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산림청, 불랙야크, 월간산, 한국산하 100대 명산(870m)
0. 최단코스 : 폭포주차장-청량폭포-갈림길-삼거리-청량산(장인봉)(원점회귀)
0. 산행거리 시간 : 4km, 02시간 10분
0. 최단주차장 : 청량산폭포주차장(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329-3)
청량산
높이 869.7m이다. 태백산맥의 지맥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 문명산·만리산·투구봉 등이 있다.
주봉인 장인봉을 비롯하여 금탑봉·연화봉·축융봉·경일봉 등 30여 개의 봉우리가 있다.
기반암은 편마암이다. 예로부터 소금강이라 불렸으며, 우리나라 3대 기악의 하나로 꼽혀왔다.
퇴계 이황은 청량산인이라고 불릴 정도로 이 산을 예찬하여 후세인들이 그를 기념하여 세운 청량정사가 남아 있다.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낙동강 상류가 서쪽 절벽을 휘감아 흐른다.
조선 후기의 불전건물인 청량사유리보전(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이 있다.
1982년 8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슬아슬한 암봉·망굴 등의 자연경관을 비롯하여 내청량사·외청량사 등의 고찰과 유적이 많다. 특산물로 춘양목·송이버섯·대추가 유명하다.
높이 869.7m. 태백산맥의 지맥에 솟아 있으며, 주위에 문명산(894m)·만리산(792m)·투구봉(608m) 등이 있다.
청량산(淸凉山)
주봉인 장인봉을 비롯하여 금탑봉·연화봉·축융봉·경일봉·선학봉·탁필봉 등 30여 개의 봉우리들이 있다.
기반암은 편마암이다. 예로부터 소금강(小金剛)이라 불렸으며, 우리나라 3대 기악의 하나로 꼽혀왔다.
1982년 8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아슬아슬한 암봉·망굴 등의 자연경관을 비롯하여 내청량사·외청량사 등의 고찰과 유적이 많다.
산의 남쪽 연화봉 기슭에 내청량사가 있으며 조선 후기의 불전건물인 청량사유리보전(淸凉寺琉璃寶殿: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호)이 있다.
산의 동남쪽 금탑봉 기슭에 있는 외청량사는 높은 절벽 중간에 있으며 최고 절경으로 꼽히는 어풍대와 잘 조화되었다. 남쪽 축융봉에는 고려 공민왕이 피난와 있던 청량산성과 공민왕당(恭愍王堂)이 있다.
그밖에 신라 명필 김생이 글씨를 공부한 곳으로 알려진 김생굴, 최치원이 수도한 곳으로 알려진 고운대 등이 있다. 낙동강 상류인 광석나루터 일대는 아름다운 경치와 맑은 물로 여름철 피서지로 이용된다.
광석나루터-갈림길-내청량사-정상-외청량사-계곡아래-570고개-이름실 코스와 이름실-570고개-산성입구휴게실-축융봉-휴게실-이름실 코스가 있다. 출처: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