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이와 신데렐라는 80년대 중후반부터 활동을 하다 2집 음반을 내고 해체되며 팀의 리더인 신 현이 솔로음반을 발표한다.
TV에서는 본적이 없으며 주로 라디오에서 틀어 주는 이들의 음반이 전부였고 간혹 공연을 한다는 소문은 있었다.
분명한 건 80년대 후반 이들의 음반을 듣고 이들의 곡을 카피하여 연주하던 스쿨밴드들이 있었는데 아마 이들도 신데렐라의 공연을 보고 카피를 한 것이 아니고 공연이 될 수 있고 현실적으로 공연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연습을 하여 실제 무대에 올렸던 것 같다.
노래책에도 이들의 노래는 있었고 2집에서는 현이라는 이름을 빼고 나중에는 본명인 신중현을 '신 현'이라고 바꿔서 판을 만드는데 우리나라 밴드의 아버지인 신중현 선생의 이름과 같다는 것이 팀의 리더인 신중현에게 큰 부담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1집에 참여한 구성원은 기타 보컬에 신중현을 비롯 베이스에 고 김병덕(주사위란 밴드에서 활동 ), 기타 오남석, 건반 이동규, 드럼 정동렬이었으며 대부분의 노래를 신중현이 만들었고 기타주자인 오남석의 곡도 있다.
방 미가 불러 힛트한 '우리는 탐험대' 를 작사한 서판석이 기획을 했는데 이 음반에도 이들 방식의 ' 우리는 탐험대'가 있다.
음반의 노래를 들어보면 효과음이나 여타 기계음을 많이 넣기 보다는 실제 연주를 하기 위해 발표한 느낌이 들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목하는 가수의 노래에 개성이 있는데 신중현의 창법이 그렇다.
'신데렐라'라는 이름 또한 당시 미국에서 결성한 글램록 밴드가 인기를 끌면서 약간 묻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1집에서 힛트한 노래는 '그대 떠나간 뒤'로 알고 있으나 밴드의 연주와 특색을 확인 할 수 있는 건 '하나,둘,셋,넷,이 아닐까? 생각한다.
과거 산울림의 김창완이 부른 '가지마오!'를 연상시킨다.
특히 이들의 노래는 실제 들어보면 더 좋을 것 같은데 세월이 지났고 연주를 직접 본다는 건 더 힘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