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林秀州書> 陳無己
宗周之制, 士見于大夫卿公, 介以厚其別, 詞以正其名, 贄以效其情, 儀以致其敬, 四者備矣. 謂之禮成, 士之相見, 如女之從人, 有願見之心, 而無自行之義, 必有紹介爲之前焉, 所以別嫌而愼微也. 故曰, 介以厚其別. 名以擧事, 詞以道名, 名者先王所以定民分也, 名正則詞不悖, 分定則民不犯. 故曰, 詞以正其名. 言不足以盡意, 名不可以過情. 又爲之贄, 以成其終. 故授受焉, 介以通名, 擯以將命, 勤亦至矣, 然因人而後達也, 禮莫重於自盡. 故祭主於盥, 婚主於迎, 賓主於贄. 故曰, 贄以效其情. 誠發于心而諭于身, 達于容色. 故又有儀焉, 詞以三請, 贄以三獻, 三揖而升, 三拜而出, 禮繁則泰, 簡則野, 三者禮之中也. 故曰, 儀以致其敬. 是以貴不陵賤, 下不援上, 謹其分守, 順于時命, 志不屈而身不辱, 以成其善, 當是之世, 豈特士之自賢. 蓋亦有禮爲之節也. 夫周之制禮, 其所爲防至矣, 及其晩世, 禮存而俗變, 猶自市而失身, 況於禮之亡乎. 自周之禮亡, 士知免者寡矣. 世無君子明禮以正之, 旣相循以爲常, 而史官又載其事. 故其弊習而不自知也. 師道鄙人也. 然有聞於南豊先生, 不敢不勉也. 先生謂師道曰, 子見林秀州乎. 曰未也. 先生曰, 行矣. 師道承命以來, 謹因先生而請焉.
上林秀州書(상림수주서)-진사도(陳師道)가 스승 증공의 소개로-임수주에게 보내는 편지
宗周之制(종주지제) : 옛 주나라 제도에는
士見于大夫卿公(사견우대부경공) : 사가 대부와 공경을 뵈오려면
介以厚其別(개이후기별) : 1,소개를 통함으로서 그들 신분의 차별을 엄격히 하고,
介 소개, 其別 심분상의 차별점
詞以正其名(사이정기명) : 2, 말로 명분을 올바로 세우고
贄以效其情(지이효기정) : 3, 폐백으로써 그의 진정을 나타내며
贄 zhi4, 처음으로 연장자를 방문할 때 보내는 선물
儀以致其敬(의이치기경) : 4, 威儀로서 그의 존경을 표현하였습니다.
四者備矣(사자비의) : 네 가지가 갖추어 져야만
謂之禮成(위지례성) : 그것을 예가 이루어졌다고 말했던 것입니다.
士之相見(사지상견) : 사가 사람들을 뵙는다는 것은
如女之從人(여녀지종인) : 마치 여자가 시집가거는거나 같아서 從人 시집 가는 것
有願見之心(유원견지심) : 만나뵙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 하더라도
而無自行之義(이무자행지의) : 스스로 찾아가는 일은 없었던 것입니다.
必有紹介爲之前焉(필유소개위지전언) : 반드시 소개하는 사람이 앞길을 마련해주어야 했고,
所以別嫌而愼微也(소이별혐이신미야) : 신분의 차이로 말미암아 혐의를 분별하고 미세한 잘
못도 없도록 신중을 기하려는 것이었습니다. 愼微 미세한 잘못도 없도록 신중히 하는 것
故曰(고왈) : 그러므로 이르기를
介以厚其別(개이후기별) : “소개를 통해 그들 신분의 차별을 엄격히 한다.”고 한 것입니다.
名以擧事(명이거사) : 명분이란 일을 드러내는 것이고
詞以道名(사이도명) : 말이란 명분을 인도하는 것입니다.
名者先王所以定民分也(명자선왕소이정민분야) : 명분이란 것은 선왕께서 백성들의 분수를
정해주는 근거였으니,
名正則詞不悖(명정칙사부패) : 명분이 바르면 곧 말도 어긋나지 않게 되고,
悖 bei4 도리에 어긋나다
分定則民不犯(분정칙민부범) : 분수가 정해지면 곧 백성들은 잘못을 범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故曰(고왈) : 그러므로 이르기를
詞以正其名(사이정기명) : “말로 뜻을 전함으로써 만나는 명분을 바로 세운다.”고 한 것입니다.
言不足以盡意(언부족이진의) : 말이란 뜻을 다 표현하기에는 불충분하고
名不可以過情(명불가이과정) : 명분은 진정보다 지나칠 수는 없는 것입니다.
又爲之贄(우위지지) : 또 그 때문에 폐백을 마련하여
以成其終(이성기종) : 그 목적을 이룩하려는 것입니다.
故授受焉(고수수언) : 그러므로 폐백을 주고 받는 것을
介以通名(개이통명) : 중개로 하여 명분을 통하게 하고
擯以將命(빈이장명) : 인도로써 명령을 받들게 하였던 것이니
擯 인도하다, 將命 명을 받드는 것
勤亦至矣(근역지의) : 그 애씀이 지극하였습니다
然因人而後達也(연인인이후달야) : 그러나 사람으로 말이암은 뒤에야 서로 통하는 것이니
禮莫重於自盡(례막중어자진) : 예에 있어서는 스스로 성의를 다하는 것보다 더 중대한 일은 없
습니다.
故祭主於盥(고제주어관) : 그러무로 제사지낼 적에는 손씻는 것을 위주로 하고,
盥 제사 전 손을 씻는 의식
婚主於迎(혼주어영) : 결혼식은 친영을 위주로 하고,
迎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 신부를 마중해 오는 親迎禮
賓主於贄(빈주어지) : 손님 맞이는 폐백을 위주로 하는 것입니다.
故曰(고왈) : 그러므로 이르기를
贄以效其情(지이효기정) : “폐백으로써 그의 진정을 나타낸다.”고 한 것입니다
誠發于心而諭于身(성발우심이유우신) : 정성이란 마음에서 생겨나서 몸에 드러나고
諭 yu4, 알리다
達于容色(달우용색) : 얼굴빛에 퍼지게 되는 것입니다.
故又有儀焉(고우유의언) : 그러므로 또 위의가 있는 것입니다.
詞以三請(사이삼청) : 말로써 상대방에게 세 번 요청하고
贄以三獻(지이삼헌) : 폐백을 세 번 바치며,
三揖而升(삼읍이승) : 세 번 읍을 하고 섬돌 위로 오르고,
三拜而出(삼배이출) : 세 번 절하고 물러나오게 되는데,
禮繁則泰(례번칙태) : 예의가 번거로우면 위대한 것이고
簡則野(간칙야) : 간단하면 속된 것입니다.
三者禮之中也(삼자례지중야) : 세 번이라
는 것은 예에 합당한 것입니다.
故曰(고왈) : 그러므로 이르기를
儀以致其敬(의이치기경) : “위의 예로써 그의 존경을 표현하였다.”고 한 것입니다
是以貴不陵賤(시이귀불릉천) : 이래서 귀한 사람은 천한 사람을 능멸하지 않고
下不援上(하불원상) : 아랫 사람은 윗 사람에게 기어오르지 아니하며,
謹其分守(근기분수) : 삼가 그들의 분수를 지키고
順于時命(순우시명) : 시국의 운명에 순종하여,
志不屈而身不辱(지불굴이신불욕) : 그의 뜻을 굽히지 않고 또 몸을 욕되게 하지 않음으로써
以成其善(이성기선) : 그의 훌륭함을 완성시키는 것입니다.
當是之世(당시지세) : 이러한 세상에 있어서
豈特士之自賢(기특사지자현) : 어찌 유독 사가 스스로 현명해지는 것이 있겠습니까
蓋亦有禮爲之節也(개역유례위지절야) : 또 예가 있어서 그를 조절해 주기 때문인 것입니다.
夫周之制禮(부주지제례) : 주나라 때 제정된 예는
其所爲防至矣(기소위방지의) : 잘못됨을 막아주는 방법으로서 지극한 것입니다.
及其晩世(급기만세) : 그 후대에도
禮存而俗變(례존이속변) : 예는 그대로 존재하는데 풍속이 변하여
猶自市而失身(유자시이실신) : 스스로를 내세우려다 체신을 잃는 일이 있게 되었는데
自市 스스로를 팔다
況於禮之亡乎(황어례지망호) : 하물며 예조차도 없어진다면 어떠하겠습니까
自周之禮亡(자주지례망) : 주나라의 예가 없어진 뒤로
士知免者寡矣(사지면자과의) : 사로써 체신을 잃지 않는 자가 적어졌습니다.
世無君子明禮以正之(세무군자명례이정지) : 세상에는 예를 밝히어 그것을 바로잡아준 군자
가 없어서,
旣相循以爲常(기상순이위상) : 이미 서로 따라 그렇게 하는 것이 일상화되었고
而史官又載其事(이사관우재기사) : 사관도 그런 일들을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故其弊習而不自知也(고기폐습이부자지야) : 그러므로 그러한 폐습이 있어도 자신은 알지 못
하고 있는 것입니다.
師道鄙人也(사도비인야) : 저는 비루한 사람입니다.
然有聞於南豊先生(연유문어남풍선생) : 그러나 남풍(증공)선생님께 들은 것이 있으니,
不敢不勉也(불감부면야) : 감히 그것을 힘쓰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先生謂師道曰(선생위사도왈) : 선생님게서 저에게 말씀하셨습니다.
子見林秀州乎(자현림수주호) : “너는 임수주를 뵌 일이 있느냐.”
曰未也(왈미야) : “아직 없습니다.”
先生曰(선생왈) : 선생이 이르기를
行矣(행의) : “곧 가서 뵈어라.”고 하셨습니다
師道承命以來(사도승명이래) : 저는 선생님의 명을 받들고 와서
謹因先生而請焉(근인선생이청언) : 삼가 선생님을 의존하여 뵙기를 청하는 바입니다
첫댓글 고맙습니다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현재에..살 수 있어서
다만, 글로써만 접하면서 깨닫게 되어서
참..다행입니다..
에휴..
저도 꽤나 복고적인 사고의 틀에 사는데..
어렵네..요..
유능한 셀러리맨이나 잘 나가는 사업가들 돌이켜 보니 이런 비슷한 '禮'로 사람들의 마음을
잡는다는 것을 이 글을 보면서 막연히 느꼈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