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118]
 (죽) 대나무 |
자원(字源) : {象形字} 두 개의 나무 가지에 잎사귀가 아래로 늘어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대나무'의 의미로 표현함. 부수의 활용은 대나무의 종류나 대나무로 만든 용구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고대 종이가 없던 시절에 글을 쓰던 죽간(竹簡)으로 인해 '대나무 죽'자가 글자의 머리에 들어간 많은 수의 글자가 '문서'와 관련된 의미를 지니고 있음.[ 예) 簿(부), 籍(적), 簡(간), 符(부)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9자 0) 竹 (죽) 대,피리 : 竹馬故友, 松竹 4) 笑 (소) 웃다 : 微笑, 談笑, 一笑 5) 符 (부) 부신,맞다,부적 : 符節, 符合 5) 第 (제) 차례,집,과거 : 次第, 及第 6) 筆 (필) 붓,글 : 筆舌, 春秋筆法, 6) 等 (등) 무리,등급 : 等級, 等閒視 6) 答 (답) 대답하다,갚다 : 對答, 答禮 6) 策 (책) 꾀,계책,채찍 : 彌縫策, 苦肉之策, 策勵 8) 箇 (개) 낱, 개수 : 箇箇, 箇中 8) 算 (산) 셈하다 : 算出, 算定, 計算 8) 管 (관) 관,맡다 : 管理, 管鮑之交 9) 節 (절) 마디,예절,절개, 절기,때 : 節目, 禮節, 節氣 |
9) 範 (범) 법,본보기,한계 : 模範, 師範, 敎範, 規範 9) 篇 (편) 책,편 : 玉篇, 全篇 10) 築 (축) 다지다,쌓다,짓다 : 建築, 築臺, 築造 10) 篤 (독) 도탑다 : 篤實, 敦篤, 篤志 12) 簡 (간) 편지,문서,죽간,간략하다 : 書簡, 簡素, 簡略,竹簡 13) 簿 (부) 장부 : 簿記, 名簿, 帳簿 14) 籍 (적) 문서,올리다 : 典籍, 戶籍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5) 笛 (적) 피리, 저 : 萬波息笛, 警笛 |
6-2,[119]
 (미) 쌀 |
자원 : {象形字} 이삭의 가지에 붙어있는 곡식{본래 기장에서 후에 쌀로 표현}의 낟알을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과 가운데 '十'의 의미를 흩어졌다는 의미로 보아 그릇 안에 흩어져 있는 쌀알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는 학설이 있음. 일반적으로 '米'는 도정(搗精: 껍질을 벗김)을 한 쌀이나 보리, 수수 등을 의미하고 '禾(화)'와 '稻(도)'는 벼 자체를 의미하는데, '禾(화)'가 별도의 부수로 설정되어 '곡물이나 수확' 등을 의미하고 있어 다소 일관성이 없음. 부수의 활용은 쌀의 여러 종류나 곡물 등을 의미하고 혹 가공한 식품이나 성질 등을 나타내는 글자에 활용되기 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0자 0) 米 (미) 쌀 : 米穀, 白米, 米壽 4) 粉 (분) 가루, 분 : 粉末, 粉飾 6) 粧 (장) 단장하다: 丹粧, 化粧, 治粧 6) 粟 (속) 조,벼,오곡: 米粟, 滄海一粟 |
8) 精 (정) 찧다,자세하다,정신,신령 : 精米, 精密, 精神, 精巧 10) 糖 (당) 엿,사탕 : 糖分,砂糖, 製糖 12) 糧 (량) 양식,먹이 : 糧食, 食糧 |
6-3,[120]
 (사) 실 |
자원 : {象形字} 고치에서 뽑은 실 가닥을 모아 한 묶음의 실타래를 본뜬 글자로 '가는 실'을 의미하는데, 본래 단독으로 사용되다가 현재와 같이 두 개를 합쳐 '絲(사)'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앞서 별도의 부수로 설정된 '작을 요[3획 부수- 幼의 왼쪽]'와도 같은 의미의 글자로 봄. 부수의 활용은 여러 종류의 실이나 끈 등을 의미하면서 그 상태나 성질, 동작 등을 의미하는 '직물', '실 짜는 일' 등으로도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48 자 1) 系 (계) 잇다,혈통: 系譜,傍系, 家系 ▲2) 糾 (규) 모으다,살피다 : 糾合, 糾明, 糾彈 3) 紀 (기) 실마리,법, : 紀綱, 西紀 3) 約 (약) 대략,약속,검소하다 : 公約, 言約, 儉約 3) 紅 (홍) 붉다 : 紅一點, 紅爐點雪 4) 納 (납) 들이다,바치다 : 納得, 納凉, 受納 4) 純 (순) 순수하다,부드럽다 : 純粹, 純正, 單純 4) 紙 (지) 종이 : 紙筆硯墨, 紙匣, 洛陽紙價貴 4) 級 (급) 등급,차례 : 等級,進級,同級 4) 紛 (분) 어지럽다,번잡 : 紛亂, 紛糾 4) 素 (소) 희다,바탕,본디 : 素服, 平素, 繪事後素 4) 索 (삭) 노,쓸쓸하다 : 索道, 索莫, (색) 찾다 : 索引, 索出 5) 細 (세) 가늘다,작다 : 微細, 詳細, 細密 5) 終 (종) 마치다,죽다 : 始終一貫, 終身, 終末 5) 絃 (현) 줄,현악기,타다 : 管絃樂, 伯牙絶絃 5) 組 (조) 짜다,끈 : 組閣, 組織 5) 紫 (자) 자주빛 : 紫色, 山紫水明, 紫陽花 5) 累 (루) 여러,거듭,연루 : 累卵之勢, 累積, 連累 6) 絲 (사) 실,거문고 : 絹絲, 毛絲, 蠶絲 6) 結 (결) 맺다,끝맺다 : 結者解之, 結論, 結局 6) 絶 (절) 끊다,뛰어나다,절구 : 斷絶, 絶景, 絶世, 絶句 6) 絡 (락) 잇다,두루,싸다 : 連絡, 脈絡, 籠絡 6) 給 (급) 넉넉하다,대다,주다 : 給與, 給付, 供給 |
6) 統 (통) 거느리다,계통,실마리 : 傳統, 統計, 統合 7) 絹 (견) 명주 : 絹絲, 絹本 7) 經 (경) 날줄,지나다,다스리다,경서 : 經天緯地, 經緯, 經傳, 經驗 8) 綠 (록) 초록빛 : 綠衣紅裳, 綠陰 8) 維 (유) 바,매다,오직 : 維歲次, 維新 8) 綱 (강) 벼리,근본,대강 : 綱領, 紀綱, 大綱 8) 綿 (면) 솜,잇닿다 : 綿絲, 純綿, 綿密, 海綿 8) 緊 (긴) 급하다,팽팽하다,줄이다,굳다 : 緊急, 緊張, 緊要, 緊縮 9) 緖 (서) 실마리,찾다 : 緖論, 端緖 9) 線 (선) 줄,실,선 : 休戰線, 脫線, 接線 9) 緣 (연) 인연,인하다 : 緣木求魚, 因緣 9) 編 (편) 엮다,얽다,책,편 : 編成, 編輯 9) 緩 (완) 느리다,늦추다,너그럽다 : 緩急, 弛緩, 緩慢 9) 緯 (위) 씨줄,짜다,참위 : 經緯, 緯度, 讖緯說 9) 練 (련) 익히다,가리다 : 洗練, 熟練 10) 縣 (현) 매달다,떨어지다,고을 : 縣監, [懸(현)과 통용] 11) 縮 (축) 오그라들다,모자라다 : 短縮, 減縮, 伸縮 11) 縱 (종) 세로,놓다,비록 : 縱橫無盡, 放縱 11) 總 (총) 거느리다,모으다,묶다,총각, 모두 : 總括, 總計, 總角 11) 績 (적) 짜다,공 : 紡績, 成績, 功績 11) 繁 (번) 성하다,많다,번거롭다 : 繁盛, 繁昌, 繁文縟禮 12) 織 (직) 짜다,만들다 : 織物, 組織, (치) 기치 ▲13) 繫 (계) 매다 : 繫留, 繫屬 14) 繼 (계) 잇다 : 繼承, 繼母 15) 續 (속) 잇다 : 繼續, 續出, 連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