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연봉은 어떻게 산출되나
①금액보다 근거·타당성에 주목...재계 보수위원회 설치 늘어나는 추세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지난해 지주사 CJ 및 CJ제일제당·CJ ENM에서 총 218억61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CJ에서 91억원, CJ제일제당에서 84억원, CJ ENM에서 44억원을 수령했다. 퇴직금·스톡옵션과 같은 일회성 소득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면 이 회장이 우리나라 '연봉왕'으로 나타났다.
4대그룹 총수 중에서는 ㈜LG로부터 88억4000만원을 받은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연봉이 가장 높았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87억7600만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40억9000만원으로 뒤를 따랐다. 최 회장은 지난해 성과급 논란으로 SK하이닉스에서 받은 연봉을 반납해 지주사 SK㈜의 연봉만 챙겼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7년 3월부터 무보수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경영진 고임금, 금액보다 타당성이 문제
시장경제 체제에서 경영진의 고임금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납득의 영역이다.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까지 많은 금액이 한 사람에게 지급되는 만큼 구성원과 주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 특히 기업 시스템의 투명화는 최근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지난해 SK하이닉스에서 불거진 성과급 논란은 투명성과 공정성이 주요한 가치로 떠오르는 사회 분위기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였다. 경영진에게 책정하는 보수가 공정하지 않다는 판단이 들면 언제든지 화살이 위로 향할 수 있는 상황이다.
주주들의 감시망도 촘촘해지는 추세다. 올해 셀트리온 주주총회에 참석한 한 주주는 기우성 대표이사 부회장(사진)과 서진석 이사회 의장이 주가가 회복할 때가지 최저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발언했다.
셀트리온의 주가가 1년 사이에 46% 하락하는 등 부침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경영진도 고통 분담을 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기 대표는 거듭된 주주들의 요구에 결국 주가가 35만원에 도달할 때까지 최저임금을 받기로 했다.
마찬가지로 주가가 절반 가까이 하락한 엔씨소프트의 주총장에서도 김택진 대표이사를 향해 "잠깐이라도 무보수나 최저임금을 생각한 적이 없느냐"라는 질문이 던져졌다.
◇이사회 혹은 이사회 내 보수위원회에서 평가
사내이사 경영진의 연봉은 급여와 상여로 구성된다. 매월 입금되는 급여는 기업의 내부 기준을 기초로 책정되는데, 매년 성과지표 달성 경과에 따라 연봉 인상률이 결정된다. 성과금은 매출·영업이익 등 계량지표와 기여도·리더십·전문성과 같은 비계량지표를 고려해 산출한다.
기준을 만들고 평가를 내리는 주체는 어디일까. 기업에 따라 답이 상이하다. CJ와 현대차·SK는 이사회 내 보수위원회(보상위원회)에서, LG는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의 연봉을 결정한다.
보수위원회가 없을 경우 이사회가 스스로의 성과를 평가하는 구조라 보수 책정 투명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힘들다. 공정성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이 없지는 않겠지만 큰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 이사회에 있다면 이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 많은 상장사들이 이사회에 보수위원회를 두고 있지 않다.
기업 지배구조를 연구해온 전문가들은 이사회에 보수위원회를 설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보수위원회의 실효성에는 의견이 분분하나 위원회 설치가 기업구조 투명화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안상희 대신증권 한국ESG연구소 책임투자센터장은 "(보수위원회와 같은)프로세스가 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며 "임원 보수 책정에 대한 책임 소재가 명확한 점은 기업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배구조 규제 많은 금융사는 의무…재계 선두들도 변화 시작
지배구조에 대해 일반 기업보다 더 강한 규제를 받는 금융사는 이사회에 보수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이 의무다. 보수위원회는 보통 1분기 중 평가기준을 수립하고 다음해 1분기 중 최종적인 평가를 내린다. 재무 등 계량 가능한 지표와 개인별로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점을 따져 보수를 책정한다.
금융사가 아닌 일반 기업은 보수위원회 운영이 자율이지만, 최근 재계에서도 보수위원회를 설치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09년 일찌감치 보상위원회를 만들었다. 사외이사 3명이 소속된 형태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계열사에 모두 보상위원회가 설치돼있는데, 계열사별로 이사회 구성은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면 삼성SDI의 보상위원회는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2명이다.
현대차는 2019년 하반기에 보수위원회를 처음 설치했다.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영향이 컸다. 엘리엇은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선 과정에서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며 보수위원회 설치를 제안했고, 현대차는 이를 받아들였다.
SK그룹 이사회에 보수위원회가 설치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지난해부터 보수위원회의 역할을 포함한 '인사위원회'의 운영이 시작됐다. 임원들의 보수 책정은 물론 사외이사 후보 추천과 대표이사 평가 및 유임 여부까지 결정한다는 점이 다른 기업과 다르다.
재벌 대기업과 다른 지배구조 문법을 지향하는 정보기업(IT) 업계에서도 다수의 기업들이 이사회 내 보수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0년 12월 보상위원회 설치를 결정했고, 카카오 이사회 내 보상위원회가 최초로 확인된 시점은 사업보고서 기준 2003년이다.
[더벨] 2022.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