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국가의 형성(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학습목표> 가.청동기의 보급으로 인한 사회 변화상을 이해한다. (1).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①청동기의 보급 ○시기 : BC10세기경 ○청동기 시대의 유물→만주 요령성, 길심성등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널리 분포 .석기 : 반달 돌칼과 바퀴날 도끼, 홈자귀, 괭이 등→농기구로 사용 .토기 : 미송리식 토기와 민무늬 토기 .청동기: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화살촉 등 ☞청동기는 어느 지역으로부터 전해졌는가?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알아보자
②철기의 보급 시기 : BC4세기경 ○초기 철기시대의 유물 .철제 농기구의 사용 → 농업 생산력의 발전 .청동기→ 의기화 .토기 → 붉은 간토기,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중국과의 교역 →명도전, 붓 출토 ○독자적 청동기 문화의 발달 :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등
③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경제 생활 ○생산경제의 발달→농기구: 반달돌칼, 돌도끼, 홈자귀, 괭이 등 조.보리.콩.수수→벼농사도 시작 수렵과 어로의 비중 약화→가축 사육 증가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주거 생활 . 장방형의 움집→점차 지상가옥으로 변화 . 다양한 크기의 집자리 .집단 취락 형성→농경발달과 인구 증가로 인한 정착 생활의 규모가 점차 확대
④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사회 생활 ?남녀 간의 전문적 분업 ?빈부의 차이와 계급의 분화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 무덤 ?군장의 등장→선민사상 대두
☞고인돌은 어떤 사람의 무덤이었을까?. 형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⑤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예술 ?성격 : 종교 및 정치적 요구와 밀착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사냥과 물고기 잡이의 성공 기원 ?고령의 바위그림→동심원, 기하학적 무늬
초기철기 시대
좁은동검
신분을 상징하기 위한 또는 의기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청동으로 제작되었다. 청동기시대의 비파형동검(요령식동검)에서 발전한 형식으로서 한국식동검이라고도 불린다. 비파형동검에 비해 검신의 폭이 좁고 곧으며 밑에는 짧은 슴베가 달려 있다. 길이 30.2cm
동모(銅矛)
자루에 끼울 수 있도록 굇통이 준비된 한국식 투겁창으로, 청동으로 만들어 졌으며 노루나 멧돼지 등을 찔러서 사냥하는데 쓰이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양쪽에 날을 세우고 중앙에는 돌대가 서 있으며 돌대를 중심으로 양쪽에 피홈이 파여 있다. 전체적으로 짙은 청록색을 띠고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형태이지만 그 쓰임새를 생각해 볼 때 오히려 유용성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길이 21cm
청동살촉
유엽형(버드나무 잎사귀 모양)의 화살촉으로 등줄은 봉부(鋒部)에서 심부까지 있어졌으며 돌기된 심부 아래 뾰족한 슴베가 있다. 화살촉의 횡단면은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9개의 화살촉의 크기가 조금씩 틀리다. 날개가 외반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날개가 심부에 닿아 있는 것도 있다. 날개와 등줄사이에 피홈도 보여 살상용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 14.8cm
백유경
청동으로 만든 거울로서 이 시기에 제작된 청동거울은 실용적 용도보다는 의기나 무구로서 많이 쓰여진 듯하다. 우리나라의 초기철기시대에는 줄무늬거울이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형태의 거울은 중국의 진한시대에 많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19.9cm
청동마형대구
허리띠고리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허리띠의 양끝을 걸어 고정시키는 금속구로 허리띠의 한끝을 고정하는 돌기와 허리에 둘러진 띠의 다른 끝을 거는 고리가 기본 구성요소이다.
주로 철기시대부터 초기백제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송대리유적에서 청동제와 철제의 말모양허리띠고리가 발견되었다. 말의 전체적인 형태가 많이 마모되었으며, 말의 머리와 다리는 매우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높이 5.1cm 너비 8.7cm
곱은옥
머리 부분 중앙에 끈을 매다는 구멍을 뚫어 놓은 옥장신구의 일종으로 곡옥의 기원은 짐승의 뼈, 발톱, 송곳니 등에서 출발한 것으로 생각되며 옥, 돌, 뼈 등으로 만든것이 신석기 시대부터 나오고 있고, 청동기시대에 오면서 푸른 천하석으로 만든 곡옥이 만주 요령성 지방으로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나타난다.
경옥(硬玉)으로 구부러진 한쪽 끝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옥은 보통 비취, 유리, 수정, 마노, 호박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비취로 만든 곱은 옥은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만들어진다. 목걸이나 관장식 등에 많이 쓰인다. 길이 2.8~3.6cm 대구
명도전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연나라에서 사용되던 화폐로 언도(刀), 이도(易刀)라고도 한다. 첨수도(尖首刀)에서 전화된 것이며, 표면에 명(明)자 비슷한 표지가 주출(鑄出)되어 있기 때문에 명도전이라 이름 붙여졌으며, 자루에는 3줄의 직선무늬가 있고 끝에는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길이 13.5~13.7cm
포전
실생활에 사용되었던 농구 중 따비의 모양을 본뜬 청동화폐로 명도전보다 앞썬 시기인 춘추전국시대 후반부터 전국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사군 설치이전에 이미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포전의 종류는 크게 공수포. 첨족포. 방족포.유이포.방견포.원견방족포.방견방족포로 나눌 수 있다. 처음에는 실물에 충실하게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화되어 전국시대 말기에는 실제 농기구의 모양과는 상당히 동 떨어진 모습으로 발달되었다. 길이 5.8~6cm 두께 0.2cm
2.국가의 형성(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학습목표> 가.청동기의 보급으로 인한 사회 변화상을 이해한다. (1).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①청동기의 보급 ○시기 : BC10세기경 ○청동기 시대의 유물→만주 요령성, 길심성등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널리 분포 .석기 : 반달 돌칼과 바퀴날 도끼, 홈자귀, 괭이 등→농기구로 사용 .토기 : 미송리식 토기와 민무늬 토기 .청동기: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화살촉 등 ☞청동기는 어느 지역으로부터 전해졌는가?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알아보자
②철기의 보급 시기 : BC4세기경 ○초기 철기시대의 유물 .철제 농기구의 사용 → 농업 생산력의 발전 .청동기→ 의기화 .토기 → 붉은 간토기,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중국과의 교역 →명도전, 붓 출토 ○독자적 청동기 문화의 발달 :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등
③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경제 생활 ○생산경제의 발달→농기구: 반달돌칼, 돌도끼, 홈자귀, 괭이 등 조.보리.콩.수수→벼농사도 시작 수렵과 어로의 비중 약화→가축 사육 증가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주거 생활 . 장방형의 움집→점차 지상가옥으로 변화 . 다양한 크기의 집자리 .집단 취락 형성→농경발달과 인구 증가로 인한 정착 생활의 규모가 점차 확대
④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사회 생활 ?남녀 간의 전문적 분업 ?빈부의 차이와 계급의 분화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 무덤 ?군장의 등장→선민사상 대두
☞고인돌은 어떤 사람의 무덤이었을까?. 형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⑤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예술 ?성격 : 종교 및 정치적 요구와 밀착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사냥과 물고기 잡이의 성공 기원 ?고령의 바위그림→동심원, 기하학적 무늬
초기철기 시대
좁은동검
신분을 상징하기 위한 또는 의기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청동으로 제작되었다. 청동기시대의 비파형동검(요령식동검)에서 발전한 형식으로서 한국식동검이라고도 불린다. 비파형동검에 비해 검신의 폭이 좁고 곧으며 밑에는 짧은 슴베가 달려 있다. 길이 30.2cm
동모(銅矛)
자루에 끼울 수 있도록 굇통이 준비된 한국식 투겁창으로, 청동으로 만들어 졌으며 노루나 멧돼지 등을 찔러서 사냥하는데 쓰이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양쪽에 날을 세우고 중앙에는 돌대가 서 있으며 돌대를 중심으로 양쪽에 피홈이 파여 있다. 전체적으로 짙은 청록색을 띠고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형태이지만 그 쓰임새를 생각해 볼 때 오히려 유용성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길이 21cm
청동살촉
유엽형(버드나무 잎사귀 모양)의 화살촉으로 등줄은 봉부(鋒部)에서 심부까지 있어졌으며 돌기된 심부 아래 뾰족한 슴베가 있다. 화살촉의 횡단면은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9개의 화살촉의 크기가 조금씩 틀리다. 날개가 외반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날개가 심부에 닿아 있는 것도 있다. 날개와 등줄사이에 피홈도 보여 살상용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 14.8cm
백유경
청동으로 만든 거울로서 이 시기에 제작된 청동거울은 실용적 용도보다는 의기나 무구로서 많이 쓰여진 듯하다. 우리나라의 초기철기시대에는 줄무늬거울이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형태의 거울은 중국의 진한시대에 많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19.9cm
청동마형대구
허리띠고리는 가죽이나 천으로 된 허리띠의 양끝을 걸어 고정시키는 금속구로 허리띠의 한끝을 고정하는 돌기와 허리에 둘러진 띠의 다른 끝을 거는 고리가 기본 구성요소이다.
주로 철기시대부터 초기백제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송대리유적에서 청동제와 철제의 말모양허리띠고리가 발견되었다. 말의 전체적인 형태가 많이 마모되었으며, 말의 머리와 다리는 매우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높이 5.1cm 너비 8.7cm
곱은옥
머리 부분 중앙에 끈을 매다는 구멍을 뚫어 놓은 옥장신구의 일종으로 곡옥의 기원은 짐승의 뼈, 발톱, 송곳니 등에서 출발한 것으로 생각되며 옥, 돌, 뼈 등으로 만든것이 신석기 시대부터 나오고 있고, 청동기시대에 오면서 푸른 천하석으로 만든 곡옥이 만주 요령성 지방으로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나타난다.
경옥(硬玉)으로 구부러진 한쪽 끝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옥은 보통 비취, 유리, 수정, 마노, 호박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비취로 만든 곱은 옥은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만들어진다. 목걸이나 관장식 등에 많이 쓰인다. 길이 2.8~3.6cm 대구
명도전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연나라에서 사용되던 화폐로 언도(刀), 이도(易刀)라고도 한다. 첨수도(尖首刀)에서 전화된 것이며, 표면에 명(明)자 비슷한 표지가 주출(鑄出)되어 있기 때문에 명도전이라 이름 붙여졌으며, 자루에는 3줄의 직선무늬가 있고 끝에는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길이 13.5~13.7cm
포전
실생활에 사용되었던 농구 중 따비의 모양을 본뜬 청동화폐로 명도전보다 앞썬 시기인 춘추전국시대 후반부터 전국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사군 설치이전에 이미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포전의 종류는 크게 공수포. 첨족포. 방족포.유이포.방견포.원견방족포.방견방족포로 나눌 수 있다. 처음에는 실물에 충실하게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화되어 전국시대 말기에는 실제 농기구의 모양과는 상당히 동 떨어진 모습으로 발달되었다. 길이 5.8~6cm 두께 0.2cm
첫댓글 울 엄샘님~~초기 철기시대 부분만 참고하시어여...잘 다듬어 손질하시면 멋진 발표거리가 될듯...좋은 성적 거두시고 홧팅임당~~!!ㅎㅎㅎ
수고 몽땅 했네용 너무 열공하지마세용 셈 나니까용
샘도 해드릴까염...사실 저보덤 훨 더 잘하시면 시롱~~시롱~~~주말을 이용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