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운전
|
1.추기장치의 구성 |
추기장치는 (1) 불응축 가스를 운전중에 자동적으로 모으는 추기탱크, (2) 불응측 가스를 흡입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추기펌프(진공펌프), (3) 대기 측에서 추기펌프를 통하여 미량의 공기가 냉동기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변, (4) 추기능력의 점검 및 냉동기의 기내 압력을 측정하는 수은 마노미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냉온수유닛(AR-F20~200G3)과 이중효용 흡수식냉동기(AR-W70~200G3)추기장치
계통도 |
|

|
냉온수유닛(AR-F220~1500G1)과 이중효용 흡수식냉동기(AR-W220~1650G1)추기장치 계통도 |
|

|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의 추기장치 계통도 |
|
종 류 |
밸브상태 |
1.추기펌프 능력검사 |
전폐 : B , E |
전개 : C |
2.냉매 및 용액 충진을 위한 추기운전 |
전개 : A , B , C , D , E |
3.설치 후 시운전 전 추기운전 |
전개 : B , C , D , E |
4.냉방운전시 추기운전 |
자동추기운전 |
전폐 : B , C, D, E |
전개 : A |
추기탱크 압력 상승시 진공펌프 운전 |
전폐 : A , B , C |
전개 : D , E |
|
추기운전 방법 |
|
2.추기펌프의 능력 및 역지변의 기밀 점검 |
추기장치를 운전할 때에는 먼저 추기펌프의 능력 및 역지변의 기밀상태를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

|
추기펌프의 능력 및 추기배관 중 누설 부위 점검 |
① 추기펌프의 유면은 유면계로 확인한다. |
② 수동밸브 B,E가 전폐된 것을 확인한 후 추기펌프를 운전하고, 수동밸브 C를 열어준다. |
③ 시동 후 5분 후에 마노미터의 눈금이 0∼3mmHg 정도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눈금이 0∼3mmHg 정도의 진공의 도달하지 않는 경우는, 추기펌프의 윤활유 중에 수분이 많이 들어있는 경우와 같이 추기펌프의 능력저하 현상이 있거나, 수동밸브 B,E와 추기펌프 사이의 배관 및 배관연결부 등에 누설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윤활유가 황색 또는 흰색으로 변화했으면 윤활유 중에 수분이 많은 경우이므로 진공펌프 취급설명서를 참조하여 새로운 윤활유로 교환한다. 배관 이음류에서의 누설은 시일 테이프를 교환하고, 호오스 이음에서의 누설은 진공 구리스 등을 이용하여 다시
부착하여야 한다. |
④ 0∼3mmHg까지 진공이 도달하면, 추기펌프의 운전을 정지하여 마노미터의 진공 저하를 점검한다. 5분 동안에 진공도가 5mmHg 이내로 되면 양호합니다. 5mmHg 이상 진공도가 저하하는 경우는 (1)역지변 차단이 불완전 하거나 (2) 수동변 B,E와 역지변 사이의 배관 또는 이음에서 누설되고 있는 경우 중 하나입니다. 역지변에 문제가 발생을 한 경우 역지변을 분해 점검하고, 만약 배관
또는 이음의 누설일 경우는 누설부위를 수리한다. |
|
3.추기운전의 종류 |
보통 추기장치 운전에는 아래와 같은 3가지의 용도가 있다. |
① 용액충전, 냉매충전을 위한 운전 |
② 설치 후 시운전을 하기 위한 운전 |
③ 냉방 운전시의 추기운전 |
④ 난방 운전시의 추기운전 |
|
4.추기장치의 운전 방법 |
추기장치의 운전은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전하여야 하며 ,이때 밸브의 조작은 확실하게한다. |
추기장치의 운전 중에는 추기펌프의 작동상황을 점검해야 하므로, 흡수식 냉동기에서 떠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정전이 발생한 경우, 또는 추기펌프의 배기음이 발생치 않을 경우에는 즉시 수동밸브 C를 닫아 흡수식 냉동기로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① 용액충전, 냉매충전을 위한 운전 |
반입된 흡수식 냉동기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질소가 충전되어 있다. 설치 후 질소를 추출하고 용액과 냉매를 충전하여야 하므로, 충전을 위한 추기운전을 하여 주십시오. (용액과 냉매가 충전된 상태로 반입된 경우는 불필요한 과정이다.) |
추기펌프를 운전하며 A,B,C,D,E를 전개하여 주십시오. 마노메터의 눈금이 그때의 포화압력치(용액 및 냉매)에 도달하면 완료합니다. 추기운전 중 1∼2회 추기펌프의 윤활유를 교환하여 준다. |
② 냉방 운전시의 추기운전 |
①에서 용액, 냉매를 충전한 후, 충전시의 혼입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또한 운전에 들어가기전 완전한 추기를 하기 위하여 추기 운전한다. 추기운전 중 1∼2회 추기펌프의 윤활유를 교환하여 주십시오. 추기펌프를 운전하고 수동밸브 B,C,D,E를 완전히 열어야 한다. |
③ 냉방 운전시의 추기운전 |
고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매일 냉방 운전시작 5분 후 정도부터 약 20분간 추기운전을 한다. 또한
추기탱크의 압력이 50mmHg(50∼100mmHg)이상으로 상승 할 때 추기펌프를 운전하여 추기탱크에 모인 불응축성 가스를 추출합니다. |
a. 추기펌프를 운전하기 전 추기펌프의 능력을 검사합니다. |
b. 검사완료 후 냉방운전을 개시합니다. 기동 후 추기펌프 기동용 TOGGLE S/W를 올려 추기펌프를 운전합니다.추기펌프가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고(냉매펌프가 작동하는 것도 확인) 수동밸브
A,B,C를 전개한다. 추기운전 시간은 약 20분 정도로 충분하다. 긴급시 조작반 전원을 끊을 때는
반드시 수동밸브를 닫는다. |
c. 수동밸브 E를 경유하는 경우하는 추기는, 위에 기록한 ①,②의 경우 및 기타 긴급시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통상 운전시에는 조작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본체내에 공기가 혼입되어 진공도가
낮아져 성능이 떨어지고, 용액펌프가 캐비테이션 현상을 일으키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여, 추기운전을 해야하는 경우에 수동밸브 E를 열어 L-4에서 추기하면 회복이 빠르게 된다. 단, 수동밸브 E를 열어 L-4를 경우하여 추기하는 경우는 수동밸브 B,D를 닫아 준다. |
|
5.자동추기에 대하여 |
추기펌프를 운전하는 수동 추기 조작방법에 대하여는 1~4항에 기술하였지만 , 냉방운전중 항상
L-1을 경유하여 연속추기가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경우 수동밸브A는 전개
B , C, D , E는 전폐로 하여 주십시오. 따라서 ③ 의 요령으로 추기운전을 하는 것은 , 자동추기로
L-1을 경유하여 추기탱크에 모인 불응축성 가스를 추기하는 것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