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군 전력 명칭 부여의 습관성(習慣性), 이중성(二重性), 허세(虛勢)
▲ 새로운 전략 탄도미사일을 전력화하는 중국군 상상도 | DALL·E 이미지 생성
필자가 중국 군사 문제를 관찰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중국군의 전력에 명칭 부여를 위한 ‘기준’을 식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는 일종의 퍼즐이었고 공군력의 경우 공군력 특성을 의미하는 영문 첫문자는 이해가 되나, 이후 숫자가 매우 불규칙적이어서 혼동이었으며, 해군력의 경우 Type, 성분전력, 함정급, 헐넘버, 함정 명칭 부여가 상호 불일치되었다.
우선, 중국군은 각종 전력에 부여한 명칭을 중국어 영어 발음의 첫 대문자를 사용하고, 해군 함정과 잠수함의 경우 중국인이 선호하는 용어, 중국 왕조 이름, 중국 공산당 혁명기 주요 역사적 도시 명칭을 부여하는 습관성(習慣性)을 보였다.
다음으로, 중국군은 일부 전력에 대해 중국 전통적 타부, 중국인의 미신적 선호 등을 적용하는 습관성을 보였으나, 부품공급 차질, 건조 과정에서의 문제점 노출과 해외 수출의 제한점을 은폐하기 위해 개발 및 건조 년도와 관계없이 숫자를 다르게 부여하는 이중성(二重性)을 보였다. 또한, 중국 지상군은 대부분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무기와 장비에 대한 명칭 부여 방식과 달리 해외 수출용 전력은 별도 명칭을 부여하는 이중성을 같이 보였다.
아울러, 중국 공군은 중국 항공개발사 이름과 고정익 전투기, 회전익 헬기, 수송기, 정찰기 등 임무의 중국어를 영어화한 첫 대문자와 숫자를 병행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일부 개량된 YY-20형 공중 급유기는 영어 첫 대문자를 중복 사용하며, 중국 독자형임을 강조하는 허세(虛勢)를 보였으나 성능은 여전히 미지수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 해군은 함정, 잠수함 명칭을 먼저 영어로 타임(Type)으로 크게 구분하고 이어 숫자로 수상함, 잠수함, 지원함 등으로 구별하며, 함정과 잠수함 급(class)와 함이름은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옥(玉), 복(福), 안(安), 여(旅), 강(江), 인(人) 등에 부흥(凱), 태양(陽) 등을 합한 용어, 중국 역대 왕조, 중국 주요 도시 이름, 중국 공산당 혁명시 슬로건 등을 사용하여 이를 통해 중국 공산당 창당과 건국의 역사적 의미를 선양하려는 허세를 보였다.
우선, 중국 해군 함정과 잠수함의 헐넘버(Hull Number)는 십단위에서 백단위 그리고 천단위로 번호를 부여한다. 하지만, 중국 해군 함정과 잠수함 개발 생산과 건조 과정에서 부품공급 상 문제가 발생하고, 건조 절차에서 각 조선소 간 차이에 따라 건조 공정에 차질이 발생하면, 헐넘버를 불규칙하고 부정형적으로 부여하는 모습를 보였다.
이를 중국군 각 군 사례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중국 지상군이다. 개인 또는 공용 화기인 QSZ-92형 권총은 九二式手槍의 Qing(輕), Shi(手), ZidongBuqing(自動步槍)의 영어화 첫 대문자 QSZ에 92 순번을, QBZ-95형 개인화기는 九五式輕自動步槍의 Qing(輕), Buqing(步槍) Zidong(自動)의 영어화 첫 대문자 QBZ에 95 순번을, QBU-88형 저격소총은 八八式狙擊步槍의 Qing(輕), Buqing(步槍) Uji(狙擊)의 영어화 첫 대문자 QBU에 88 순번을, QLU-11형 수류탄 발사기는 11式狙击榴弹发射器의 Qing Wuqi(輕武器), Liudan(榴弹发射器), Uji(狙擊)의 영어화 첫 대문자 QLU에 11순번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소병기 명칭 부여 방식은 곡사포와 전차에도 PCL-161型車载榴弹炮, PLZ-05式自行榴弹炮, T-99型主戰坦克, T-90型主戰坦克, T-15型重型步兵戰車, ZBD-05型两栖步兵戰車, ZBL-08型式步兵戰車, ZBL-09型步兵戰車 등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일부 지상군 무기와 미사일은 중국어의 상징성을 명칭으로 부여하였다. 예를 들면, 红箭-12號反坦克導彈, 前卫一號防空導弹、单兵肩射便携式防空導弹, 東風孟士 戰鬪車輛, 東風導彈 등이었다.
또한, 중국 지상군은 일부 전력을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에 수출을 하기 위해 별도 명칭을 부여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대부분 중국군 지상군 무기와 전력들이 러시아 모방형임을 은폐하려는 시도로 이해되었다. 예를 들면 T-99型主戰坦克를 ZTZ-99型主戰坦克로 T-90型主戰坦克를 ZTZ/T-90型主戰坦克로, T-15型重型步兵戰車를 ZTQ-15型重型步兵戰車 등였다.
둘째, 중국 공군이다. 중국 군용기 명칭은 개발회사-중국어 영어화 첫 대문자 그리고 항공기 특징과 숫자로 구성되었다. 중국 대표적 항공기 개발사는 시안(西安), 청두(成都), 선양(瀋陽), 산시(山西), 청허(昌河), 하얼빈(哈尔滨), 홍두(江都), 궤조우(貴州), 난창(南昌) 등으로 이들 회사 이름은 항공기의 명칭의 첫 용어로 사용되었다.
특히, 고정익 전투기는 ‘적을 섬멸한다’는 殲의 J를, 회전익 헬기는 ‘수직으로 오른다’는 直의 Z를, 폭격기는 ‘굉음을 일으킨다’는 轟의 H를, 수송기는 ‘운반한다’는 運의 Y를, 공중조기경보 및 통제는 空中의 K와 警報의 J를 합하여 KJ를, 훈련기는 교육과 훈련을 교합한 教练의 JL을 사용하였다.
무인기(無人機)는 제작회사의 회사 이름에 추가하여 彩虹, 云影, 翔龙 등의 상징물의 영어 첫 대문자를 부가하였다. 대표적으로 중국 공군 제4세대 청두 J-10/11형 전투기, 제5세대 스텔스 J-20형 스텔스 전투기, 항모 탑재용 선양 J-15형 함재기, 시안 H-6형 전략 폭격기, 시안 Y-20형, 청허 Z-10형 공격헬기. 하얼빈 Z-20형 헬기 등 사례였고, 무인기는 무인기 개발사의 DTI 명칭을 그대로 무인기 이름과 숫자를 병합한 DTI-11형 등으로 사용하였으며, 일부 무인기는 특성을 중국어로 표기한 용어를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대표적으로 彩虹의 영어 대문자 CH型로, 云影의 영어명 Cloud Shadow型로, 翔龍의 영어명 Soar Dragon型 또는 WZ型 등였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 공군 항공기의 해외 수출은 매우 저조하였다. 중국은 파키스탄 공군에게 청두 J-10형 전투기,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한 JH-17형 전투기, 그리고 중국 공군 홍두 JL-8형 훈련기를 수출한 실적이 전부였고, 무인기는 중동 국가와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에 CH-4형 무인기를 수출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셋째, 중국 해군이다. 함정 및 잠수함 명칭은 “Type-숫자-급(class)-헐넘버-함정명” 순서로 구성되었다. Type 이후 숫자 000단위는 항공모함, 020 단위는 미사일함, 030형과 090 단위는 잠수함, 040형 단위는 수송함, 050형 단위는 수상함, 구축함, 프리깃, 연안전투함으로 나누며, 060형 단위는 보조함, 070형 단위는 상륙함, 080형 단위는 기뢰함이다.
대표적으로 8만톤 규모의 푸젠(福建) 항모는 Type 003형으로, 4만톤 규모의 대형 강습 상륙함은 Type 075형으로, 1만톤 규모 구축함은 Type 055형으로, 아직 공개되지 않은 차세대 전략핵잠수함(SSBN)은 Type 096형으로 부여한 사례였다.
잠수함의 경우 일단위는 건조 순서를 의미한다. Type 030단위는 재래식 잠수함(SSK), Type 090 단위는 핵잠수함이며, 090 단위 중에 홀수는 핵추진 잠수함(SSN)을 짝수는 전략핵잠수함(SSBN)에 숫자를 부여하였으며, 마지막 숫자는 가장 늦게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Type 039형은 가장 늦게 건조한 SSK이고, 093형은 가장 늦게 건조한 SSN이며, 094형은 가장 늦게 건조한 SSBN이다.
또한, 해상 군수지원함과 병원함, 훈련함, 해양조사함, 정보수집함 등은 Type 다음 숫자를 900, 800, 600, 500 단위로 부여하였다. Type 903형 푸지(補給)급 해상 군수지원함, Type 920형 안훼이(安徽)급 병원함, Type 636형 수팡
(水風)급 해양조사함, Type 815형 동따오(東島)급 정보수집함이다.
수상함과 잠수함의 급(級: class)와 함정 헐넘버는 매우 독특하다. 잠수함 급(class)은 중국 역대 왕조 명칭 샤(夏), 상(商), 진(晉), 윈(元), 밍(明), 한(漢), 칭(靑)을 급 명칭으로 부여하였다. 수상함은 중국인이 선호하는 한자, 중국 공산당 역사에 기록될 지명, 슬로건을 급(class)로 재분류한다. 대표적으로 Type 052형 구축함은 뤼양(旅陽)급으로 Type 055형 1만톤 규모 구축함은 런하이(人海)급으로, Tpe 064형 프리깃함은 장카이(江凱)급으로 Type 056형 연안 전투함은 장따오(江島)급으로 각각 부여하였다.
상륙함이 급은 위자오(玉昭), 위팅(玉亭), 위선(玉申) 등 주로 옥(玉)을 첫 머리자로 시작한 명칭을, 해상 군수지원함은 푸치(福池), 푸위(福裕) 등 복(福)을 첫 머리자로 시작한 명칭을, 병원함은 안웨이(安圍), 안선(安申) 등 안(安)을 첫 머리자로 시작한 명칭을 급(class)로 부여하였다.
함정과 잠수함 이름은 대부분 중국 지역 명칭, 호수 및 명산 이름을 채택하였다. 항모는 Type 001형 랴오닝(邀寧), Type 002형 산둥(山東), Type 003형 푸젠(福建)으로, Type 055형 구축함, Type 052D형 구축함, Type 054형 프리깃함은 주로 중국 공산당 혁명에 거친 난창(南昌), 엔안(延安), 준이(邊義) 등 도시 명칭을 선별하여 부여하였고, 잠수함은 중국 공산당 혁명기 창정(長征)을 통일된 이름으로 하고 숫자를 부여하였으며, 상륙함은 중국 명산 이름을 부여하면서 해상 군수지원함은 중국 호수 이름을 부여하였다.
아울러, 헐넘버 부여는 항모는 10단위로 랴오닝 항모 16, 산둥 항모 17, 푸젠 항모 18까지 부여하였고, 구축함은 100단위로서 Type 055형 구축함은 101∼108까지, Type 052D형 구축함은 110∼170까지, Type 054형 프리깃함은 520∼570까지, Type 056형 연안 전투함은 580∼630까지, Type 075형 대형 강습 상륙함은 31∼33까지, Type 071형 대형 상륙함은 980∼990까지, Type 072형 구형 상륙함은 910-990까지 불규칙하게 부여하였다. 잠수함은 400 단위로 헐넘버를 주로 핵잠수함에 커닝 타워에 부착하였으나, 윈(元)급 잠수함 이후 재래식 잠수함부터는 창정(長征)을 숫자 앞에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해군은 미국과 영국 등이 3척 단위로 기존 전력을 개량하는 배치(batch) 또는 미 해군의 프레이트(Flight) 또는 블록(Block) 개념이 아닌, Type+숫자에 영어 알파벳드을 부여하여 이전 전력보다 업그레이드 또는 개량(refit)되었음을 의미하였다. 예를 들면, Type 052형 구축함을 Type 052B, Type 052C, Type 052D형으로 각각 업그레이드 시킨 함정 명칭으로 부여하였으며, 이는 미국과 서방 주요 국가의 경우 Batch-1/2/3 또는 Flight Ⅰ/Ⅱ/Ⅲ/Ⅳ/Ⅴ 방식과 달랐다.
이러한 특이한 방식에 추가하여 중국 해군 전투서열 명부에 나타난 각종 함정과 잠수함 전투서열, Type 명칭, 헐넘버, 건조년도 간 다음과 같이 불규칙적 모습들을 보였다.
첫째, 일부 전력은 건조 순서와 헐넘버 부여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Type 055형과 052형 구축함, 054형 프리깃, 056형 연안 전투함에서 많이 나타났고, Type 094형 진급 SSBN에서도 나타났다. Type 054형 프리깃함에는 대부분 500 단위 인데, Type 054형 장카이급 난통(南通)함은 건조 중간인 2019년에 건조되면서 600 헐넘버를 부여 받았다.
둘째, 업그레이드를 영어 알파벳으로 부여하였으나, 이 또한 순서가 맞지 않았다. 예를 들면 Type 052형은 뤼후(旅洉)급이나, 052B/C/D형은 뤼양(旅陽)-Ⅰ/Ⅱ/Ⅲ급으로 다른 명칭을 부여하였다.
셋째, 수상함 건조 척수가 많을 경우 동해/남해/북해 함대 사령부에 배속시키기 위해 헐넘버를 각기 다르게 부여하였다. Type 052D형 뤼양급 구축함의 경우 헐넘버를 각 함대 사령부 기함으로 배속시키기 위해 110 단위에서 170 단위까지 부여하면서 140 단위는 삭제한 현상을 보였다. 아마도 Type 056형 연안 전투함 140 헐넘버 함정을 해양경찰로 이관한 것으로 예측된다.
넷째, Type 부여가 불규칙하게 부여되었다. 가장 대표적으로 중국 해군의 해상 군수지원함 Type에 903을 먼저 부여하고 가장 최신형 해상 군수지원함 Type에 901을 부여한 사례로서 이는 이해가 되지 않는 괴이한 현상였다. 특히, 정보수집함의 경우 갑자기 Type 815형으로부터 시작하였다.
다섯째, 혼선도 있었다. 예를 들면 중국 해군 최초 항모 랴오닝함을 취역할 당시는 중국 해군은 이를 훈련함으로 간주하여 80 단위인 81 헐넘버를 부여하였다가자, 갑자기 Type 001형 랴오닝 항모 16번으로 결정한 것이었다. 아마도 훈련함으로 구분하기 보다 중국 해군의 첫 항모 의미인 Type 001형으로 부여하여 훈련항모 겸 실전용 항모로 활용하자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해외 수출용은 기존 함정 및 잠수함 Type과 달리 다른 Type을 부여하였다. 그 이유는 탑재된 무장과 무기체계 부품공급과 건조 공정에 문제가 있어서였을 것이다. 예를 들면 2015년 중국 現代艦船 잡지사가 발간한 『中國出入的軍艦』 책자는 방글라데쉬 해군이 Type 056형 연안 전투함을 도입하기로 결정한다고 했으나, 실제 수출한 Type은 전혀 다른 Type 명칭이었다.
이러한 중국의 수상함과 잠수함 수출용 Type, 명칭의 이중성은 성능의 신뢰성에 손상을 주었다. 예를 들면 태국 해군이 중국으로부터 선체만 도입하고 탑재 무기와 센서는 자국에서 미국과 유럽산으로 탑재한 사례와 최근 중국 해군 Type 035형 무급공기추진체계(AIP)의 윈급 잠수함의 수출용 S-20형 수출용 AIP 잠수함 도입을 추진하였으나, 중국이 디젤 엔진을 독일 MTU 396형 디젤 엔진이 아닌 중국 독자형 디젤 엔진을 탑재하자, 잠수함 인수를 거부한 사례였다.
궁극적으로 필자 나름대로 중국 해군 명칭 부여 방식에 대한 기준과 원칙을 찾고자 노력하였으나 일정한 기준과 원칙이 제대로 준수되지 않은 불규칙한 현상을 보였는 바, 이는 습관성(習慣性), 이중성(二重性), 허세(虛勢)에 따른 문제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