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유물집의 미 번역부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완료되었다. 최근에 비어문과 회계문서로서 하기(가계지출부) 부분과 추수기도 해석완료하여 일반 고문서 부분은 거의 마무리 되어가고 있다. 이들 자료는 집안의 주거 지역의 역사와 결부되어 향토사학적으로도 흥미있는 사료가 된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족보를 사실로 알고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모든 옛 문서에 나오는 인물들의 기록도 일부는 현재 파악하기 어렵고 그대로 내려오지도 않을 것이다. 이 추수기는 150여년 경과했지만 경작자의 상당수의 신분이 노비계층이다. 이 부분은 민감하여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 이러한 자료를 심미하면 민초의 질곡과 치열한 삶을 접하게 된다. 이로부터 불과 몇십년 후에 거꾸로 소작인으로 쇠락하는 집안의 굴곡은 짖굿은 운명이 되었다.
1867년 ~ 1875년간 추수기(강원도 평해 정수현가)
1. 추수기란
추수기(秋收記)란 매년 가을에 경작한 전답에 대한 소출량과 토지의 위치 및상황, 면적, 경작자의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기록하여, 집안의 지출과 소비여력을 파악하고 향후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록이다. 이 기록과 아울러 토지명문과 전답 매득표를 같이 살펴보면 상호 연관성도 살펴볼 수 있다.
여러 해 동안 기록된 추수기를 시계열로 살펴보면, 연도별 경작지, 경작자 및 수확량 등의 변화를 살펴볼 수가 있다. 옛 지명과 경작자의 신분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답의 소재지를 살펴보면 강원도 평해읍 가까운 곳의 가작(家作) 전답지대와, 퇴임 후 임원(林苑)으로서 생각한 온정면(溫井面) 내선미동(內仙美洞)에 가까운 소태리, 외선미 온정리 일대가 중심이 되고 있다.
경작자는 가작을 제외하고 평해 관아에 영향력을 미치던 별감들과 관노 출신도 많이 보인다. 매년 또는 일정기간 동안 도조(賭租 : 소작료)를 약정하였다. 토지를 매입할 때 매도자의 사정이 있었겠지만, 경작권을 그 대로 승계토록 하기도 하였다.
토지의 위치와 작황 등에 따라 도조는 그 때 그때 조정하였다. 봉답(奉畓), 즉 천수답이나 복사(覄沙) 땅 등은 소작료를 받지 않았고 수확량도 기록하지 않았다. 같은 면적이라도 수확량에는 비옥도 등에 따라 달랐다.
일부 많은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에게 농우(農牛)나 송아지(兒犢)을 위탁해 기르도록 하고, 농사일에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2. 연도별 추수현황 변화추이
연도별로 살펴보면, 점차 소유 전답이 늘어나고 있다. 소출량은 대략 1두락(1마지기)는 1석(섬)이지만 흉년이 들면 훨씬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홍수등으로 논밭이 유실되거나 돌과 모래로 뒤덮인 복사(냇가의 떠내려간 전답) 형태로 바뀌기도 하므로 이경우는 소작료를 받지 않았다. 도지의 계약은 주민들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많은 애환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록 중 가작 전답에 대한 소출량은 기록되지 않아 평균값으로 추정하였다.
구 분 | | | 1867년 | 1868년 | 1874년 | 1875년 |
두락수 | | | | | | |
| 가작 | | 13.00 | 16.00 | 23.00 | 28.00 |
| | 기록지 | 0.00 | 0.00 | 8.00 | 0.00 |
| | 미기록지 | 13.00 | 16.00 | 15.00 | 28.00 |
| 도작 | | 100.50 | 101.50 | 133.50 | 131.50 |
| | 복사지 | 0.00 | 0.00 | 8.00 | 3.00 |
| | 미수확지 | 3.00 | 0.00 | 14.00 | 7.00 |
| | 수확지 | 97.50 | 101.50 | 111.50 | 68.00 |
| | 낙장 | - | - | - | 53.50 |
| 합계 | | 113.50 | 117.50 | 156.50 | 159.50 |
수확량(석) | | | | | | |
| 가작 | | 12.63 | 17.32 | 23.39 | 23.18 |
| | 기록지 | 0.00 | 0.00 | 7.87 | 0.00 |
| | 미기록지 | 12.63 | 17.32 | 15.52 | 23.18 |
| 도작 | | 94.73 | 109.90 | 115.75 | 100.59 |
| | 복사지 | - | - | - | - |
| | 미수확지 | - | - | - | - |
| | 수확지 | 94.73 | 109.90 | 115.75 | 56.30 |
| | 낙장 | - | - | - | 44.29 |
| 합계 | | 107.36 | 127.22 | 139.14 | 123.78 |
단위당 | | | | | | |
| 수확(석)/수확지(두락) | 0.97 | 1.08 | 1.03 | 0.83 |
총수입 | | | | | | |
| 가작 | | 12.63 | 17.32 | 23.39 | 23.18 |
| 도조(40%) | | 37.89 | 43.96 | 46.30 | 40.24 |
| 도조(50%) | | 47.37 | 54.95 | 57.88 | 50.30 |
| ㅇ 가작+도조 40%시 | 50.52 | 61.28 | 69.69 | 63.42 |
| ㅇ 가작+도조 50%시 | 60.00 | 72.27 | 81.26 | 73.48 |
필지당 | | | | | | |
면적(두락) | 필지수 | | 34 | 35 | 54 | 53 |
| 두락수 | | 113.50 | 117.50 | 156.50 | 159.50 |
| 필지당 면적(두락) | 3.34 | 3.36 | 2.90 | 3.01 |
* 가작은 집에서 가까운 전답을 직접 경작하던 곳이고, 도작은 소작을 주었던 땅인데, 도조(소작료)는 경주 최부자집이 40% 정도를 받았으며, 50%정도가 일반적인 것으로 보이며 심한경우는 훨씬 많이 받기도 했다.
* 두락은 1마지기를 뜻하며 지역에 따라 면적이 달랐다. 일반적으로 평야지대에서는 200평이 일반적이며, 소출량은 두락당 1석 내외이다.
* 쌀 1석은 이 당시 10량이다. 콩 1석은 5량, 닭 1마리는 1전, 쇠고기 1근 1전, 청어 20마리 3전, 담배 1근 2전이다.
□ 개방평(介坊坪) 7두락(斗落) 현황
년 도 | 수확량 책정 | 경작자 |
1867년 | 6석 | 황종률(黃鍾律) |
1868년(또는 1869년) | 7석 5두 | 황종률(黃鍾律) |
1874년 | 2석, 2두락 복사(수해를 입은 듯) | 황종률(黃鍾律) |
1875년 | 3석 5두 | 황종우(黃鍾佑) |
3. 1874년 추수기
- 농사면적 : 134.5 두락(마지기)
ㅇ 가작(家作) : 23두락
ㅇ 도작(賭作) : 111.5두락
- 총 수확량 : 139.1석
ㅇ 가작 23두락 : 23.4석
ㅇ 도작 133.5 두락(복사 8두락, 미수확 14두락 포함) : 115.75석
ㅇ 1두락 당 수확량 : 1.03석
- 총 수입(가작+도조) : 69.7석 ~ 81.3석
ㅇ 도조(賭租) 수입 : 40%(경주 최부자 집) ~ 50% → 46.3석 ~ 57.9석







동 리 | 면 적 | 수확량 | 경작자 |
전평(前坪) | 5두락(五斗落) | | 가작(家作) : 직접경작 |
장외(墻內) | 6두락(六斗落) 2두락(二斗落) | 이중四斗半落(4.5두락) 7석 13두(七石 十三斗) | 가작(家作) 가작(家作) |
송릉(松陵) | 3두락(三斗落) 4두락(四斗落) | | 가작(家作) |
예막이(預幕伊) | 1두락(一斗落) | | 가작(家作) |
교동(校洞) | 2두락(二斗落) | 2석 5두(二石 五斗) | 준업(俊業) |
송릉(松陵) | 1두 5승락(1.5두락) (一斗 五升落) | 2석(二石) | 황종우(黃鍾佑) |
장외(墻外) | 5두락(五斗落) | 4석(四石) | 용복(龍福) |
2두락(二斗落) | | 가작(家作) |
상원면(上遠面) 오극곡(烏克谷) | 5승락(五升落) * 0.5두락 | 1석(一石) | 성(城)은 박가가 경작 (城爲朴哥) |
중보평(中洑坪) | 6두락(六斗落) ① 一斗 五升落 ② 四斗 五升落 | 1석(一石) | ① 준업(俊業) ② 육용 모친(六用 母) |
| 3두락(三斗落) | 3석(三石) | 준업(俊業) |
| 2두락(二斗落) | 2석(二石) *전작 연옥(前作 軟玉) | 연옥(軟玉) |
송릉(松陵) | 5두락(五斗落) | 5석(五石) | 연옥(軟玉) |
* 庚午(1870년) 11월 손비언(孫庇彦)으로부터 150량 매득 |
| 2두락(二斗落) | 10두(十斗) *전작 3복(前作 三卜) 자문네(仔門來) | 경작 일용(作日龍) |
| 2두락(二斗落) | *전작 고노(前作 雇奴) | 자문네(仔門來) |
| 2두락(二斗落) | 9두(九斗) *전작 연옥(前作 軟玉) | 고노(雇奴) |
동문(東門) | 4두락(四斗落) | 2석(二石)
| 관곡사는 손ㅇ(孫館谷) |
개방평(介坊坪) | 7두락(七斗落) | *이중 2두락(二斗落) 복사(覄沙:수해모래땅) 2석(二石) | 황종율(黃鍾律) |
장명하평(長命下坪) | 4두락(四斗落) | 4석(四石) | 손계호(孫啓浩) |
성릉(城陵) | 4두락(四斗落) | | |
남산평(南山坪) | 2두락(二斗落) | 6석(六石) | 황유업(黃有業) |
동 리 | 면 적 | 수확량 | 경작자 |
상암(霜岩) | 3두락(三斗落) 봉답(奉畓) 1두락(一斗落) | 3석 4승(三石 四升) 작정(作定) | 명년에는 노 박명득 (明年爲始 朴奴命得) |
| 10두락(十斗落) - 3두락(三斗落) - 3두락(三斗落) - 4두락(四斗落) | 합계 10석 14두 3석 4두 3석 6두 4석 4두 | 노 박명득(朴奴命得) 이가(李哥) 황가(黃哥) |
* 노 박명득 : 1두락 봉답(奉畓), 2두락 2석 4두, 1두락 1석 * 이가 : 3두락 수답(水畓), 3석 6두 * 황가 : 2두락 봉답(奉畓) 2석, 2두락 2석 4두 이상 10석 14두 작정(以上 十石 十四斗 作定) |
금천평(金川坪) | 4두락(四斗落) | 4석 1두강(四石一斗强) | 노 이수돌(李奴壽乭) |
| 4두락(四斗落) | 복사(覄沙) 2년 후 반분(半分), 갑술년 가을 시작(自甲戌秋爲始) | 손경보(孫敬甫) |
상조금(上操琹) | 3두락(三斗落) | | 김별감(金別監) |
남가 용정평 (南阿 龍井坪) | 2두락(二斗落) | 1석 13두(一石 十三斗) | 노 방분득(方奴分得) |
소태동(蘇台洞) | 7두락(七斗落) -3두 5승락(3.5두락) -三斗五升落 | 3석 10두(三石 十斗) 3석(三石) | 형제(兄弟) 노안(奴案) 노 이관삼(李奴關三) 노 이태업(李奴泰業) |
| 3두락(三斗落) | 4석(四石) | 노 황차형(黃奴且兄) |
| 1두 5승락(1.5두락) (一斗五升落) | 1석 10두(一石 十斗) | 노 이만득(李奴萬得) |
| 3두락(三斗落) | 3석 7두(三石 七斗) 2두 강(二斗 强) | 노 이관축(李奴關丑) |
중소태(中蘇台) 상마곡(上馬谷) | 2두락(二斗落) | 2석 3두(二石 三斗) 1두 반은 강함 (一斗半 强來) | 노 남사필(南奴使必) |
내동막 지구평 (內東幕 池邱坪) | 2두락(二斗落) | 2석 7두(二石 七斗) | 노 임가(奴林) |
수곡 월천평 (水谷 越川坪) | 8자원2야미(八字 二夜味) 2두락(二斗落) 복사(覄沙 : 모래땅) | | 김별감(金別監) 자(子) 영천(永川) 미규(未規) |
동 리 | 면 적 | 수확량 | 경작자 |
내선미(內仙味) | 2두락(二斗落) | 2석(二石) 입고(入庫) | 이치중(李致仲) |
| 3두락(三斗落) | 5석 3두(五石 三斗) 입고(入庫) | 염성록(廉成祿) |
국포평(局浦坪) | 6두락(六斗落)내(內) -4두락(四斗落) -2두락(二斗落) | 4석(四石) 2석 2두(二石 二斗) | 일응이(一應伊) 노 황무남(奴黃武男) |
| 2두락(二斗落) | 2석(二石) 입고(入庫) | 염성록(廉成祿) |
월평(越坪) | 2두락(二斗落) | 2석(二石) | 외선미 박가(外仙朴哥) |
| 3두락(三斗落) -1두락(三斗落) -2두락(二斗落) | 1석 3두(一石 三斗) 2석(二石) | 조주옥(曺珠玉) 황노(黃奴) |
외선미(外仙味) | 2두락(二斗落) | 2석(二石), 전 경작자 이광주(前作 李廣州) | 월점(月占) 사는 노 손응오(孫應五奴) |
* 상미륵평(上彌勒坪) 2두락 김덕수(金德秀)으로부터 55량 매득 |
| 4두락(四斗落) | 두 사람 경작(兩作) -이노(李奴) 2석 2두 (二石 二斗) -조노(曺奴) 2석(二石) | 노 조이점(曺奴已占) |
수곡(水谷) | 8자원 답 1야미 (八子畓 一夜味) 2두락(二斗落) 복사 (覄沙 : 모래땅) | * 중복 기재 | 김별감 자식 영천에 사는 삼ㅇ(使金別監子永川三ㅇ) |
송현동(松峴洞) | 4두락(四斗落) | 4석 14두(四石 十四斗) | 정노(鄭奴) |
* 동치 9년(1870년) 구기원(具其元)으로부터 115량 매득(132. 명문 참조) |
탑구동 문곡 하평 (塔口洞 文谷 下坪) | 문자원(問字) 3두락(三斗落) | | 잉작(仍作 : 내정) 이대복(李大福) |
* 갑술(1874년) 10월 매입(甲戌十月買得) |
금천(金川) | 이병주 돌 값조로 쌀 2섬을 가져옴(李秉周石賻租 二石來) |
울진 길곡(蔚珍 吉谷) | 4두락(四斗落) | 6석(六石) 입고(入庫) | 경작 이가(作李哥) |
內仙味 入庫 合 二十三石 三斗 | 내선미 입고 합 23석 3두 |
農牛 一雙 黃草住 上村 兒犢 一雙 甲戌秋給 黃ㅇ住 上村 一雙給 順遜 秋晟 一雙 壬申 秋給軟玉 一雙 甲戌 春給 陽溪 劉寬浩子 | 농우 1쌍 상촌 사는 황초주에 지급 송아지 1쌍 갑술(1874)가을 상촌 황ㅇ주 지급 1쌍 추성에게 지급 1쌍 임신년(1872년) 가을 연옥 지급 1쌍 갑술년 봄 양계 류관호 자에 지급 |
동 리 | 면 적 | 수확량 | 경작자 |
수곡평(水谷坪)자른고지 지구평(地邱坪) | 甲戌冬成文王字畓 一斗 五升落 갑술 겨울 매입, 왕자원 답, 1두 5승락 | 二石 作定 三年 退賻次 2석 예정, 3년 계약 | 정윤학(鄭潤學) |
| 王字畓 一斗 五升落 왕자원답, 1두5승락 | 二石 定 二年 退賻次 2석 예정, 2년 계약 | 정원학(鄭元學) 兄弟 |
< 지명 찾기 >
마을이름 | 설 명 |
송릉(松陵) | 平海里 : 서쪽은 금곡산(金谷山)이고, 동서쪽 청학산(靑鶴山)과 평해(平海)의 안산(案山) 사이에 평해평야(平海平野)가 전개되며 남대천이 동해로 흐르고 있다. 북쪽은 평해성지(平海城趾) 밑에 위치한 평해2리와 읍사무소에서 서쪽과 남쪽으로 도로가 경계를 이루고 남쪽 도로변은 시장(市場)과 상가로 되어있으며 도로 안쪽은 농촌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성터(城址), 원터(院址), 송릉(松陵), 생기편 등이 있다. 송릉(松陵)은 마을 뒷산의 능선에 노림(老林)이 우거져 있었다 하여 송릉(松陵)으로 부른다. |
오극곡(烏克谷) | 울진군 평해읍 오곡리로 추정 |
남가 용정(南阿 龍井) | 울진군 평해읍 직산리 |
울진 길곡(蔚珍 吉谷) |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 |
월평(越坪) |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내선미) 월평들 |
국개평(局介坪) |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내선미) 국계들 |
소태동(蘇台洞) |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 * 상소태 : 백암온천주유소 인근 |
거리평(巨里坪) | 온정면 온정1리, 백암주유소와 온정1리 마을회관간 천변(川邊) 들 |
평전 | 울진군 온정면 광품2리 들 |
금천평(金川坪) | 울진군 온정면 금천리 들 |
탑구동문곡(塔口洞文谷) | 울진군 온정면 선구리 천변(川邊) 들 |
< 참 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