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토마토 당근 오이 배
(리스트는 엔하위키+여시들이 도와줌)
가짜 순우리말이 유행했던 이유: 90년대~ 2000년대 사이 북한+프랑스의 영향과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한글파괴, 일제의 잔재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등으로 한자어 및 외래어 (외래어도 당당한 한국어입니다! 외래어는 외국어랑 다름)를 대체할 말을 찾게 되었고, 그 와중에 사람들이 마구잡이로 지어낸 (주로 인터넷 판소에 이용...당시는 귀여니 등으로 인터넷 소설도 엄청 유행하던 시기..) 말들이 뒤섞여 출처도 근거도 알수없는 인터넷에 마구 퍼지면서 걷잡을수 없게 됨...
물론 이때 생긴 신조어 중에 좋게 쓰이는 말도 많음. 예를들어 누리꾼이나 동아리...
그러나 어디까지나 순우리말이라기보다는 신조어에 가까움.
순우리말에 대한 기준은 학자마다 다르지만, 여기서는 적어도 예전부터 존재하고 근원이 비교적 확실한 다른 언어에 섞이지 않은 순수한 그 나라나 민족의 말로 정의할게요.
사실 순우리말이라는거자체가 순우리말이 아님....'순'이 한자니까..그만큼 순우리말은 많이 잃어버렸고
순우리말로만 대화한다는건 무리수가 큼.
언제 만들어졌든 사람이 만든건데 왜 쓰면 안됨? 원래 언어는 계속 변화하는거 아님?
ㅇㅇ...맞음...그리고 쓰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님! 다만 순우리말이라고 할순 없는거고, 특히 여기 적힌 순우리말들은 자연스럽게 생겨난 단어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거라는걸 기억해야함.
(자연스럽게 생겨난 신조어로는 꽁기꽁기하다, 후달리다 뭐 이런단어들이 있음...)
이러한 "가짜 순우리말"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언어대중이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어휘들을 쉽게 유포시키기 위하여 그 어원을 왜곡하는 단어들이기 때문이다. 예전 유학자들이 모든 고유어를 한자로 음차하여 어원을 찾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순수한 의미의 '우리말'이 존재하며 또 그 말이 다른 외래어나 외국어에 비해서 우월하냐는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언어의 목적은 어떤 특정 의도를 가진 어휘를 유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대중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것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기존 우리말에서 유래한 합성어나 파생어조차 아닌 외국어 또는 전혀 의미불명의 단어를 성급하게 순우리말로 알리고 유포하는 것은 분명히 언어활동의 명확성을 해치는 잘못된 행위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어들이 전통적으로 전해져 내려온 순우리말이라기보다는 신조어나 유행어에 가깝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면, 그 단어들의 사용 자체를 배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미 만들어진 단어를 언어대중 사이에서 강제적으로 배격하는 것은 일방적인 언어정화운동이나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소한 순우리말이니까 썼다는 말은 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엄연히 순우리말이 있는 경우에는(가령 바다와 '아라')는 더더욱 그렇고.
특히 일부 정부기관까지도 공공명칭 명명에서 이런 단어들을 순우리말이라고 사용하고 있어서 논란이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과연 이런 단어들을 "창조적으로 조어"한 것이 누구인지,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는지, 무엇보다 외래어를 순화하여 국어의 지평을 넓히는 차원도 아니고 이미 순우리말이 존재하는 단어에 새로이 순우리말임을 주장하며 덧붙일 필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가짜 순우리말 리스트:
뜻이 틀린 경우 (단어 자체는 존재하지만 본래 뜻이 아닌 다른 뜻으로 잘못 쓰이는 단어)
- 가리온 - 일부층에 '백두산 천지에 산다는 환상종'으로 잘못 알려져있다. '검은 갈기의 하얀 말' 자체가 드물지만 실제로 존재하며, '가리온'은 말의 털색을 구분하는 많은 말 중에서 저러한 말을 가리키는 단어일 뿐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그런 '순우리말'도 아니지만 현시점에서는 우리말은 맞으며 뜻 자체가 잘못 알려진 우리말이므로 기록한다. 자세한 것은 해당항목 참조.
- 나르샤 - 날아 오르다
별도의 단어(명사꼴)가 아니고, 《용비어천가》 출전, '날다'의 극존칭. 현대어로는 '나시어서(나셔서)' 정도에 해당한다.
참고로 인도 전설에 '나르샤'라는 거대한 호랑이가 있다. 정글북에 등장하는 호랑이 쉬어 칸도 마찬가지로 인도 전설에서 등장하던 호랑이. - 나린 - 하늘이 내린
단순히 동사 '내리다'의 고어형인 '나리다'의 활용. 다만 그 당시에는 '내리다'라는 단어 자체에 '하늘이 내리다'라는 의미의 관용적 용법이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 단어가 '하늘이 내린'이란 의미로 유포되었을 때 해당 용법의 출처까지 같이 유포되었어야 한다. - 마루 - 하늘
'마루'라는 토박이말 단어는 있으나, 지붕·산·파도의 정상, 일의 한 고비 등을 의미할 뿐, 하늘이라는 뜻은 없다. 또한, 마루가 하늘의 순우리말이라고 하면, '하늘'은 마치 순우리말이 아닌 것처럼 오해할 소지가 있다. - 맛조이 -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동사인 '마주치다' 의 방언이라 한다. - 숯 - 신선한 힘
힘세고 강한 신선함!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숯(목탄)을 "신선한 힘"이라고 광고한 사람이 있었음직하고, 그 광고를 그야말로 곧이곧대로 믿고 이 목록에 기재한 불쌍한 사람도 한명은 있었음직하다. 그런데 숯을 이용한 제품에 박스에 "숯은 신선한 힘의 순우리말입니다."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본적이 있다. 침대는 가구가 아니라 과학이라는 광고 문구와 마찬가지 의외로 널리 전파된 가짜 순우리말 일지도 모른다. 물론 목탄을 말하는 숯 자체는 순우리말이 맞다. - 아리수 - 한강의 우리
그냥 한강이란 뜻. 게다가 水는 한자다. 아마도 "한강의 우리말"에서 탈자가 난 채 유포되고 있는 모양이다. - 한울 - 우주
토박이말 조어요소로 만들어진 천도교에서 만든 종교용어.
합성어, 파생어 (원래 있던 우리말, 혹은 우리말과 한자어를 변형 또는 합성해서 만든 신조어.)
합성어기때문에 단어의 일부는 순우리말인경우도 있음! 다만 저걸 한 단어라고 우기게 되면 합성어, 신조어가 되는것.
- 그린나래 - 그린 듯 아름다운 날개
- 그린내 - 사랑하는 사이, 연인
- 그린비 - 그리운 남자
외솔 최현배 선생이 주장했던 조어. 어원은 '그립-'과 '선비'. - 길가온 - 길 가운데
- 꽃가람 - 꽃이 있는 강. 꽃과 강의 옛말 가람과의 합성어이다. 그런데 아래 목록에 있는 '가람'을 보면 가람이 과연 토박이말인가는 의심해 볼 여지가 있다.
- 눈바래기 -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하다
- 늘솔길 -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 다소다 - 애틋하게 사랑하다. 능엄경 언해의 "神變을 ㄷㆍㅅㄴㆍㄴ 젼ㅊㆍ로(以愛神變故) (여기서 ㆍ는 아래 아)"에서 보듯이 중세어 'ㄷㆍㅅ다'는 사랑하다의 뜻을 가진 말인데,
현대적 표기로는 '닷다'가 맞을 듯.'ㄷㆍㅅ오다'~'ㄷㆍㅿ오다' 역시 엄연히 확인되는 어형이다. 현재는 'ㄷㆍㅅㆍ다 > 따스하다'에서 그 희미한 그림자를 남기고 있다.
명사형 '다솜' 은 실제로 어원적 근거가 있는 단어로, 중세 단어 'ㄷㆍ솜'의 현대적 표기. '다소다'는 이 '다솜'의 이분석에서 생겨난 것이 아닌가 싶다. - 라온제나 - 기쁜 우리
- 라온하제 - 즐거운 내일. (다만 '라온'이란 말과 '하제'라는 말은 따로따로로는 각각 설명된 의미로 존재한다. 한국어에서 이렇게 단어를 통사적인 순서대로 이어붙여서 합성어를 만드는 것이 아주 흔한 일이긴 하나, 띄어쓰기 항목에서 설명하듯 고착화되어 의미가 합쳐진 말이 아니면 띄어 쓰는 것이 옳으므로(허용되기는 한다. 절대 온도와 절대온도처럼.) 이렇게 붙여 쓰는 것부터가 설득력을 떨어뜨린다.)
- 라온힐조 -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가 이른 아침의 순우리말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은 한자 고어로 '(이튿날) 이른 아침'을 나타내는 詰朝이다. - 미리니름 - 결말에 대한 사전 누설 = 스포일러
눈물을 마시는 새의 개념인 니름을 차용하여 이영도 팬덤(정확히는 드래곤 라자 클럽)에서 만든 합성어. 연원이 분명하며, 유포되는 순우리말 목록에는 끼어 있지 않다. - 비마중 - 비를 나가 맞이함
- 별바라기 - 먼 곳에 하염없이 시선을 두고 있음
원래 목록에서는 '먼산바라기'라는 단어의 유의어로 다루어 기재하고 있다. '먼산바라기'는 설명된 뜻으로 실재하는 단어. - 사나래 - 천사의 날개
애초에 순우리말에 어떻게 날개를 단 '천사'가 나오겠는가. 선녀라면 모를까… 동양에서 천사는 천자 그러니까 중국 황제가 보낸 사신을 의미했다. - 싸울아비 -
Kampftmann무부(武夫)? 각종 무협지 비스무리한 창작물에서 이것이 백제 시대에 있었던 무사 조직이고, 화랑 같은 걸 배웠나? 일본으로 건너가 사무라이가 되었다는 환빠의 냄새가 짙다 얼치기 언어학을 동원하는데, 절대로 낚이지 말자. 사실 '싸우다'란 말은 용비어천가(1447)만 해도 '싸호다'라고 썼다. # 이 조어대로면 '싸홀아비'가 되어야 하므로, 이게 와전되어 '사무라이'라면 흠좀무… 그런데 이것마저도 중세국어와 고대국어의 차이를 무시할 때의 말이다! 참고로 일본어 samurai의 중세어형은 sa-mur-api로, 뒤쪽의 morapi는 현대 일본어 ma-moru (지키다)의 어근인 mor-의 활용형이다. 뜻은 '곁에 서서 지키는 사람(侍)' 정도. - 1962년 11월 20일자 동아일보 기사에 당시 배화여고의 교사였던 김영곤씨가 대본을 맡은 '강강수월래'라는 드라마에서 옛날 무사를 대체할 '싸울아비'라는 현대어를 만든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는 내용의 인터뷰가 있어.
- 아이서다 - 임신
방언으로 "아이가 서다"라는 표현은 하지만, 단어로 합성해 쓰지는 않는다. - 예그리나 - 사랑하는 우리 사이
해당 항목 참조. '예+그린+아'의 합성으로 여겨진다. 러시아어라는 주장도 있다. Егрина?
관악문화관도서관 지하1층 카페테리아 이름을 이것으로 했다가 2011년경 변경되었다. - 옛살비 - 고향. 옛- + 살- … 등등으로 분석될 수 있어 최소한 이 문서의 맨 아래에 존재하는 대체 어떻게 하면 이걸 순우리말로 해석할 수 있을지 궁금한 단어들보다는 그럴듯하긴 하지만, 이렇게 해석하자면 대체 '-비'라는 형태소가 어디서 나온 것인지? '-터'라면 또 모를까.
- 자리끼 숭늉 - 밤에 마시기 위해 머리맡에 둔 물그릇
'자리끼'만으로 이미 설명해 놓은 뜻이 성립하며, '숭늉'은 불필요. 그나마 양심은 있는지(?) 어절은 나눠 놓았다. 역전 앞 과 같은 식의 잉여적 표현이다. 자리끼로 떠다 놓은 '숭늉'이라는 의미에만 한정하면 잘못된 말은 아니다. - 푸르미르 - 청룡의 순우리말.
합성어. '푸르다'의 어간만 떼어 미르에 연결하였다.시적 허용 '푸른 미르'라면 차라리 맞다. - 한배검 - 단군의 순우리말로 말려져 있지만, 원래는 대종교 용어. 대종교 관련 시설 외에 한배검이라고 씌어진 단군성전이나 비석은 대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 해밀 - 비가 그친 뒤 맑은 하늘
- 휘들램 -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1~12월의 순우리말 이름이라고 돌아다니는 짤방. 지나치게 시적(?)인 작명센스는 그렇다치고 프랑스 공화력같다 전통적인 고유어 달 이름은 아니다. 민간환경운동단체인 '녹색연합'에서 '우리말 달 이름 쓰기' 운동을 벌이면서 새로 지은 이름들. 그런데 견우직녀(牽牛織女)달은 고유어도 아닐텐데...견우직녀부터가 중국이야기잖아?… 전통적으로 한국에서는 정월과 섣달을 제외한 달 이름은 그냥 숫자로 불렀다. 예외로 11월을 '동짓달'이라 부르기도 했지만 동지가 한자어다.
고유명사 (순우리말 이름의 주관적 해석을 그냥 전재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단어 자체의 의미는 이 목록에서 해석하는 것이 맞을 수 있지만, 당연히 시적 허용이 상당히 많이 가미된 비표준어들이 많이 들어있고, 일반명사로는 안 쓰인다. 한마디로 이름을 지으면서 이뜻인데요? 하는걸 그대로 단어랍시고 가져온것. 이름은 원래 축약적의미고 개인의 것이니 그렇다 하지만 일반명사로 쓸순없다. 귀한아들이라 개똥이라고 지었다고 해서 개똥이라는 단어가 귀한아들이라는 뜻이 되진 않는것처럼..)
-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뎃길로 가라고 지어준 이름
- 늘해랑 -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강한 사람 이건 HOT 팬들이 우혁에게 만들어준 닉네임
- 다원 - 모두가 원하고 모두가 사랑하는 사람. 그러나 원(願)만 해도 한자어다. 이건 HOT 팬들이 재원에게 만들어준 닉네임
- 다흰 - 온 세상을 희게 하는 사람 이건 HOT 팬들이 토니에게 만들어준 닉네임
- 단미 - 달콤한 여자, 사랑스러운 여자
- 새라 - 새롭다
- 은가람 - 은은히 흐르는 강
- 은가비 - 은은한 가운데 빛을 발하라
- 초아 - 초처럼 자신을 태워 세상을 비추는 사람 이건 HOT 팬들이 희준에게 만들어준 닉네임
단어는 있으나, 풀싹이라는 뜻으로 한자어다. (草芽) 이 해석은 순우리말 이름에 등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어느 부모님의 애정어린 작명의도가 아닐까 싶다. 그렇다고 순우리말 및 그 뜻으로 주장, 유포해서는 곤란하다. 한편 로터리 클럽의 표어인 '초아의 봉사'의 超我는 자신을 초월한다는 뜻이다. - 하나린 - 하늘에서 어질게 살기를 바람
- 하람 - 꿈의 뜻,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음절을 따 지은 이름. 웃긴 것은 아랍어로 '금지된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게 그 유명한 하렘의 어원이다.
HOT 팬들이 HOT에게 만들어준 닉네임이 많다....아무래도 이런단어들이 팬픽에서 많이 만들어지다보니까.....;;;;
그런데 무아강타는 어디갔지..ㅠㅠㅠㅠ 강타오빠....
한자어, 외국어 및 외계어 (순우리말과 어감이 비슷한 외국어를 순우리말로 착각한 것으로 여겨진다.)
- 씨밀레 - 친구
Simile. 본래는 음악 용어. '이전과 같게 연주하라'라는 뜻. 또한 라틴어 에서 '똑같이'라는 뜻을 지닌 부사이기도 하다. 혹시 로마 제국이랑 한민족 국가들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었는지 모르는 사람? 대학가 음악동아리 등에서 '영원한 친구'라는 뜻으로 사용하던 것이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은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고급 관광열차 해랑의 일정 이름으로도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 - 아미 - 눈썹과 눈썹 사이, 즉 미간
육군蛾眉. 누에나방의 눈썹이라는 뜻으로, 가늘고 길어 아름다운 눈썹을 일컬음이지 미간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한자어이므로 순우리말은 더더욱 아니다.
진짜인지 가짜인지 불분명한 경우
- 가람 - 강의 순우리말로서 용비어천가 제20장의 "ㄱㆍ ㄹㆍ매 ㅂㆎ 업거늘(河無舟矣) (여기서 ㆍ은 아래 아)"에서 보듯이 '강 또는 호수'의 의미로 사용된 중세어에서 유래하나, 표준어가 아니다. 현대어에서는 가람 = 호수, 가름 = 강으로 구별하여 쓰는 것이 나을지도 모름. 그런데 '가람' 자체가 한자 강(江)의 상고음이 전래된 것이라는 연구도 있다. 바람(風)도 마찬가지. '개울', '시내' 정도면 비슷한 의미를 담을 수는 있지만, 크고 아름다운 민물을 뜻하는 말은 아니라서 쓰이는 듯하다.
- 까미 -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없는 말. 다만 검은 고양이를 뜻하는 '새까미'라는 경남 사투리는 있다고 한다. - 아라 - 바다
바다의 옛말이라고는 하나 근거는 없다. 그리고 아라가 바다의 순우리말이라고 하면, 바다는 마치 순우리말이 아닌 것처럼 무의식적으로 인식되어 버린다. 바다야말로 신라관직명 波珍飡(흔히 파진찬으로 읽지만, 珍은 삼국시대에 자주 훈독하여, 돌,들로 읽는다)과 고구려 지명 波旦(한자식 발음으로 읽으면 '파단')등에 등장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순우리말이다. - 아사 - 아침
삼국유사에 나오는 아사달이라는 지명을 朝鮮의 훈으로 보아, 아사=朝에 대응시키는 견해가 있고, 한국어 아침과 일본의 아사의 동계어 여부를 다루기도 하나, 확실한 것은 한국문헌기록에 아사가 아침의 뜻으로 쓰였다는 뚜렷한 기록은 없다는 것이다. 유포된 목록 중 일부에서는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환빠의 냄새가 난다. - 타니 - 귀걸이
자료에 따라 토박이말이 맞다고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러시아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사실, 귀걸이의 토박이말이 저 단어가 맞다면, "귀에 걸면 귀걸이요 코에 걸면 코걸이다" 라는 속담은 대체 뭘까? 귀걸이의 형태소인 '귀-', '걸-', '-이' 3가지가 전부 순우리말인데! - 헤윰 - 생각. 이 쪽은 실제로 순우리말이 맞을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고려 말에 쓰여진 정극인의 '상춘곡'이란 가사에서 혜음이란 단어가 실제로 등장한다(단표누항에 흣튼 혜음 아니 하니). 그런데 '생각'도 순우리말이다. 뭐 생각을 生覺이라고 쓰는 식의 한자부회도 있지만, 쓰는 입장에서도 웃자고 쓰는 거니까. 생각하다의 옛말인 '혜다'를 (현대어에도 '헤아리다'라는 말에 흔적이 남아 있다) 명사화 한 단어라면 어느정도 납득은 간다.
출처불명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
- 꼬꼬지 - 아주 오랜 옛날
- 난이 - 공주의 순우리말
- 듀륏체리 -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 굉장히 흔한 대상을 지칭함에도 인터넷에서 떠돌기 전까지 아무데서도 쓰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가짜 순 우리말임이 확인된다. 또한 구전되어 내려온 한국어에 '듀'와 같은 음소가 존재할 리가 없다. 현대 한국어로 오면서 구개음화가 일어나 댜, 뎌, 됴, 듀, 디, 탸, 텨, 툐, 튜, 티 등이 모두 자, 저, 조, 주, 지, 차, 처, 초, 추, 치 등으로 변했기 때문. 그래서 '주륏체리'였다면 그나마 설득력이 개미 발톱만큼 증가했을지도 모른다.
- 마소두래기 - 말(言)을 이곳저곳 옮겨 퍼트리는 것.
- 바오 - 보기 좋게
- 베론쥬빌 - 배신을 당한 여성. 애초에 한국어에선 '쥬'라는 음소가 존재할 수가 없다. 차라리 '베론주빌'이었다면 그나마 설득력이 개미 발톱만큼 증가했을지도 모른다. 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 문서를 보자.
- 수피아 - 숲의 요정
빌리 헤링턴? 대우에서 내놓은 에어컨 브랜드를 이 이름으로 광고한 적이 있는데, 그 영향을 받아 조어했을 가능성이 있다. 광주광역시에 있는 모 여자 고등학교 이름이 어원으로 수피아는 사실 영어 'Spear'였다. 창립자 스피어 여사의 성을 따서 지은 학교이름. 한마디로 수피아는 숲의 요정이 아니라 이사장 선생님이었던 것. - 아띠 - 친구. 출처불명의 단어. 게다가 이미 '벗'이라는 훌륭한 토박이말이 있다. 비교적 최근(18~19세기)에 생긴 '동무'라는 말도 있으나…. 모두가 아는 이유로 동무는 잘 쓰이지 않는다.
- 아리아 - 요정. 한국의 설화 체계에 요정이란 게 있었던 적이 있었나? 애초에 요정이란 단어가 서양의 fairy를 억지로 번역하기 위해 만든 단어라는 것으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아토 - 선물. 역시 순우리말로 보기에는 음소가 매우 이질적이다.
- 어라연히프 - 치마를 입고 화살을 쏘는 여성들. 모티브가 되었을 법한 '어라연(於羅淵)'은 영월 동강 상류에 있는 이름난 계곡이고, 그것도 근처에 있던 절 이름을 따왔으므로 당연히 한자어다.
히프는 엉덩이인 것 같다 - 커리쉴하프 -
Curryshielhalf 마을 수장의 전쟁 도구/장비. 특히 관직이 아닌 마을 수장을 운운하여 국가 성립 이전의 시기를 연상케 하는데, 고유의 문자가 없어 삼국시대의 인명들조차 한자로 구전되는 마당에 상고대 언어가 구전되어 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 퍼르퍼르 - 가벼운 물체가 가볍게 날리는 모양. "펄펄 눈이 옵니다"의 '펄펄'을 일부러 잡아 늘인 것인 듯.
- 해류뭄해리 - 가뭄 뒤의 시원한 빗줄기
海流門解利
--------------------------------------------------------------------------------
다시말하지만 쓰지말자! 는 아니예요...그렇게 따지면 인터넷 용어, 신조어는 다 못쓰게?
(당장 이글의 제목부터가 인터넷에서 나온 용어...)
달이름이나 이런건 되게 시적이고 예쁘고 취지도 좋고...
다만 순우리말! 옛날부터 있었던 말! 은 아니라는거. 이것만 알고 있으면 쓰는건 본인 자유임!
첫댓글 @@@@@@한글날이라서 끌올했어요!! 아까 올린 글보다 설명이 조금 더 추가되어있는 걸로 가져왔어요. 원글여시 끌올 원치않으시면 댓글주세요!
@김종인공식여친 바로 수정했는데 빠른 여시...!!!!!!! 고마워요 수정했어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바로 수정했는데 빠른 여시...!!!!!!! 고마워요 수정했어요♥♥
이건 볼때마다 듀륏체리랑 베론쥬빌에서 존나 터짐ㅋㅋㅋㅋㅋㅋㅋㅋ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22 ㅋㅋㅋㅋㅋ 어이없어진짜
삭제된 댓글 입니다.
'라온제나'가 아닌 거고 '라온'은 우리말 맞습니다.
hot 존웃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해류뭄해리 쓰는 친구 봤는뎈ㅋㅋㅋㅋㅋ
나도 그래서 저런 거 짱 싫어
그 순우리말 월, 일 그것도
저거 수피아는 그 브루노와 챙? 그 외국인 두 명 나오는 프로그램에서 여행 다 끝 마치고 한국말 테스트할때 순우리말이라면서 퀴즈로 나와서 진짠줄 알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