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일시차일시(彼一時 此一時)
[요약] (彼: 저 피. 一: 한 일. 時: 때 시. 此: 이 차. 一:한 일.時: 때 시)
그때는 그때, 이때는 이때라는 뜻으로, 각각(各各) 때에 따라 행(行)한 일이 조금도 모순(矛盾)이 없음을 이르는 말. 그때 그렇게 한 것도 하나의 경우였고, 이때 이렇게 한 것도 또한 하나의 경우여서 그때그때의 경우에 적응해서 한 것이므로 결코 모순되지 않음.
[구별어] 차일피일(此日彼日): 자꾸 기일을 미룸.
[출전] 《맹자(孟子) 공손추 하(公孫丑章句下 十三章)
[내용] 이 성어는 맹자(孟子) 공손추 하(公孫丑章句下 十三章에 나오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孟子께서 제(齊)나라를 떠나실 때 제자 충우(充虞)가 길에서 물었다.
"선생님께 유쾌하지 않은 기색이 계신 듯 하십니다. 전날에 제가 선생님께서 '君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아니하며, 사람을 허물하지 아니한다'는 말씀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孟子去齊. 充虞路問曰, 夫子若有不豫色然. 前日虞聞諸夫子曰 君子不怨天, 不尤人.
[집주]이 두 귀절은 실제는 孔子의 말씀인데, 孟子가 일찌기 이를 일컬어 사람들을 가르쳤다.
"저도 한 때이며, 이도 한 때이다. 대체로 五百年에 반드시 王者가 일어 나고, 그 사이에 반드시 세상에 이름을 떨치는 賢者가 있게 마련이다.
曰, 彼一時, 此一時也. 五百年必有王者興, 其間必有名世者.
[집주] 피彼 옛날, 차此 오늘. (주자의 해석/그 때와 지금의 상황이 다르다 : 조기 초순 해석/옛날 聖王들이 났을 때도 王者가 나올만한 때였으며, 지금도 王者가 나올만한 때이다)
요순(堯舜)으로부터 탕(湯)에 이르며, 탕(湯)으로부터 문왕·무왕에 이르기까지 모두 500 년에 聖人이 났다. 名世는 그 德業과 學問, 信望이 한 세대에 이름날 만한 사람이 王者를 보좌하는 것을 이르니, 고요, 직, 설, 이윤, 내주, 태공망, 산의생과 같은 사람들이다.
周나라 文·武王 이래로 칠백여 년(七百有餘歲)이 되었다. 그 햇수로 보면 聖人이 날 때가 지났으나, (어지러움이 극에 달하면 다스려지게 됨을) 그 때라고 생각한다면 지금을 그 때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由周而來, 七百有餘歲矣. 以其數則過矣, 以其時考之則可矣.
[집주]주나라는 문왕, 무왕 무렵을 말한다. 數는 500 년의 기간을 말한다. 時는 어지러움이 극에 달하면 다스려지게 되는 것을 생각하여, (지금이야말로 천하를 다스리는) 일을 해야 할 때라는 말이다. 이에 한번도 일을 해볼(有爲) Chance를 얻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孟子께서 기뻐하지 않는 기색이 없지 못하는 까닭이다.
하늘이 天下를 태평하게 다스리려고 하지 않는 것이지, 만일 天下를 태평하게 하고자 한다면 지금 이 세상에서 나 말고 그 누구이랴? 내 어찌하여 기뻐해 하지 않겠는가?"
夫天, 未欲平治天下也. 如欲平治天下, 當今之世, 舍我其誰也. 吾何爲不豫哉.
[집주]'이 때를 당해서 내가 제나라에서 뜻을 펴지 못하게 하는 것은 하늘이 아직 천하를 태평하게 다스리고자 아니한 것이다. 그러나 하늘의 뜻은 알 수 없고, 그 갖춘 것은 나에게 있으니 내가 어찌 기뻐하지 않아 하겠는가?'라고 하신 것이다. 그런즉 맹자께서 비록 기뻐하지 않아 하신 것이 있는 것 같으나 실상은 일찌기 기뻐하지 않으신 것이 아니다. 聖賢이 세상을 근심하는 뜻과 하늘(天理)을 즐거워하는 정성이 병행하고 어그러지지 않음을 여기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