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96차 늘 푸른 산악회 정기산행 안내
일시: 2018년 1월 14일(둘째주 일요일)
산행지: 전북 장수군 장수읍, 계남면, 번암면 장안산(長安山, 해발 1,237m)
산행코스: 무룡고개☞ 괴목고개☞ 샘터☞ 억새밭☞ 데크 전망대☞ 장안산 정상
☞ 무룡고개(원점회귀)
산행시간: 3시간30분, 약 6km (중식 및 휴식시간 포함)
★ 겨울산행은 필히 방한장갑, 방한모자, 보온도시락, 보온물통, 아이젠, 스패치, 여벌옷 등을
준비하셔야 되며 산행중에는 적절하게 옷을 입고 벚는 것이 저체온증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장안산(長安山).
전북 장수군 장수읍, 계남면, 번암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37m
♣ 개설
장안산은 북위 35°35′00″∼35°40′00″, 동경 127°32′30″∼127°37′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장안산의 높이는 1,237m이고, 면적은 6.380㎢이다. 소백산맥은 남덕유산(南德裕山, 1,507m)
·육십령(六十嶺, 734m)을 지나 백운산(白雲山, 1,279m)에 이르며, 백운산 서쪽 약 4㎞ 지점에
장안산이 있다.
♧ 명칭 유래
옛날 이곳에 장안사(長安寺)라는 절이 있어 그 이름을 따서 장안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 자연환경
소백산맥 서사면을 이루는 산으로 백운산과 비슷한 고산이다. 북쪽의 무령고개, 남쪽의
어치재를 통하여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산록계곡지대와 연결된다. 동쪽은
백운산과의 사이에 물을 모아 섬진강의 상류가 되는 백운천(白雲川)이 흘러내리고, 서사면은
완만히 경사하며 장수읍의 낮은 분지로 연속된다.북사면도 완만하여 작은 계류들이 계남면의
벽남제(壁南堤)로 흘러든다. 이 일대는 호상편마암(縞狀片麻岩)이 기반암을 이루고 뒤에
관입된 화강암이 분포한다. 강유량은 비교적 많은데 그 이유는 사방이 1,000m 이상의 고산들이
둘러싸인 원인도 있다. 장안산의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 신갈나무·철쭉꽃 군락, 신갈나무·
노린재나무 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 서어나무 군락,
물푸레나무 군락, 층층나무 군락, 둘메나무 군락 등이 적절히 분포되어 있다.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시대미상의 화성암류 및 백악기의 반상화강암이 대부분이다.
◈ 현황
장안산에 있는 덕산용소계곡이 유명하며, 계곡을 비롯한 26개의 크고 작은 계곡과 7개의 연못,
14개의 기암괴석, 5개의 약수터 등 연못과 폭포가 절경을 이룬다. 장안산의 동쪽능선에 억새밭이 있어 가을에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경관이 뛰어나서 1986년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장안산 서쪽 약 6㎞ 지점에 장수읍이 있으나 동쪽이 소백산맥의 준령으로 막혀 있어, 교통은
서쪽의 장수·진안(鎭安) 등의 산간분지로 통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기점은 장수이고,
장수에서 덕산리행 버스가 두 번 운행된다. 무령고개로 가는 버스는 없고, 계남리에서 괴목까지
하루 여섯 번 군내버스를 운행한다. 승용차를 이용할 때는 대전∼통영 간 장수 IC에서 19번
국도를 타고 장수읍내로 들어와서 742번 지방도와 만나는 교차로에서 왼편으로 들어서면 산행
들머리인 덕산리 법년동에 닿는다. 법년동을 지나 중재에 이르면 743번 지방도로 와 만나는데,
사거리에서 왼편으로 가면 무령고개가 나온다.
☞ 장안산(長安山)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높이 1,237m의 산이다. 1986년 8월 18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무룡궁이란 곳이 있어 금강과 섬진강의 가장 먼 분수지이다.
무룡이란 용이 춤을 춘다는 말로 이재에서 장안산으로 향하는 기세가 마치 용이 하늘로 오르는
기상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마루 입수처에서는 천지수라는 샘이 있고, 산의 좌우편에는
옥지수라는 샘이 있다. 장안산 산봉을 일명 금봉이라고 하는데 장계면 무룡고개, 계남면 괴목,
번암면 지지, 덕산계곡에서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 전북 장수군 장수읍 덕산리,계남면 장안리,번암면 지지리
장안산(長安山 1,236.9m)은 전북 장수군 장계면과 경북 함양군 서상면 경계를 이루는 백두대간에
자리한 영취봉(1,075.6m)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친 능선이 금남호남정맥이다. 이 능선이 무령고개로
가라앉았다가 약 3km 거리에 이르러 빚어놓은 산으로, 영취산으로부터 전달받은 백두대간의 기운을
금남호남정맥을 통해 충남과 전라도 방면으로 광활하게 전달하는 종산(宗山) 역할을 하는 산이다.
장안산에서 계속 이어지는 금남호남정맥은 방향을 북서쪽으로 틀어 범골봉(847.9m·일명 백운산)에
이르면 방향을 남서쪽으로 바꾼다. 남서쪽으로 향하는 능선은 흩어골봉~큰골봉~밀목재~사두봉
~신무산에 이르면 방향을 북으로 틀어 팔공산~성수산~마이산 등으로 이어져 나아간다.
장안산은 1986년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남서쪽의 덕산계곡(용림천), 남동쪽의 지지계곡 등
길고 깊은 골짜기는 여름철 피서지로 인기가 높다. 가을철에는 북동릉 상 무령고개 방면의 빼어난
억새밭에서 바라보는 덕유산과 지리산 풍광에 매료된다. 겨울에는 북서풍을 동반한 강설이 온 산을
뒤덮은 설경도 등산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또 봄에는 5부 능선 위로 분홍빛 비단을 펼친 듯한 철쭉 군락과 사계절 변함없이 초록의 밭을
이루는 산죽 군락 등은 전국의 등산인들을 유혹하고도 남음이 있다. 산자락에는 울창한 수림과 맑은
계곡이 조화를 이룬 방화동 가족휴양촌과 자연휴양림이 가족단위 체류형 휴양시설로 인기 있다.
산행코스 들목에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껴안고 촉석루에서 남강으로 투신한 주논개(朱論介)를
기리는 논개사당인 의암사(義巖祠)와 논개생가지, 장수향교 등 역사 공부가 되는 볼거리들이 많다.
최근에 장수읍 남쪽 수분리에서 방화동으로 들어서는 당재터널이 뚫려 전주·장수 방면에서 예전처럼
수분재를 넘어 번암면 죽산 삼거리로 길게 돌아 방화동으로 다니던 시절은 옛 얘기가 되었다.
장수읍에서 장안산 북사면 가재터널과 장안터널을 관통하여 논개생가지로 연결되는 관광순환도로가
무령고개를 넘는 길과 연결되어 있다. 최근 무령고개에서 지지리 계곡~동화저수지~번암으로
이어지는 743번 지방도도 포장이 완료되어 남원·광주 방면에서 무령고개로 접근이 한층 쉬워졌다.
장안산 산행은 북동릉 시발점 무령고개(1,076m)에서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가 가장 인기 있다.
무령고개와 정상의 표고차는 151m에 거리가 3k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장수군은 이 코스를
제3코스(무령고개~정상~무령고개 왕복 6km, 3시간)로 정해 놓았다.
무령고개~정상 사이 북동릉 구간과 정상에서 방화동 가족휴양지로 이어지는 남서릉의 동쪽(번암면
지지리 방면)에는 산행코스가 전무하다. 방화동 가족휴가촌에서는 덕산계곡을 거쳐 호반 도로를
따라 덕산리 범년동까지 들어가서 하봉을 거쳐 남서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가 있다.
장수군은 이 코스를 역으로 제2코스(무령고개~정상~하봉~범년동~덕산계곡~방화동 가족휴가촌
14.5km 5시간)로 지정해 놓았다. 이 코스는 당일코스로는 길기 때문에 장수읍에서 도로를 따라
밀목재를 경유해 범년동까지 들어간 다음 산행을 시작하거나 끝내기도 한다. 밀목재(해발 약 740m)
에서 금남호남정맥을 타고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도 인기 있다.
이 코스도 무령고개 코스처럼 밀목재 고갯마루까지 차로 올라가 산행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장수읍 노곡리(관광순환도로 상)에서 금남호남정맥 상 노곡고개로 오르는 코스도 있다. 이 코스는
무령고개에 비해 이용도가 낮다. 노곡리는 금남호남정맥 종주산행시 탈출로로 이용하는 정도다.
산 북쪽 계남면 장안리 지소골 코스도 많이 이용된다. 이 코스는 지소골에서 북서릉 상 1007m봉으로
오르는 능선과 이후 안부(일명 장구목재)를 지나 정상까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무령고개에서
편하게 정상을 오른 다음 하산코스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산 북쪽 계남면 장안리 괴목 마을에서 괴목골(일명 거자동계곡)을 경유해 북동릉으로 오르는
코스는 장수군이 제1코스(괴목동~무령고개~정상~범년동~덕산리 12km, 4시간)로 지정해 놓았다.
※ 산행코스
• 범년동 전 등산안내판→906봉→덕천고개→하봉→중봉→정상(약 6km, 4시간)
• 범년동 종점→가족묘→덕천고개→덕천 상단 계곡→중봉 서릉→중봉→정상(약 3.5km, 2시간)
• 밀목재→큰골봉→노목고개→범골봉→북서릉(금남호남정맥길)→정상(약 9.5km, 4시간)
• 노곡리 버스회차장→미약수농원 계곡→노곡고개→금남호남정맥→범골봉→북서릉→정상
(약 8km, 4시간)
• 원장안 경로당→지소→1007봉→북서릉→정상(약 5km, 2시간)
• 괴목동 경로당→괴목골→괴목고개→북동릉→정상(약 5.5km, 2~3시간)
※ 교통정보
• 대전통영 고속도로 장수IC~남원 계남 19번 좌회전~남원 장수 19번~구례 장수~장수읍~싸리재
터널~담양 남원 남장수IC~노하 장수군청 장수경찰서~굴다리 통과 후 좌회전~군청~(하나로마트
·한사랑의원 간판 보이는)사거리에서 우회전~남원 번암IC~주논개사당 좌회전(남동슈퍼와 남동회관
사잇길)~(의암)저수지 앞 갈림길에서 논개사당 앞을 지나~덕산 동촌 좌회전~덕산계곡 장안산
군립공원 우회전~범연동 좌회전~범연동~무드리산장 간판 지나~장안산 등산로 입구.
• 산행기점을 법년동으로 잡을 경우 장수읍내, 무령고개로 잡을 경우에는 장계를 거쳐 마지막
마을까지 접근한 다음 도보로 접근해야 한다. 괴목까지는 무진장여객 버스가 들어간다.
• 전주~대구간 직통버스는 장계를 경유한다. 전주 시외버스터미널(063-270-1700 ARS)에서
1일 14회(06:10~17:20, 1시간20분 소요, 요금 4,600원), 대구 서부시외버스정류장(053-656
-2824~5)에서 1일 17회(07:24~17:58, 2시간30분 소요, 요금 8,800원) 운행.
• 장계→장수; 장계 시외버스터미널에서 30분 간격으로 노선버스 운행. 완행 첫차 07:10,
직행 첫차 08:10, 막차 22:10. 요금 950원. 장계 시외버스터미널 전화 063-352-1514.
• 서울→장계·장수; 서초동 남부터미널에서 1일 4회(09:20, 10:40, 13:40, 14:30) 운행.
장수까지 4시간 소요. 요금 장계 14,000원, 장수 15,000원. 전화 02-521-8550.
• 장계→무령고개; 버스터미널에서 1일 6회(08:50, 11:10, 13:40, 16:20, 17:40, 19:20)
운행하는 논개생가·대곡리행 무진장여객 이용. 30분 소요. 요금 850원. 종점인 지승 마을에서
무령고개까지는 약 4km. 전화 063-352-1514.
• 장계→괴목; 버스정류장에서 1일 6회(07:20, 09:00, 12:00, 14:20, 17:00, 18:20) 운행하는
무진장여객 이용.
• 장수에서 덕산 방면은 시외버스터미널에서 1일 2회(08:30, 16:50) 운행하지만, 밀목치 너머
신덕산 마을 버스종점에서 연실까지 7km, 법년동까지 8km를 걸어여 한다. 따라서 택시로 접근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 장수→번암 30분 간격(07:20~20:00) 운행. 요금 1,700원. 40분 소요.
• 번암→지지리 1일 5회(06:20, 09:20, 12:00, 16:30, 18:50) 운행. 요금 1,400원. 20분 소요.
• 지지리→번암 1일 5회(06:40, 09:45, 13:50, 17:05, 19:10) 운행. 번암 정류소 063-353-2614.
♣ 장안산(長安山).
♧ 높이 : 1237m
♤ 위치 : 전북 장수군 장수읍
★ 특징, 볼거리
장안산은 주변 일대의 계곡과 숲의 경관이 빼어나게 수려하여 덕산계곡,용소의 비경 등이 있는
일대가 군립공원으로 지정 개발되어 여름에는 피서지,가을에는 장안산 억새와 단풍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장안산에 또 하나의 명물은 산등에서 동쪽 능선으로 펼쳐진광활한
억새밭이다. 흐드러지게 핀 갈대밭에 만추의 바람이 불면 온 산등이 하얀 갈대의 파도로 춤추는
장관은 등산객들을 경탄케 한다. 장안산 군립공원은 덕산용소와 방화동, 지지계곡 지구로
나누어 진다. 이중에서 방화동은 진입로가 말끔히 포장되어 접근하기가 쉬워 가족 휴가촌까지
조성되어 있어 피서지로 적당한 곳이다. 장안산에서 발원하여 용림천으로 흘러드는 풍치절경의
골짜기가 덕산계곡이다. 이 계곡에 '덕산용소'가 있다. 덕산용소는 '큰 용소'와 '작은 용소'로
이루어져 있다. '큰 용소'는 울창한 숲과 기암괴석을 휘감아 도는 맑은 계류 위로 넓은 암반이
펼쳐진다. 장수군의 산자락 일대에는 논개의 사당과 생가 등이 있어 문화 유적 답사도 겸할 수
있는 산이다.
군립공원으로 사계절 산행지이지만 가을의 억새산행으로 인기있다.
덕산계곡을 비롯한 크고 작은 계곡과 윗용소, 아랫용소 등 연못 및 기암괴석이 산림과 어우러져
군립공원(1986년)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산등에서 동쪽 능선으로 펼쳐진
광활한 갈대밭과 덕산 용소계곡이 유명하다.
☞전라도에는 "무진장" 이란 말이 있다. 무주, 진안, 장수 이 세 고을을 일컬어 부르던 말에서
유래가 되었다. 오지 중의 오지, 지독히도 산골에 파묻혀 있고 오죽 세인들의 왕래가 뜸했으면
무진장 이란 말이 아주, 많이라는 의미를 뜻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더더욱 오지였던 장수군.
장수군 내에서도 특히 외지고 인적 뜸한 골짜기가 장안산 아래 덕산, 방화동을 휘감아도는
덕산계곡 일대이다. 장수읍에서 논개사당을 지나 동촌리 밀목재를 넘어서면서부터 용소로
유명한 장안산의 덕산계곡이 시작된다. 영화 "남부군"에서 이현상 휘하의 빨치산 부대가
옷을 벗고 목욕하는 장면을 촬영한 계곡이 바로 이곳이다. 폐교된 장수초등학교 덕산분교를
지나면 길은 다소 거칠어진다. 차를 세워두고 구불구불 계곡을 따라 이어진 오솔길을 걷다보면
팔각정에 이른다. 이곳에서는 우리나라의 등줄기라 할 수 있는 백두대간으로부터 막 가지쳐
나온 장수 장안산(1237m)의 웅장한 모습을 조망할 수 있다. 장안산은 가을철 억새와 단풍으로
특히 유명하다. 팔각정에서 다시 계곡을 따라 1시간 가량 물소리 새소리를 들으며 내려가면
가족단위 휴가객을 위해 장수군에서 조성해놓은 방화동 가족 휴가촌에 다다른다. 휴양 단지
내에는 자동차야영장, 물놀이장, 캠프화이어장 등이 갖추어져 있고 일반 배낭여행객의 야영지로
적합한 곳도 많이 마련되어 있다. 민박집도 다수 있어 가족단위 뿐 아니라 동호회, 친구,
친지들과의 즐거운 휴가여행 대상지로 삼기에 적합하다. 장안산 군립공원 덕산마을에서
장안산도 올라보고 방화동 휴가촌까지 이어진 계곡가에서 땀에 젖은 몸을 식혀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휴가촌부터는 다시 포장도로가 이어진다. 사암초등학교를 지나 약 8km구간을
주변경관을 감상하며 죽산리 죽산마을까지 내려가면 장수 - 남원간 19번 국도변 앞에 서게 된다. 시간적 여유를 갖고 남원방향으로 약 1km쯤 내려가 장수온천에서 지친 몸을 풀어도 좋다.
장수온천에서 2km 가량 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노단리 번암면사무소 소재지가 나온다.
여기서 북쪽으로 동화댐을 지나 백운천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면 장안산 군립공원 뒷편의
지지계곡이다. 골을 따라 계속 오르다 보면 장수 장안산(1237m)과 함양 백운산(1279m)을
가로 지르는 무룡고개에 올라서게 되는데, 장안산과 백운산이 손에 닿을 듯 가깝다. 전북,
경남 일대의 고산준령을 뒤로하고 고갯마루를 내려서서 북쪽방향으로 직진하면 장계면 주촌마을 논개생가지를 지난다. 장수군 일원의 대중교통은 다소 불편하나 일정에 여유를 가지고서
장안산과 백운산, 덕산계곡과 지지계곡, 그리고 의기와 절개의 상징이었던 논개사당과 논개
생가지 등을 둘러보며 전라도의 오지 장수군 일대를 돌아보면 알차고 즐거운 휴가여행이 될
듯 하다.
□ 드라이브 코스
1) 죽산리 - 방화동 가족휴가촌 (약 8km)
2) 노단리 번암면 소재지 - 지지계곡 지지리 - 무룡고개 - 장계면 대곡리 논개생가지
(약 26km, 지지리-무룡고개 구간 비포장)
□ 등산코스
1) 계남면 장안리 괴목 - 무룡고개 - 장안산 - 덕산리 범연동 (5시간 소요)
2) 장수읍 노곡리 - 덕천 - 장안산 - 덕산리 범연동 (5시간 소요)
3) 장계면 주촌 - 무룡고개 - 장안산 - 덕산리 범연동 (6시간 소요)
4) 무룡고개 - 백운산 - 중재 - 백운초등교 (4시간 소요)
5) 무령고개-억새밭- 장안산-중봉-하봉-어치재-범연동-연주(4시간)
6) 무령고개-정상-중봉-덕천-합수지점-연주 (5시간)
7) 괴목동 - 무령고개 - 정상(상봉) - 중봉 - 하봉 - 여치재 - 범연동 (15km, 5시간 30분)
8) 덕산 버스 정류장- 덕산교- 구덕산분교- 연주마을- 백년동- 삼거리- 좌측길- 묘지
- 능선길- 정상 왕복코스(11km, 5시간)
9) 계남면 장안리- 원장안- 지보마을- 계곡길- 정상- 하봉- 여치재- 백년동- 연주마을
- 덕산 버스 정류장
늘 푸른 산악회를 찾아 주시는 분들께 알려드립니다.
↘ 아래 공지되는 승차시간과 장소를 참고하셔서 엄수하여 주십시요.
☞ 영도 부산대교 미광APT 앞 (7시 10분 출발)
☞ 보수동 세무서 앞(7시 20분 출발)
☞ 당리(하단) 낙동초등학교 입구(LG베스트샵 건너편 김밥집) 앞(7시 40분 출발)
☞ 강서구청 지하철역 앞(8시 5분 부산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