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먹는 약의 숫자도 늘어난다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나이가 들수록 먹는 약의 숫자도 늘어난다.
많게는 10개 이상 약을 한 번에 먹기도 하는데, 개중엔 복용을 통한 이익보다
위험성이 더 큰 약물들이 섞여있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실제 최근 국내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공동연구팀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한국보건의료연구원 윤지은 성과연구팀장)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66세 노인 330만명을
대상으로 복용 중인약물의 개수와 ‘부적절 약물’ 복용 여부, 이에 따른 사망·장애 위험 등
을 분석했다.
노인 부적절 약물이란 노인에게 이득보다 부작용이 클 수 있어 처방에 신중을 요하는
약품으로, 소화성궤양용제 ‘에스오메프라졸마그네슘’ 성분이나 위산분비억제제 ‘
라베프라졸나트륨’ 등이 해당된다.
연구 결과, 66세의 35.4%(약 16만명)가 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이상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32%(약 8만명)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10개 이상 복용하는 비율도
8.8%에 달했다.
연구 대상 중 53.7%는 1종 이상의 ‘노인 부적절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
10년 전과 비율은 비슷했지만, 절대 숫자는 약 13만8000명에서 24만8000명으로
80%가량 증가했다.
노인 부적절 약물을 사용한 66세 인구 65만명을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사망 위험이25% 증가했으며,
3등급 이상 장기요양 등급(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장애)을 받을 가능성 역시 46% 높았다.
부적절 약물 사용이 2종 이하일 경우 장애 위험이 약 31% 증가했고, 3종 이상일 때는
81%까지 치솟았다.
연구팀은 복용하는 약물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생리적인 노화, 약물 간 상호작용,
약물-질병 간상호작용 등으로 인해 이익보다 위험성이 더 커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적절한 약물 사용이 중복될 경우 그 위험성 또한 크게 증가한다는 설명이다.
김선욱 교수는 “이제 막 노령에 접어든 66세 젊은 노인들 중 상당수가 다약제,
노인 부적절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사망 위험이 증가하고 높은
장기요양 등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5~26일 열린 ‘대한노인병학회 제72차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