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만원자경(佛說滿願子經) 해제
1. 개요
역자는 미상이고 5세기 초에 한역되었다. 총 1권으로 되어있으며, 부처님께서 흉악한 사람들을 교화하고자 하는 부루나를 칭찬하시고, 애착할 만한 대상을 마음으로 취하지 않는 것이 법의 요체임을 설하신 경전이다.
2. 성립과 한역
역자는 미상이고, 동진(東晋)시대 317년에서 420년 사이에 한역되었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잡아함경』 제13권의 제8경이 있다. 내용은 팔리어 중부 경전의 제145경․상응부 경전의 제35 제88경과 동일하다.
4. 구성과 내용
빈누(邠耨) 즉 부루나(富樓那)의 교화에 대해 설하면서 사물에 대한 애착을 끊는 것이 법의 요체임을 설한 내용이다. 제목에 있는 만원자란 곧 부루나를 가리킨다.
한때 부처님이 마구라무종산(摩鳩羅無種山)에 있었다. 이때 현자 빈누가 부처님의 허락을 받고 수나화란국(首那和蘭國)에 가서 흉악한 사람들을 교화하고자 하였다. 부처님은 빈누에게 애착할 만한 대상을 마음으로 취하지 않는 것이 법의 요체임을 설하고 나서 수나화란국의 사람들의 성미가 거친 것을 걱정하였다. 빈누는 사람들이 욕하거나, 돌이나 몽둥이로 때리고 칼로 찌르는 것을 참을 수 있으며, 심지어 목숨을 해친다고 해도 더럽고 고통의 원인이 되는 몸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고 깨달음에 대한 일념으로 달게 참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부처님은 부루나의 인내를 칭찬하였다. 곧바로 빈누는 수나화란국으로 가서 수많은 사람들을 교화하고 그곳에서 열반하였다.
불설만원자경(佛說滿願子經)
佛說滿願子經
역자 미상
최민자 번역
附東晉錄
이와 같이 들었다.
聞如是:
한때 부처님께서 마구라(摩鳩羅)를 유행(遊行)하시다가 무종산(無種山)에 대비구와 함께 계셨는데, 비구는 5백 명이었다.
一時,佛遊摩鳩羅無種山中,與大比丘俱,比丘五百。
그때 현자(賢者) 빈누(邠耨, Prṛna)가 저녁 때에 연좌(宴坐 : 좌선)에서 일어나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가서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고 부처님 발 아래 머리를 조아리고 차수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훌륭하십니다, 세존(世尊)이시여. 저에게 중요한 법[要法]을 말씀해 주십시오. 제가 반드시 받들어 행하여 저의 몸이 오랫동안 한없이 편안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고 기억하여라.”
빈누가 대답하였다.
“예, 세존이시여.”
爾時,賢者邠耨,晡時從宴坐起往詣佛所,偏袒右肩右膝著地,稽首足下叉手白佛:“善哉世尊!爲我且講要法,我當奉行,令身長夜安隱無極。”佛言:“諦聽,善思念之。”邠耨應:“唯然,世尊!”
부처님께서 빈누에게 말씀하셨다.
“눈은 아름다운 색(色)과 보기 좋은 물건과 사랑스럽고 즐거운 것을 보면 그것을 탐내며, 귀는 아름다운 소리를 탐내며, 코는 좋은 향기를 알고, 혀는 좋은 맛을 알며, 몸은 곱고 부드러운 것에 집착하고 또한 뜻에 맞는 것을 즐거워하고, 하고 싶은 것을 좋아하고, 탐내고 바라는 것에 미련을 둔다. 만일 비구가 그러한 것을 즐거움으로 기쁘게 받아들이고 마음이 그 속에 머물러 있으면, 이미 탐욕에 머무는 것이니, 곧 즐거움에 미혹된 것이다. 이로부터 근심, 걱정, 괴로움과 슬픔에 이르게 된다.
만일 빈누 비구가 눈으로 색(色)을 보아 보기 좋은 물건이라도 기뻐하거나 좋아하지 않고 마음이 그 속에 머물지 않으면 괴로움과 근심이 곧 없어지며, 귀ㆍ코ㆍ입ㆍ몸ㆍ뜻도 역시 그와 같다. 이것이 바로 중요한 법을 대략 말한 것이며, 부처의 가르침이니, 이것으로써 경계[誡勑]를 삼아라. 그대가 지금 유행하고 싶은 곳이 있느냐?”
佛告邠耨:“目見好色可眼之物,所可愛樂貪欲之,耳貪好聲,鼻識好香,舌知美味,身著細滑更樂可意,愛於所欲慕於貪求。假使比丘欣樂然可心處其中,已貪住則樂迷惑,從是致患憂惱之慼。假使,邠耨比丘!目見色者,可眼之物不以歡樂,心不處中,惱患則除。耳鼻口身意亦復如是,是爲粗擧要法。佛之教誨以誡勅汝,今欲所遊?”
빈누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예, 세존이시여. 이름이 수나화란(首那和蘭)[진(晉)나라 말로 소문욕승(所聞欲勝)이라고 한다]이라는 나라가 있는데, 그 나라로 유행하고 싶습니다.”
邠耨白佛:“唯然世尊,有一國名首那和蘭晉曰所聞欲勝,欲遊彼國。”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 나라 사람들은 흉악하여 거칠고 사나운 뜻을 품고 있어 부드럽게 화합하지 못하고, 사람들끼리 싸우기를 좋아한다. 만일 그 나라에서 다른 마음을 품은 흉악한 사람이 욕설을 하고 헐뜯고 모욕을 주면 어떻게 하겠느냐?”
“만일 그 나라에서 다른 마음을 가진 흉악한 사람이 저에게 욕설을 하고 모욕을 주면 저는 마땅히 마음속으로 ‘나를 사랑하고 존경하여 오히려 나를 용서해 주어 손으로 치지 않는구나’라고 생각하겠습니다.”
佛言:“彼國凶惡志懷麤(麩-夫+黃),不能柔和喜鬪亂人。假使彼國異心凶人罵詈毀辱,當云何乎?”“假使彼國異心惡人罵詈辱我,我當心念:‘愛我敬我尚原赦我,手不推我。’”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들이 만일 그대를 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빈누가 아뢰었다.
“마땅히 마음속으로 ‘오히려 또 나를 사랑하고 존경하며, 어질고 착하고 부드럽고 온화하여 기와와 돌을 나에게 던지지 않는구나’라고 생각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기와와 돌을 그대에게 던진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빈누가 아뢰었다.
“그 나라 사람들은 착하고 인자하고 온화하고 올발라서 칼과 몽둥이로 나의 몸이 상하도록 치지 않는구나’라고 생각하겠습니다.”
佛言:“假使扠汝,當奈之何?”邠耨白曰:“當心念言:‘尚復愛我敬我賢善柔和,不以瓦石而打擲我。’”佛言:“假使以瓦石打擲汝,當奈之何?”邠耨白曰:“其國人善仁和溫雅,不以刀杖傷擊我身。”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칼과 몽둥이로 그대의 몸이 상하도록 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빈누가 아뢰었다.
“저는 마땅히 ‘그 나라 사람들이 착하고 부드럽고 온화하고 올발라서 날카로운 칼로써 나의 목숨을 해치지 않는구나’라고 생각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날카로운 칼로 그대의 목숨을 해친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빈누가 아뢰었다.
“저는 마땅히 마음속으로, ‘몸에는 6정(情)이 있어서 근심거리가 되었다. 싫어해야 할 몸은 번뇌가 많고 부정한 것들이 흘러나온다. 칼을 구한 것은 음식을 위한 것이었고, 뜻은 오직 맛에만 있었다. 이제 적정(寂靜)에 들어 칼을 음식으로 여길 것이다’라고 생각하겠습니다.”
佛言:“假使刀杖傷擊汝身,當奈之何?”邠耨白曰:“我當念言:‘其國人善柔和溫雅,不以利刀害我身命。’”佛言:“假使利刀害汝身命,當奈之何?”邠耨白曰:“我當心念言:‘身有六情爲之所患,厭身衆惱不淨流出,求刀爲食志唯在味,入於寂然以刀爲食。’”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다, 빈누여. 그대는 이 일을 감당할 수 있겠구나. 이것을 법[像]으로 삼아 조복하여 따르고, 적정에 들어 인욕(忍辱)하며 어질고 현명하니, 그대가 바라는 대로 그 나라에 머물도록 하여라.”
佛言:“善哉邠耨!汝能堪任以是比像,調順寂然忍辱仁賢,處於彼國隨意所欲。”
이에 빈누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 아래 머리를 조아리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혼자 방으로 돌아가 그날 밤에 평상(平床)과 침구(寢具)를 치우고 편히 잠들었다.
於是,邠耨卽從坐起,稽首佛足右遶三帀,自詣其室,卽夜蓋藏牀臥安眠。
이튿날 새벽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그 나라로 갔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나라에서 여름 한철 동안 교화(敎化)하고 권유하여 불도로 이끈 이[勸立]가 모두 청신사(淸信士)가 5백 명이고, 청신녀(淸信女)가 5백 명이었다. 절 5백 채를 짓고 방사(房舍)와 평상과 걸상 5백 개와 법구(法具)와 좌구(坐具)와 이불과 베개를 각각 5백 개씩 마련하였다. 교화한 5백 명은 모두 사문이 되어 그 해에 3달(達)을 증득하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멸도(滅度)하였다.
明晨著衣持鉢往詣彼國。尋在其國,於一夏中教化勸立,請淸信士凡五百人,淸信女五百人,興于寺舍五百,窟室牀榻五百,及法坐具被枕各各五百。化五百人皆爲沙門,在於其歲證三達尋滅度。
그가 멸도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무앙수천(無央數千)의 비구 대중이 부처님 계신 곳으로 와서 부처님 발 아래 머리를 조아리고 한쪽으로 물러나 함께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름이 빈누인 한 비구에게 부처님께서 중요한 법을 대강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이제 이미 멸도하여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그는 무엇을 얻었으며, 무엇을 증득했습니까?”
滅度未久,諸比丘衆無央數千,往詣佛所稽首足下,卻在一面,俱白佛言:“有一比丘名曰邠耨,佛爲粗擧說其要法,今已滅度已來未久,爲何所獲得何證乎?”
부처님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그 족성자(族姓子:善男子)는 이미 3달을 얻었고, 6통(通)을 증득하였으며, 자세히 관(觀)하고 법을 따름에는 그와 견줄 이가 없다. 다른 일에는 관여하지 않고 오직 법전(法典)만을 강설하였고,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여 다시 티끌이나 때가 없었으며, 모든 생각을 벗어나 지혜로써 해탈하였다. 현세(現世)에 법을 모두 통달하였고 모든 신통을 구족하였으며, 나고 죽는 것을 이미 끊었으며, 모든 범행(梵行)을 행하여 할 일을 이미 마쳤다. 명색(名色)의 근본을 밝게 알아 모든 지혜가 최상이고, 성지(聖智:眞諦)를 두루 갖추어 이미 나한(羅漢)을 성취하였다.”
佛言諸比丘:“彼族姓子已興三達證得六通,諦觀順法無與等者,不與餘事唯講法典,諸漏已盡無復塵垢,已度想念脫于智慧。現在於法極達諸通,證具足,於生死已斷,稱擧梵行所作已辦,鮮名色本諸慧無生,聖智具足已得羅漢。”
이때 세존께서 빈누문타니자(邠耨文陀尼子)를 한없이 칭찬하시며 감탄하셨다.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 비구들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於時,世尊莫不稱譽咨嗟無極邠耨文陁尼子。佛說如是。比丘莫不歡喜。
佛說滿願子經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