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상 견양권이라는 것이 새로운 돈이 나왔다는 것을 국민들이나 외국등에 알리려는 목적에서 새롭게 만들어 지는 돈입니다.
예전에는 견본(見本),혹은 견양(見樣)이라는 한자를 사용했었는데, 최근 신권에는 보기 라는 한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감을 보더라도, 일반용, 증정용 이라고 분류를 하기도 하고 그냥 견양권과 증정용 견양권이라고 분류를 하는등 초보자가 보기에는 많이 혼동스러울수 밖에 없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견양권에 대해, 제 주관적 견해를 마구 섞어서 지폐의 역사(?)와 함꼐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지폐에 시작을 제일은행권으로 도감에도 나오고 있고, 거의 정설로 받아 들여지고 있습니다만, 전 개인적으로 제일은행권은 우리나라의 화폐로 인정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원래 제일은행권은 광무6년인 1902년 부터 한국에 진출해 있던 일본 은행인 제일은행이 임의로 발행한 사설화폐입니다. 화폐의 단위도 원(圓)으로 일본 화폐 단위 입니다.
이 당시 대한제국시절 사용하던 정식 화폐단위는 원(圜) 이었고, 반원들과 같은 동전들이 정식으로 만들어 지고 있었습니다.
1909년 구 한국은행이 설립된후, 1910년 8월 강제 병합후에도, 한국은행을 통해 대한제국의 정식화폐 단위인 원(圜) 지폐가 1912년 까지 발행되었습니다.
1911년 8월 일제가 조선은행법을 만들어서, 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변경되면서, 당시의 조선은행은 업무인수인계 과정에서 한국은행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일은행으로 부터도 사설화폐였던 제일은행권을 조선은행에서 발행한 것으로 간주하여 두은행으로부터 인계를 받았기에, 기존의 불법지폐인 제일은행권이 한국의 최초의 근대지폐로 인정하고 있는데, 제가 보기엔 이건 아닌거 같습니다.
강제 병합후, 일제 강점기때 일본 화폐 단위인 圓으로 바뀌어 사용한 금권이후의 지폐는 그렇다고 쳐도, 우리나라 화폐의 정통성은 대한제국의 원(圜)이 엄연히 있을때, 일본이 임의로 사용하던 불법지폐를 나중에 우리돈 이었다고 인정하는 것은, 일제는 그러기를 바랬어도, 수집하는 우리는 그렇게 인정하지 않는 것이 좋을듯 하다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몇십년전까진 (적어도 70~80년대 까진) 화폐를 수집하시는 나이드신 분들은 일제강점하에서 교육을 받으시고, 향수가 많았던 분들이어서, 일제 시대에 한국에서도 사용되던 일본 은화와 조선은행권에 관심이 많이셨고, 별 저항없이 수집들을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엔 그분들이 어릴때 귀하게 봤던, 일본은화들과 조선은행권들이 한국 수집계에서 고가에 거래가 되었는데, 지금은 조선은행권은 환권보다 쳐주지를 않고 있으며, 일본은화들은 더이상 우리나라 돈으로 전혀 쳐주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런것들을 볼때 앞으로, 새로운 수집인구가 늘어날수록, 우리나라 지폐는 구 한국은행에서 발행했던 원(圜) 부터로 보는 것이 타당할것 이라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견양권 설명하려다가 삼천포로 잠시 빠졌네요.
구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견양권은 금권의 견양권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합니다. (오히려 구한국은행권에서는 한글로 견양 이라고 구멍이 뚫여있는것도 있네요)
아래지폐는 1915년부터 발행된 금권일원의 견양 지폐입니다.
총독부에서 발행된 지폐의 견양권은 구한국은행권과 같이 견본호라고 적혀 있고, 지폐마다 견양권의 번호를 일일히 다르게 인쇄하였습니다.
위의 두 지폐는 저의 수집품이 아니므로, 제 수집품인 개권 100원권도 다시 출현시켜 봤습니다.
한국은행권 이후에도 보면, 00 견양권 외에도, 현행권 일반지폐에 견양 이나 specimen 도장이 멋지게 찍혀 있는 일명 증정용 견양을 볼수가 있습니다. 얼마전 한국의 한 인증회사가, 이 증정용 견양권은 공식적인 견양권이 아니라는 한국은행의 확인공문(?)을 받았다고 해서 논란이 된적이 있었습니다.
원래 증정용 견양권이란, 예전에 한국은행을 오래 근무하다 퇴직하는 사람들에게 선물로 화폐 앨범을 선물하면서, 진짜 돈은 줄수가 없으니까, 공식절차를 거치지 않고, 일반 지폐에 견양이란 글자를 인쇄해서 선물로 준 앨범에 기인합니다. (기념도 기념이지만, 퇴직금의 일환으로 수집하는 사람들에게 팔아서 보탬이 되시라고..), 직급에 따라 들어 있는 내용도 다른데, 일반지폐에 견양이라는 글자를 새긴 증정용 견양권 외에도, 특정 지폐들은 오리지날 00 견양권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직급이 높은 사람이 퇴직할때는 00견양권이 더 많이 들어 있는 것을 선물했다는 설도..)
같은 증정용 견양첩안에 들어 있었기에, 위의 3차 만원 견양권과 4차만원 증정용 견양권의 가치는 같아야 한다고 주장하시는 분도 간혹 계시던데, 위의 3차 만원 견양권은 정식 견양권이 증정용 견양첩이란 불법(?) 경로를 통해 유출 되었지만, 원래가 견양권이었기에 존중받아야 되고, 위와 같이 일반 지폐에 견양을 임의로 인쇄한 지폐와는 차별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대부분 화폐를 수집하시는 분들이 일반권 수집을 선호했고, 귀한 지폐들은 일반권으로 채우지 못했을때, 견양권을 우선 채워 넣었었습니다. 그 결과 00견양권을 포함한 대부분 견양권들의 가격이 일반권 보다도 저렴했었고, 대접을 잘받지 못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한국은행을 퇴직해도 더이상 증정용 견양첩이라는 것도 선물하지 않고, 외국의 추세가 반영되어 견양권들의 인기가 높아만 가고 가격도 상승을 하니, 오리지날 견양권뿐만 아니라 일명 증정용 견양권들도 덩당아서 한참 몸값을 높였었고, 그 결과 급기야 몇년전 부산의 모화폐상에서 일반지폐에 견양 도장을 찍어서 유통 시키다가 문제가 된적도 있고..
원래 유통을 목적으로 나온 것이 아닌, 견양권들이 수집가들이 수집하기엔 더 적절한 화폐로 사료됩니다. 다만 일명 증정용 견양권들을 수집하실때는, 일반 지폐와 도장찍힌 증정용 견양권들의 현재 시장 가치를 잘 판단해 보시고, 잔존량을 고려해서 본인이 적절한 가격이라고 판단하실때 수집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4차 만원 증정용 견양권은 일반 미사용 지폐의 잔존량이 워낙 많고, 00 견양권도 있기 때문에, 일반 지폐와 가격차가 너무 많이 난다고 생각 하시면 수집을 안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이야기 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의견은, 견양권을 수집하실때는, 앞으로의 수집 가치까지도 같이 고려하셔서, 견양권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정식으로 만들어 진 00번 견양권들 일명 오리지날 견양권들을 수집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아무리 한국은행을 다니던 사람들이 했다손 쳐도, 정식적인 절차를 밟지 않고, 동호회 수준에서 찍어낸 것들이라고 주장하는 판국에, 그것들이 수집 테마로 계속 인정하고 지속될지도 의문이고, 최근 수년간의 추세를 보더라도, 00 견양권들이 일반 증정용 견양권에 비해 차별화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와같이 조선은행권들은 00견양권이 아니더라도 미사용 견양권들은 실제 미사용지폐에 구멍을 뚫어서 도장을 찍었던 아니던 간에, 현재 대부분 미사용 지폐들이 워낙 귀하고 가격이 더 높기 때문에, 있지도 않는 00견양권과 일반견양권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살펴보면, 위의 3번 견양은 견본이라고 인쇄가 되어 있고, 아래 4번 견양권은 도장이 찍혀 있기에, 시작번호인 3번만 진짜 견양권으로 인정하고 싶기는 한데, 현재 형성되고 있는 시장 가격등을 고려해 보면, 등급이 더 중요할뿐 3번, 4번, 7번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현재 도감에 나와 있는 견양권들의 가격들은 대부분 실제 상황을 잘 표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도 명심 하시기 바랍니다. (견양권들의 실제 잔존량등을 무시한채, 실제 지폐 대비 가격들을 견양권 가격을 적은 것이 많은데, 도감들을 년도별로 잘 비교해 보시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차별화가 되고 있기도 하지만, 실제 시장가치는 아직 잘 반영을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 어떤 지폐는 실제 미사용 지폐의 가치는 굉장히 귀하고 높은데, 오히려 견양권들이 생각보다 양이 많은 경우도 있지만, 이경우들은 원래 지폐 가격이 워낙 높기 때문에, 견양권들의 가격은 잘오르지도 않겠지만, 반대로 잘 떨어지지도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하지만 실제 미사용 지폐는 데단히 흔한 편인데, 00 견양권은 대단히 귀한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 지폐의 가치가 별로 높지 않아서 인지, 도감에는 미사용 00견양권 가격도 상대적으로 약하게 적혀 있는데, 이런것들은 잘 발굴하시면 나중에는 가격에서 미소짓게 하는 경우가 많을 듯합니다. - )
참고로 현행권들은 최근으로 올수록 견양권 관리가 엄해져서, 잔존량도 훨씬 적고 가치도 현재에 가까운 지폐들이 비싼 편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가격으로 1차 만원, 2차만원, 3차만원, 4차만원, 5차 만원, 6차만원 견양권중 한장만 고를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6차만원을 고르시면 됩니다.)
환권 견양권들도 증정용 견양첩에 거의 들어 있지 않은 유색지 견양권들이 점차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00견양권일 경우, 남색지 오백원(좌이박 오백원), 황색지 신 백환, 황색지 신10환, 모자상 백환, 세종 오백환 등이 귀한 환권 견양권들에 속합니다. )
오늘 모 까페에 견양권에 대한 질문이 하나 올라와 있기도 해서, 견양권에 대해 몇자 적어 본것인데, 적고보니 횡설수설에 가깝게 된것 같습니다.
지리함을 참고,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이 계신다면, 길고 지겨운글 읽어 주신것 감사드립니다.
[하늘불꽃 | 조회 312 |추천 0 | 2012.04.29. 12: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