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단 |
편 |
소 |
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 |
나 |
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 |
순 |
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소 |
년 |
은 |
|
개 |
울 |
가 |
에 |
서 |
|
소 |
녀 |
를 |
|
보 |
자 |
|
윤 |
|
| |||||||||||||||||||
초 |
시 |
네 |
|
증 |
손 |
녀 |
|
딸 |
이 |
라 |
는 |
|
걸 |
|
알 |
|
수 |
|
있 |
| |||||||||||||||||||
었 |
다 |
. |
소 |
녀 |
는 |
|
개 |
울 |
에 |
다 |
|
손 |
을 |
|
담 |
그 |
고 |
|
물 |
△ 글이 시작될 때나 단락이 새로 시작될 때는 첫칸을 비운다.
△ 대화 부분이나 줄을 바꿔 인용할 때 첫 칸을 비운다.
△ 문장 부호는 첫 칸에 올 수 없다. 단 “, 〈, ( 등과 같이 인용 부호나 괄호의 앞 부호는 올 수 있다.
△ 문장이 마지막 칸에 끝나면 온점(.)이나 반점(,)을 마지막 글자와 같은 칸에 쓴다.
△ 문장이 마지막 칸에 끝나고 물음표(?)나 느낌표(!)를 쓸 경우에는 띄움표(∨)처럼 마지막 칸 뒤 쪽에 쓴다.
△ 온점(.)이나 반점(,) 다음 칸은 비우지 않고 다음 문장을 바로 쓴다. 단 물음표나 느낌표의 경우에는 물음표 뒤에 한 칸을 비운다.
△아라비아 숫자=한 자리인 경우는 한 칸에 쓴다. 두 자리 이상인 경우는 칸에 두 자씩 쓴다.
△영어 알파벳= 대문자의 경우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소문자의 경우는 두 자씩 쓴다.
▼ 원고지 작성방법 상세 설명 ▼ |
☆★☆★ 원고지 작성법에 대한 문의가 많아 '원고지 작성방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합니다. |
1) 일반원칙
① 한 칸에 한 글자씩 쓴다.
② 문장 부호도 한 글자로 간주하여 한 칸을 차지한다.
③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써도 무방하다. 로마 숫자, 알파벳 대문자,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두자씩 쓴다. 숫자와 알파벳을 함께 쓸 때에는 한 칸씩 따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제목 쓰기
① 첫 줄을 비우고 제 2줄에 쓴다. 첫째 줄은 시, 산문, 동화, 희곡 등 글의 종류를 쓰기도 한다.
② 원고지의 가운데 제목이 위치하도록 쓴다.
③ 제목도 한 칸에 한 글자씩 써야 한다.
3) 소속·이름 쓰기
① 제목 바로 아래 한 줄 띄고 제4줄부터 쓴다.
② 소속은 오른쪽으로 치우지게 오른쪽 두 칸이 남도록 쓰는 게 일반적이다. (※교내 글짓기일 때는 학교 이름을 안 써도 구별이 된다.)
③ 소속과 이름을 2줄로 쓸 경우 오른쪽 끝이 맞도록 한다.
4) 본문 쓰기
① 이름 아래의 한 줄을 비우고 시작하며 첫 문장의 첫 글자는 한 칸을 비우고 쓰기 시작한다.
② 단락이 바뀔 경우도 역시 첫 칸을 비우고 둘째 번 칸부터 쓴다.
③ ‘첫째, 둘째, 셋째’ 등으로 여러 개의 항목이 있을 때, 각항이 시작되는 곳은 1줄을 비우고 쓴다. 이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첫 칸을 비우지 않는다. 앞줄 끝에서 비울 칸이 없으면 다음 줄 첫 칸을 비우지 않는다.
④ 인용문, 대화문의 줄을 바꾸어 쓸 경우는 첫 칸을 비운다.
⑤ 인용문이 두 줄 이상 계속될 경우는 인용 부호를 쓰지 않고, 시작 부분은 두 칸, 다음 줄부터는 첫 칸을 비우고 쓴다.
인용문 내에서 단락이 바뀔 경우도 두 칸을 들여 쓴다.
⑥ 줄의 맨 끝에 띄어 써야 함에도 불구하고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에는 ∨표를 치고 다음 줄의 첫 칸은 띄어서 비우지 않는다.
5) 문장 부호 처리
① 문장부호는 한 글자로 취급하므로 한 칸에 하나씩 표기한다. 논술문에서 주로 쓰이는 문장부호는 온점( . ), 반점( , ), 물음표( ? ), 작은따옴표(‘ ’), 큰따옴표(“ ”), 가운뎃점(·), 느낌표( ! ), 소괄호[( )]가 있다.
② 물음표( ? ), 따옴표(※닫는 따옴표 ” ’), 느낌표( ! )는 한 칸에 하나씩 쓰고 다음 칸을 비운다. 닫는 따옴표도 한 칸에 쓴다. 온점 ( . )와 반점( , )의 다음 칸을 비우지 않고 바로 이어서 글자를 쓴다.
③ 온점( . )과 반점( , ), 그리고 물음표와 느낌표는 첫 칸에 쓰지 않는다.
④ 글자가 오른쪽 끝의 칸을 차지해 문장부호를 찍을 칸이 없을 때에는 마지막 칸에 글자와 부호를 함께 기입한다.
⑤ 따옴표는 둘째 칸에 쓰고 대화의 첫 글자는 셋째 칸부터 시작한다. 대화가 여러 줄 계속될 때 이어지는 대화 모두를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⑥ 줄임표(……)는 두 칸을 잡아서 쓴다.
⑦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쓴다.
⑧ 문장부호가 잇달아 나올 때에는 각각 다른 칸에 쓴다. 그러나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사용해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할 경우, 인용문이 종결되는 부분에 찍는 온점과 따옴표가 겹치게 될 때에는 이 둘을 한 칸에 쓴다.
▶ 물음표로 끝날 경우, 다음 칸에 따옴표를 쓴다. |
⑨ 인용부호 다음에 조사 ‘와, 과’ 등이 올 때는 칸을 비우지 않는다. 또한 인용부호 다음에 연결어미 ‘라고’가 올 때에도 칸을 비우지 않는다.
6) 띄어쓰기
원고지에 쓸 때 띄어쓰기도 신경 써야 한다. 맞춤법의 띄어쓰기 원칙을 숙지해야 한다. 원고지 사용법을 아무리 잘 알아도 맞춤법, 띄어쓰기 원칙에서 벗어난 글은 감점된다.
7) 원고 수정
원고를 수정할 때는 ‘띄어라(∨), 붙여라(⌒), 삭제(=), 삽입(∨)’ 만 사용한다. 인쇄 교정부호를 쓰는 일이 없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