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황(姜得璜)
[무과]정조(正祖)8년(1784)갑진(甲辰)정시(庭試)병과(丙科)2027위(2031/2692)
국도본에 문효세자를 책봉한 경사로 정조가 시험문제를 직접 써서 내려 시행한 시험으로 윤지현(尹之鉉) 이하는 직부하였다고 하였으며 시험관과 무과 장원을 밝혔다. 장서각본에는 무과에서 장원인 고정환(高廷煥)의 생년, 아버지의 이름과 제주 출신임을 밝혔다. 1784년 09월 26일, 1784년 10월 02일
정조실록에 문과(文科)에서는 정취성(鄭㝡成)등 18인을 뽑고, 무과(武科)에서는 고정환(高晶煥)등 2천6백92인을 뽑았다고 나온다.
이 시험의 문무과 단회방목(單回榜目)은 현존하고 있다.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AC15B4DDD669B1745X0
생년 을축(乙丑) 1745년(영조 21)
합격연령 40세
본관 진주(晉州)
거주지 함종(咸從)
[관련정보]
[이력사항]
선발인원 2692명
전력 별무사(別武士)
[가족사항]
[부]
성명 : 강성로(姜聖老)
관직 : 양인(良人)
[출전]
《왕세자책봉경용호방(王世子冊封慶龍虎榜)》(국립중앙도서관[古朝26-28-66])
2008-12-31 《왕세자책봉경용호방(王世子冊封慶龍虎榜)》(국립중앙도서관)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정조 18권, 8년(1784 갑진/청건륭(乾隆) 49년) 9월 26일(무인) 2번째기사
춘당대에서 무과전시를 행하다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서 무과(武科)의 전시(殿試)를 행하였다. 문과(文科)에서는 정취성(鄭㝡成)등 18명을 뽑고, 무과(武科)에서는 고정환(高晶煥)등 2천6백92명을 뽑았다.
○御春塘臺, 行武科殿試。 文取鄭㝡成等十八人, 武取高晶煥等二千六百九十二人。
정조 18권, 8년(1784 갑진/청건륭(乾隆) 49년) 9월 29일(신사) 5번째기사
경과 문무방을 책자로 만들어 반포하게 하다
임금이 하교하기를,
“지난 선조(先朝) 을유년3869)에 윤각(芸閣)3870)에 명하여 용호방목(龍虎榜目)을 인출(印出)하여 서울과 지방에 반포하도록 한 것은 참으로 계술(繼述)할만한 일이다. 이번 경과(慶科)의 문무방(文武榜)을 규장각[內閣]에서 유별(類別)로 나누어 책자를 만든 다음, 이어서 교서관[外閣]에서 찍어서 바치도록 하고, 문무(文武)의 시관(試官)과 문과와 무과의 합격자 전원, 그리고 예조·병조·성균관·팔도(八道)와 양도(兩都)에 반포하도록 하라.”하였다.
註3869]을유년: 1765 영조 41년.註 3870]윤각(芸閣): 교서관(校書館)
○敎曰: “往在先朝乙酉, 命芸閣印出龍虎榜目, 頒布京外, 政合仰述。 今番慶科, 文武榜, 令內閣, 分類成冊子, 仍令外閣印進, 頒文武試官、文武科全榜, 禮、兵曹、成均館、八道、兩都。”
정조 18권, 8년(1784 갑진/청건륭(乾隆) 49년) 10월 1일(계미) 3번째기사
문과 합격자 전원과 무과 갑과 합격자들에게 말을 하사하다
문과(文科) 합격자 전원과 무과(武科)의 갑과(甲科) 합격자들에게 알성시(謁聖試)의 예에 의하여 말[馬]을 주도록 명하였다.
○命文一榜、武甲科, 依謁聖例給馬。
강득황(姜得璜) 1745 ~ ? 진주(晉州) 병과(丙科) 2027위
강성리(姜聖莅) 1740 ~ ? 진주(晉州) 병과(丙科) 2029위
순조 15권, 12년(1812 임신/청가경(嘉慶) 17년) 4월21일(계해) 12번째기사
적도를 정법한 질
적도(賊徒)를 정법(正法)한 질(秩)【김익순(金益淳)·이장겸(李章謙)·정경행(鄭敬行)·정복일(鄭復一)·정성한(鄭成漢)·김이대(金履大)·최이륜(崔爾崙)·홍총각(洪總角)·장봉첨(張奉僉)·윤언섭(尹彦涉)·나대곤(羅大坤)·최봉관(崔鳳寬)·유재하(柳載河)·양시위(楊時緯)·우군칙(禹君則)·이용태(李龍泰)·허우(許瑀)·정상현(鄭尙賢), 이상은 능지처사(凌遲處死)하였다. 김우학(金遇鶴)·김우갑(金遇甲)·강수흥(康守興)·이만봉(李萬奉)·남익현(南益顯)·김해옥(金海玉)·김인덕(金麟德)·남명희(南命熙)·이유복(李有卜)·이명흡(李明洽)·강윤성(康允成)·김용경(金用京)·박동(朴同)·이익수(李益秀)·이제초(李齊初)·김국주(金國柱)·김국신(金國信)·이무실(李茂實)·박성신(朴聖臣)·박인식(朴仁植)·김채룡(金采龍)·박춘엽(朴春曄)·명용운(明龍雲)·한택빈(韓宅彬)·문종저(文宗著)·김지범(金芝範)·나철소(羅哲素)·박삼옥(朴三玉)·한신행(韓信行)·김상진(金尙珍)·김이구(金履九)·김사검(金士儉)·이영수(李英秀)·박상현(朴尙玄)·계일항(桂一恒)·김달성(金達成)·김익명(金益明)·김인백(金仁白)·김대욱(金大昱)·김용천(金龍天)·장한원(張漢元)·송계득(宋桂得)·계심항(桂心恒)·양춘택(楊春宅)·이맹억(李孟億)·이윤승(李允升)·서취삼(徐就三)·김창재(金昌才)·김창근(金昌斤)·계응렬(桂應烈)·오일형(吳一亨)·계동(桂同)·김치련(金致鍊)·박채경(朴采景) 그리고 서울사는 한기조(韓箕朝)와 유한순(兪漢淳), 이상은 효수(梟首)하였다. 장홍익(張弘益)·최이항(崔爾恒)·조문형(趙文亨)·박인복(朴仁福)·박인초(朴仁初)·이상항(李尙恒)·김양욱(金陽郁)·김상주(金尙周)·원대천(元大天)·한일항(韓一恒)·장한우(張漢羽)·김훈(金勳)·정대성(鄭大成)·노계룡(盧啓龍)·정진항(鄭振恒)·한처곤(韓處坤)·허익신(許益信)·박정간(朴正幹)·유홍묵(劉弘默)·장호익(張浩益)·정지상(鄭志相)·박정용(朴正用)·김창배(金昌培)·양재학(楊載鶴)·김대훈(金大勛)·김봉추(金奉秋), 이상은 처참(處斬)한 자들이다. 홍경래(洪景來)는 탄환에 맞아죽은 것을 참(斬)하였고, 김창시(金昌始)는 조문형(趙文亨)이 참하여 바쳤으며, 이희저(李禧著)는 의병인 함의형(咸義衡)이 참하여 바쳤다. 유문제(劉文濟)·오용손(五龍孫)·백종회(白宗會)·김정우(金鼎禹)·최봉일(崔奉日)·신덕관(申德寬)·김맹첨(金孟瞻)·김기백(金起白)·김석하(金錫河)·김명효(金明孝)·이항엽(李恒燁)·이응저(李膺著)·서성각(徐成珏)·박대원(朴大元)·서광전(徐光田)·최봉운(崔奉雲)·이언항(李彦恒)·최치민(崔致民)·강창현(康昌玄)·최대형(崔大亨)·김이욱(金履郁)·박용연(朴龍淵)·박문혁(朴文赫)·김치용(金致用)·이정수(李廷秀)·정진교(鄭眞僑)·이흥철(李興喆)·강득황(姜得璜)·이대원(李大元)·김돌석(金突石)·강우서(康右西)·박대원(朴大元)·이장호(李長浩)·홍한곤(洪漢坤)·이득천(李得千)·장봉헌(張鳳憲)·박현우(朴玄右)·박성신(朴聖臣)의 딸 박소앵(朴小鸚), 이상은 처참된 자들이다. 김사용(金士用)은 창에 찔려 죽었고, 김윤해(金允海)는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 김치관(金致寬)·문영기(文永基)·한지겸(韓志謙)·박계련(朴界璉)·고윤빈(高允斌)·김성각(金成珏)·김진명(金振明)·홍명(洪命)·계항대(桂恒大)·장지운(張志運)·김치관(金致寬)·홍이일(洪履一)·정신지(鄭信之)·명문규(明文圭)·윤태현(尹太賢)·김국신(金國臣)·홍이팔(洪二八)은 병화(兵火)에서 죽었다. 이상은 경폐(徑斃)한 자들이다. ○이상은 평안감사 정만석(鄭晩錫)이 편집한 《계첩기략(啓牒紀略)》과 안주목사 조종영(趙鍾永)이 편집한《관서평란록(關西平亂錄)》에 실린 바를 서로 참조하여 뽑아 넣은 것이다.】
○賊徒正法秩。【金益淳、李章譧、鄭敬行、鄭復一、鄭成漢、金〈履〉大、崔爾崙、洪總角、張奉僉、尹彦涉、羅大坤、崔鳳寬、柳載河、楊時緯、禹君則、李龍泰、許瑀、鄭尙賢以上淩遲處死。 金遇鶴、遇甲、康守興、李萬奉、南益顯、金海玉、金麟德、南命熙、李有卜、李明洽、康允成、金用京、朴同、李益秀、李齊初、金國柱、金國信、李茂實、朴聖臣、朴仁植、金采龍、朴春燁、明龍雲、韓宅彬、文宗著、金芝範、羅哲素、朴三玉、韓信行、金尙珍、金履九、金士儉、李英秀、朴尙玄、桂一恒、金達成、金益明、金仁白、金大昱、金龍天、張漢元、宋桂得、桂心恒、楊春宅、李孟億、李允升、徐就三、金昌才、昌斤、桂應烈、〈吳〉一亨、桂同ㆍ金致鍊、朴采景, 京居人韓箕朝, 及兪漢淳以上梟首。 張弘益、崔爾恒、趙文亨、朴仁福、朴仁初、李尙恒、金陽郁、金尙周、元大天、韓一恒、張漢羽、金勳、鄭大成、盧啓龍、鄭振恒、韓處坤、許益信、朴正幹、劉弘默、張浩益、鄭志相、朴正用、金昌培、楊載鶴、金大勛、金奉秋以上處斬。 洪景來中丸被斬, 金昌始, 趙文亨斬納, 李禧著義兵咸義衡斬納, 劉文濟、吳龍孫、白宗會、金鼎禹、崔奉日、申德寬、金孟瞻、金起白、金錫河、金明孝、李恒燁、李〈膺〉著、徐成珏、朴大元、徐光田、崔奉雲、李彦恒、崔致民、康昌玄、崔大亨、金履郁、朴龍淵、朴文赫、金致用、李廷秀、鄭眞僑、李興喆、姜得璜、李大元、金突石、康右西、朴大元、李長浩、洪漢坤、李得千、張鳳憲、朴玄右、朴聖臣女小鷪、以上被斬。 金士用槍死, 金允海飮藥自斃。 金致寬、文永基、韓志〈謙〉、朴界璉、高允斌、金成珏、金振明、洪命、桂恒大、張志運、金致寬、洪履一、鄭信之、明文圭、尹太賢、金國臣、洪二八, 死於兵火以上徑斃。 ○以上平安監司鄭晩錫所編《啓牒紀略》, 安州牧使趙鍾永所編《關西平亂錄》, 所載參亙抄入。】
첫댓글 이희저(가산 거부, 선달)의 인척인 강득황과 상인 김대훈이 이들(호병, 만주 도적)과 닿아있으니 일을 꾸밀수 있을 것이다...140 - 141쪽, 홍경래 난, 최항기,2006년, 도서출판 함께읽는 책
무과 급제자와 홍경래 난의 강득황은 동명이인 인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