드-2센터인데 상당히 스피디한 3대3 농구 특성상 투빅보다는 1센터-1장신 포워드 형태가 낫지 않나 싶거든요. 앞선 가드 두명 모두 가드포지션에서 작은 선수들이 아닌건 다행이지만 그래도 포워드 없는 3대3팀 구성은 좀 의외입니다. 개인적으론 앞선 대회보다 약한 멤버인데다 호주, 뉴질랜드까지 아시안게임 참가한다고 생각하면 금메달-면제는 고사하고 아무 메달이라도 따면 성공한게 아닐까 싶네요.
첫댓글 김동현...?
3x3은 3점이 2배라서 비중이 워낙 높다보니
이근휘같은 3점슈터가 필요한데 ㅠ ㅠ 그건 좀 아쉽네요
한편 3x3 대표팀은 5년 전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김낙현-안영준-양홍석-박인태를 앞세워 결승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중국에 연장 접전 끝 패하며 아쉬운 은메달을 기록했다. 5년 만에 다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서 과연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3대3에 대한 분석을 제대로 하고 준비 많이 해야지, 저때 은메달은 안영준-양홍석 3점되고 골밑되고 수비 되는 2미터 언저리 선수들 있어서 가능했다 봅니다. 김낙현이 막판에 본헤드 플레이만 안했어도... ㅜㅜ
양홍석은 대회 내내 3점 1개도 못 넣고 다 실패...
이때 본헤드다 vs 계속이정도콜은안불다 분거다 논란이엿던거생각나네요 ㅋㅋ
만약 저 세선수가 군면제됫음 fa때 장난아니엿을듯합니닼ㅋ
김동현? …..
서명진 이원석 이두원까지는 어느정도 납득이 되는데 김동현은 왜 저기 끼워팔기 되있는거죠?
1. 아마추어(대학무대)에서 검증되었는가? 이두원이 그런 경우일거고
2. 그럼 프로무대에서 검증 되었는가? 서명진 이원석이 그렇죠
이 두가지 중 해당되는게 김동현이 있나요?
검증은 아니지만 가능성을 보여주긴 했죠 ㅎㅎ 아직도 기억나는 3월 24일 전설의 SK전 연장 혈투! 김동현 버저비터로 연장까지 끌고 간 기념비적인 경기!
그나마 검증이 된건 U19 월드컵
2점 넣을만한 애가 서명진 밖에 없네..
이원석도 어쩌면 가능할지도 ㅎㅎ
김동현의 존재이유가??
3점 슈터가 필요하단 말에 동의합니다.
김정년이 속한 팀마스터욱이 센터만 좋으면 오히려 더 셀 것 같네요..
이게 그나마 메달 가능성 높아서
아예 이현중 여준석 나가면 좋았을거 같은데
예전에 카페에 이런 의견 나왔다가 사람들 난리 났었습니다 ㅜㅜ
프로선수들이 출전할거 100프로 예상은 했는데 확정되니까 더 빡치네요.팔렘방때는 그나마 선발전(이것도 어이없지만)이라도 치뤄서 명분이라도 있었지. 3x3는 그냥 군면제 도구로 쓰이는거에요. 팔렘방,저번 아시아컵으로 밑밥 충분히 깔아놨죠
선발전을 거쳐야죠. 본업 선수들이 배제되는 건 말이 안됩니다. 그리고 저 선수들이 면제되어야 할 당위성도 없고.
@풀코트프레스 그러니까요 뭐하면 포인트제라도 하든가 해야죠... 롤처럼 전반기 후반기 그리고 최종선발전까지 해서 포인트제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ㅡㅡ;
@호나섹 장 맞습니다. 지금 하는 거 보면 3x3을 하나의 독립된 종목으로 인정하지 않는거죠. 우습게 보는 거이기도 하구요.
길바닥에서 공던지고노는 애들정도로 인식,취급하나봅니다. 농구선진국에선 3X3가 자리를 잡은것같은데 우리나라는 그동안 계속 보여주기만 했나보네요.
김동현보단 아울스 정성조가 더 나아보여요.
룰 숙지하다가 끝날듯.
이 멤버를 이길만한팀은 없겠지만 과정은 거쳐야된다고봅니다
3대3도 겻ㄴ국 피지컬싸움인데 2미터넘는선수들이 유리한데
명진이 많이 컷네ㅋ
결국 프로가나가네요
3대3프로는왜 존재하죠? 어이가없는 처사입니다
군면제가자!
대체 선발전은 왜 안하는거죠?!!
면제때문에 ..그런갑다해도 3대3은 격투농구수준인데 약하네요 피지컬도
이원석 선수에게 좋은 경험은 되겠지만 과연 이 살벌한 3X3 무대에서 어떻게 버텨낼 수 있을지 걱정이 되기는 하네요
진짜 개판이네요..
어차피 저 멤버로 우승도못해요.. 몽골이런데 정말잘합니다.
몽골은 거의 월클이라 봐야죠. 유럽애들이랑 몸싸움 해도 안 밀리는...
@오마이줄리아 U19인가는 얼마전에 미국도 이겼더군요..
메달 못 딸 수도 있을 거 같은데...
뭔가 가능성이 안 보이는 멤버인데
멤버의 공정성 투명성이 전혀 없는 처사입니다 왜 일처리를 이런식으로 하는건지요???도대체 무슨 기준으로 어떻게 뽑았길래 이런 멤버로 뽑은거죠? 선발전은 왜안하는건가요????
서명진이 합류했다니
u23기준으로 명단 짰다고 했으니 이에 맞춘 기준으로 국대선발전을 했음 싶어요. 아마 이 팀이 우승할거 같긴 하지만 그래도 선발전 하고 안하고는 국대 정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한편으로 개인적으론 아쉬운 구성이네요. 2가드-2센터인데 상당히 스피디한 3대3 농구 특성상 투빅보다는 1센터-1장신 포워드 형태가 낫지 않나 싶거든요. 앞선 가드 두명 모두 가드포지션에서 작은 선수들이 아닌건 다행이지만 그래도 포워드 없는 3대3팀 구성은 좀 의외입니다. 개인적으론 앞선 대회보다 약한 멤버인데다 호주, 뉴질랜드까지 아시안게임 참가한다고 생각하면 금메달-면제는 고사하고 아무 메달이라도 따면 성공한게 아닐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