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단기 4357년) 10월 7일(월). 음력 9월 5일.
* “모든 게 선물이었다는 거죠.... 내 집도, 내 자녀도, 내 지성도... 분명히 내 것인 줄 알았는데...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처음 받았던 가방, 알코올 냄새가 나던 말랑말랑한 지우개처럼. 내가 울면 다가와서 등을 두드려주던 어른들처럼. 내가 벌어서 내가 산 것이 아니었어요. 우주에서 선물로 받은 이 새명처럼, 내가 내 힘으로 이뤘다고 생각한 게 다 선물이더라고.”
- 이어령,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1504 (조선 연산 10년) 성리학자 '김굉필' 세상 떠남
1789 (조선 정조 10년) 사도세자의 무덤,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으로 옮김
1886 (조선 고종 23년) 미국 선교사 '스크렌튼' 여사 병원 개설
- '메리 플레처 벤튼 스크랜튼', 한국명 '시란돈'(施蘭敦)
- 이화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과 수원시 위치한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의 창설자
- 한국에 대한 애정이 각별해 한국에 도착하기도 전에 "일본에서의 생활은 즐거우며 선교사들의 생활 조건도 훌륭하나 나는 내 민족(한국인)에게 가서 그들 속에서 살고 싶다"라고 함
- 1909년 10월 8일 한국에서 세상을 떠났다. 스크랜튼은 유언에 따라 한국에 묻혔는데 양화진 선교사 묘지에 안장됨
- 그녀의 아들인 윌리엄 스크랜튼 또한 1884년 예일 대학교를 졸업하고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한국의 첫 번째 감리교 선교사로 활동
1910 일제, '이완용' 등 75명에 귀족작위 수여
1917 한강인도교(제1한강교) 준공
- 현재 28개 : 한강철교(1900), 한강인도교(제1한강교, 1917), 광진교(1936), 양화대교(제2한강교, 1965), 한남대교(제3한강교, 1969), 마포대교(1970), 잠실대교(1972), 영동대교(1973), 천호대교(1976), 잠수교(1976), 행주대교(1978), 성수대교(1979), 잠실철교(1979), 성산대교(1980), 원효대교(1981), 반포대교(1982), 당산철교(1983), 동작대교(1984), 동호대교(1984), 올림픽대교(1990), 강동대교(1991), 서강대교(1999), 방화대교(2000), 신행주대교(2000), 청담대교(2001), 가양대교(2002), 마곡대교(2010), 구리 암사대교(2014), 월드컵대교(2021년)
1929 조선일보, 서울에서 경평(京平)축구대항전 개최
1945 경기매일신문 창간
1950 한국전쟁 중 UN총회
- UN군의 38선이북 진격과 UNCURK(한국통일부흥위원회)설치 결의
1950 전남일보 창간
1955 '이승만' 저격미수사건 범인 '김재호' 외 7명 거사 전날 체포
1969 최초의 다목적댐 진주 남강댐 준공
1978 충남 홍성 진도 5.0 지진
- 여진 7차례, 부상 2명, 건물 111동 파괴, 성곽파손 90m
1979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 파리에서 의문의 실종
- 5.16 군사 정변에 가담,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육군 준장으로 예편.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중앙정보부장 역임
- 유신 후반 '박정희' 정권의 비리 폭로로 마찰을 빚음
- 이는 1969년 10월 박정희 정권 유지를 위한 3선 개헌의 1등 공신인 자신을 중앙정보부장에서 해임하고, 1973년 3월 유정회 국회의원 명단에서도 제외되었다는 이기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함
- 1984년 10월 8일 정식으로 사망신고, 2005년 미국에서 '김형욱'이 가묘 발견
1980 부산도시고속도로(남구~동래 15.7㎞) 개통
1989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10월 4일에 열린 세계성체대회 참석차 방한
1990 제11회 베이징 아시안게임 폐막, 한국 금메달 54개로 2위
1992 '노태우' 대통령, '현승종' 한림대총장을 국무총리로 임명
1997 '강삼재' 신한국당 사무총장, '김대중' 비자금 폭로
1997 남북한 항공노선 개설 위한 남북한 당사자회의 열려 남북간 관제직통전화설치 합의
1999 '김대중' 대통령 특별검사 임명
- 옷로비의혹사건 특별검사 '최병모' 변호사, 조폐공사파업유도사건 특별검사 '강원일' 변호사
2003 '노무현' 대통령,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중화인민공화국의 '원자바오' 총리가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3국 정상회담
2012 미사일지침(NMG) 개정으로 우리가 개발하는 탄도미사일의 탄두중량이 500kg으로 증가, 사거리는 800km로 연장
2013 민주화와 통일운동에 평생을 바친 '홍근수' 목사 세상 떠남(76세)
2017 소설가 '한강', 미국 뉴욕타임스에 “미국이 전쟁을 말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 글 기고
2018 한국여자골프LPGA 8개국 대항전 제3회 UL인터내셔널 크라운 우승
- 인천 송도 잭니클라우스 골프클럽. '박성현', '김인경', '전인지', '유소연'
2020 BTS, 한미친선협회 코리아 소사이어티가 한미관계발전에 기여한 인물에 주는 ‘밴플리트’상 받음
2020 與(더불어민주당) "운동권 자녀에 취업·주택대출 혜택 주자” 법안 발의
2021 노조 없는 스타벅스 직원들, 스타벅스 한국진출(1999) 이후 22년 만에 첫 단체 행동
2023 축구인 ‘박종환’ 세상 떠남(1936년 2월 9일 ~ )
- 엄한 훈련을 중시하는 스파르타식 지도로 유명한 명감독
- 대한석탄공사 선수, 수원 유신고등학교 체육교사, 축구 국제심판
- 고연전 축구 경기 단골 주심을 맡을 정도로 정확한 경기 진행으로 유명
- 1983년 FIFA U-20 월드컵에서 4강 진출. 경기가 열린 멕시코가 고지대라는 점을 감안 마스크를 쓰고 운동했다고 함
- 일화 천마의 창단 감독, 정규리그 3연패
- 1995년 코리아컵 준결승전에서 잠비아에 충격적 패배. 원인은 홍명보, 황선홍 등 주전 선수들이 전날 술집에서 대취할 정도로 술을 마심. 홍명보 등은 징계 위기에 처했었는데, 이에 앙심을 품은 홍명보가 1996년 아시안컵 8강 對이란 전 후반에 사실상 태업에 가까운 경기를 진행하여 전반에는 2:1로 앞섰으나, 후반에 다섯 골을 먹어 6:2로 패함. 이로 인해 박감독은 자살까지 생각했다고 함(자료 : 나무위키 등)
- 말년에는 자신의 집이 없어서 지인의 집에서 야인으로 지내기도 했음
- 코로나 합병증으로 사망. 사후 대한축구협회가 장례식을 주관하여 축구협회장으로 장례를 치름
1769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 뉴질랜드 도착
1849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 세상 떠남
1919 세계 최초의 항공사인 KLM 발족
1949 동독(독일민주공화국) 수립, 수도 '동베를린'
1950 '테레사 수녀'가 '사랑의 선교회' 설립
1950 미국 공학자 '윌리스 해빌랜드 캐리어' 세상 떠남
- 1902년 최초의 전자식 공기조화기 발명
- 1915년 히터기, 통풍기, 에어컨 전문 생산 기업인 "캐리어" 설립
1950 중국군, 티베트 침략 시작
1959 뮤지컬 영화 "황태자의 첫사랑"에 목소리만 출연(‘드링킹 송’)한 미국 테너 '마리오 란차'(38세) 세상 떠남
1976 중국 4인방 등 30여명 숙청
- 4인방 : '강청', '왕홍문', '장춘교', '요문원'
1996 24시간 케이블 뉴스 채널 폭스뉴스 첫 방송
1999 프랑스 고교생 6만 명, 교육환경개선요구 시위
2000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 유고 대통령, '밀로세비치' 후임으로 취임
2001 미국 9.11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아프가니스탄 공습 개시
- 탈레반 심장부인 남부 칸다하르가 12월 7일 미군에게 함락되면서 탈레반 정권 붕괴
- 12월 22일 카불에서 '하미드 카르자이'를 임시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 출범
2019 노벨생리의학상 3인 공동수상
- 산소농도에 따른 세포반응 연구자 '윌리암 케일린' 하버드대 교수, '그레그 서멘저' 존스홉킨스대 교수, '피터 랫클리프'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원
2019 ‘멸종반란’ 주도 기후변화 대응 촉구 국제연대시위 세계 주요도시에서 시작
2019 미국 카네기과학연구소 토성의 위성 20개 새로 찾아냄
- 토성은 위성 82개로 목성(79개) 제침
2020 유전자 편집기술 발전시킨 ‘에마뉴엘 샤르팡티에’(52세) 교수(프랑스)와 ‘제니퍼 다우드나’(56세) UC버클리 교수(미국)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
- 사상 처음으로 여성 과학자 2명 수상
2022 ‘알레시 발라츠키’(벨라루스 인권운동가), ‘메모리알’(러시아 인권운동단체), ‘시민자유센터’(우크라이나 인권단체) 노벨평화상 함께 받음
* 자료 : 블로그 '손혁재의 정치학당', 위키백과, 구글 뉴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