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뭐가 떠다닌다?" 실명 전 나타나는 전조증상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눈. 눈은 우리 신체 중 노화가 가장 빨리 찾아오는 기관으로 나이가 들면
누구나 시력 저하를 겪게 된다.
하지만 이를 당연하게 여기고 다른 증상까지 대수롭게 여기면 실명의 위험에 놓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치명적인 안구 질환이 오기 전 미리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에는 어떤 게 있을까?
닥터아이TV 신대환 원장은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유전병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발병하는 경우도
있지만 골든타임을 놓쳐 실명하는 경우가 더 많다”면서 실명 전 나타나는 전조증상에 대해 밝혔다.
유튜브 '닥터아이TV_안과의사 신대환'
첫 번째로 주의해야 할 증상은 비문증이다.
비문증은 눈앞에 날파리나 아메바같은 모양이 계속 떠다니는 증상으로 가장 큰 원인은 노화로 인한 유리체
변성이다.
수정체와 망막 사이를 채우고 있는 유리체가 나이가 들면 수축해 덩어리 지거나 주름이 생기는데 이 유리체의
그림자가 벌레 모양으로 망막에 비쳐 보이는 것이다.
유튜브 '닥터아이TV_안과의사 신대환'
신 원장은 “비문증은 보통 그대로 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몇 년 안에 시야에서 서서히 사라진다”면서 “그렇지만
망막열공이 생기면서 비문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꼭 안과에 가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갑자기 비문증의 개수가 수십 개로 많아지거나 어두운 곳에서나 눈을 감았을 때 빛이 천둥 번개처럼
번쩍거리는 경우에도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는 눈을 한쪽씩 가렸을 때 물체가 휘어 보이거나 먹물이 튄 것처럼 거뭇하게 보이는 증상이다.
이는 망막에서도 시력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황반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대표적 증상이다.
유튜브 '닥터아이TV_안과의사 신대환'
유튜브 '닥터아이TV_안과의사 신대환'
신 원장은 “격자무늬 종이를 벽에 붙이고 눈을 한쪽씩 가려 보면 이런 증상을 초기에 알아차릴 수 있다”면서
“대부분 서서히 병이 진행되지만 그냥 방치하게 되면 결국 실명까지 하게 될 수 있어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색감과 시야가 변하는 경우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신 원장은 “색감이 변한 것을 느끼고 시력이 떨어지고 보이는 범위가 좁아지면 시신경 염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면서 “시야의 변화는 녹내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눈의 안압이 시신경이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높아지면
점차적으로 시신경이 죽고 시야가 좁아지면서 결국에는 까맣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각장애인 유튜버 김한솔씨는 자신이 실명되기 전 겪은 전조증상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그는 “저도 눈에 뭐가 떠다녔다”며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 같은 것인지는 모르지만 앞에 동그란 막이 조그맣게
생기더니 점점 넓어졌다.
이게 저의 대표적인 증상이었다”고 말했다.
김한솔씨는 또 고등학교 때 실명한 자신의 친구 얘기를 전하기도 했다.
그는 “중학교 때는 잘 보던 친구가 갑자기 고등학교 때 안 보였다.
갑자기 앞에 커튼 친 것처럼 안 보인다고 했다”며 “축구시간에 헤딩을 할 때마다 커튼이 더 강해지고 눈 앞이 안
보이는 것 같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병원에 갔더니 ‘망막이 떨어졌다’고 했다”며 “늦게 수술을 해서 시력이 조금은 회복됐지만 결국 시각장애인
판정을 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가지뉴스
눈 앞에 뭐가 떠다니는 분들 보세요!
진료실에서 말해주지 않는 비문증 시술 및 수술! 안과전문의가 설명 드립니다
https://youtu.be/9F-4ttMbCbg?t=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