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식물 꼬리진달래의 삽목번식 및 종자발아
Cutting Propagation and Seed Germination Test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김남영1*, 심명선1, 김영재1, 이강협1, 이선희1, 전근녀1, 윤미정1, 신창호1, 김성식1, 강우창1, 박완근2
1국립수목원, 2강원대학교)
1. 연구목적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는 진달래과(Ericaceae)의 진달래속(Rhododendron)
으로 경북, 강원도, 충북의 일부지역에서 자라는 상록관목의 식물이다. 진달래속 식물은 원예적으로
관상가치가 아주 높아 조경용 또는 원예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화목류 중의 하나이다. 현재 국
내 철쭉류의 시장 규모는 조경용과 분화용을 모두 합하여 약 150∼200억원 정도의 큰 시장을 이루
고 있으나, UR 등으로 인한 외국 농산물의 무제한적인 수입이 허용되고, UPOV(국제식물신품종보호
연맹)가입에 따라 우리나라 고유의 신품종을 육성해야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꼬리진달래의
조경용 수목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연구방법
1) 공시재료
꼬리진달래의 줄기삽목 및 종자번식에 대한 연구를 위해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리의 자생지에서
삽수와 종자를 채집하였다. 녹지삽수는 2006년 6월 말에 채취하였으며, 숙지삽수는 2009년 2월 말에
채취하였다. 종자는 열매가 성숙하여 벌어지는 2009년 9월 중순에 종자를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2) 줄기삽목에 의한 번식
삽목실험을 위한 삽수의 조제는 가지의 6cm 길이로 절단하고, 잎을 1/2정도 남기고, 45도로 비스
듬하게 절단하였다. 삽목 용토는 모래상과 배양토상을 사용하였으며, 10개씩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생장조절물질인 IBA 100, 500, 1000ppm, NAA 100, 500, 1000ppm과 무처리로 하여 녹지삽과 숙지삽
을 수행하였다.
3) 종자발아율 실험
수집한 열매를 실험실 내에서 상온 건조하여 탈각 후 종자를 수집하였다. 2009년 9월 20일 부터
2009년 10월 19일까지 30일 동안 4회에 걸쳐 100립씩 3반복하여 파종하였다. Growth chamber의 조
건은 발아온도 20℃, 광조건은 암조건으로 하여 관찰하였다. 발아율은 기관이 형성되는 단계까지를
발아의 조건으로 하여 관찰하였다. 종자는 상온에 보관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1) 줄기삽목번식
1-1) 숙지삽목
3월에 실시한 숙지삽목의 결과는 모래상과 배양토(상토1: 마사1: 펄라이트1)상에서 IBA 100ppm,
IBA 500ppm, NAA 100ppm으로 처리한 삽수에서 발근된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고 나머지 개체는
모두 고사하였다(Table 1). 발근율 또한 10% 미만이므로 발근율이 저조하기 때문에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규명하기 어렵다고 사료되며, 배양토 보다는 모래에서 발근이 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2012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2012년 2월 8일~9일 제주KAL호텔
Table 1. Number rooting by the hardwood cutting in of Rhododendron micranthum.
Cutting Media Treatment No. of cutting No. of rooting
Hardwood
Cutting
sand
IBA 100ppm 30 3
IBA 500ppm 30 1
IBA 1000ppm 30 0
NAA 100ppm 30 2
NAA 500ppm 30 1
NAA 1000ppm 30 0
Control 30 0
mixed soil
IBA 100ppm 30 1
IBA 500ppm 30 1
IBA 1000ppm 30 0
NAA 100ppm 30 1
NAA 500ppm 30 0
NAA 1000ppm 30 0
Control 30 0
1-2) 녹지삽목
6월에 실시한 녹지삽목의 결과 모래의 IBA 100ppm, NAA 100ppm, NAA 500ppm과 Control, 배양
토의 IBA 100ppm, NAA 100ppm 처리구에서 발근된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처리구에서
는 전혀 발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Number rooting by the greenwood cutting in of Rhododendron micranthum.
Cutting Media Treatment No. of cutting No. of rooting
Greenwood
Cutting sand
IBA 100ppm 30 2
IBA 500ppm 30 0
IBA 1000ppm 30 0
NAA 100ppm 30 1
NAA 500ppm 30 1
NAA 1000ppm 30 0
Control 30 1
mixed soil
IBA 100ppm 30 1
IBA 500ppm 30 0
IBA 1000ppm 30 0
NAA 100ppm 30 1
NAA 500ppm 30 0
NAA 1000ppm 30 0
Control 30 0
2) 종자발아
종자발아률 결과 바로 파종한 종자는 10일 경과후 종자가 발아되기 시작하였으며 15일에 발아하
여, 72%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또한 처음 파종한 종자후 일주일 후에 다시 파종한 것도 12일 후 종
자가 발아되기 시작하여 15일후에 모두 발아하여 66%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3주차에 파종한 종자
도 10일 후에 종자가 발아되기 시작하여 12일 후에 모두 발아하여 32%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
종한 종자는 10일 후에 종자가 발아가 시작하여 12일 후에 모두 발아하여 5%의 발아률을 나타냈다
(Table 3). 조사결과 꼬리진달래의 종자는 채집 후 바로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1주일 이상 상온에
종자를 보관할 경우 발아율이 감소하므로 빠른 시간에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종자발
아는 파종후 10∼15일 후에 발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종자발아는 양호한 편이며, 채집
후에 바로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Germination percent of Rhododendron micranthum seeds.
Germination rate First 72%
1 week after 66%
2 week after 32%
3 week after 5%
본 실험 결과 종자발아률은 약 70% 이상의 발아률을 나타냈으며, 채집후 바로 파종하는 것이 좋
다. 녹지삽과 숙지삽은 모두 10% 미만의 발근율을 보여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꼬리진달래의 번식
은 삽목에 의한 번식 보다는 종자발아를 통해 개체를 증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에
근삽에 의한 번식 및 신품종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