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어디로 가는지 일 수 없다'
서방국가.기업 수백곳 접속 차단
미, 수출금지 AI반도체 사용 조사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충격과 우려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각국 기업과 장부기관들이 딥시크의 AI 챗봇에 의한 기밀과 정보 유출을 우려해
속속 접속 전면 차단에 나서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30일 미국 기업,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상무부는 딥시크가 수출금지 품목인 첨단 AI 반도체를 사용했는지 조사에 돌입했다.
로이터통신은 첨단 AI 반도체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지를 통해 중국에 조직적으로 밀수된 정황이 있다고 전했다.
미국 사이버보안업체 아르미스의 나디르 이즈라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블룸버그와의 접촉에서
'수백개 기업, 특히 정부와 연결된 기업들이 중국 정부로의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을 우려해
전 직원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즈라엘 CTO는 '고객기업 70% 정도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을 요구했다'면서
'가장 큰 우려는 중국 정부에 데이터가 유출될 가능성이며 자신들의 정보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다'고 했다.
내트워크 보안업체 넷스코프사도 자사 고객기업과 기관 중 52%가 딥시크 접속을 완전히 차단했다고 말했다.
미국 의회도 의회 자산인 각종 내트워크와 컴퓨터 등에서 딥시크 기능을 제한했으며,
직원들에게도 고용 휴대전화 등에 딥시크를 설치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블룸버그는 미 국방부가 지난 28일 직원들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는데 일부 직원들은 그이전부터 딥시크를 이용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앞서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 29일부터 애플과 구글 앱스토어에서 딥시크를 내려받을 수 없도록 차단했으며,
개인정보 보호기관인 가란테를 동원해 딥시크 사용을 전면 금지한 상태다.
영국과 프랑스, 독일 정부도 딥시크가 국가 안보에 끼치는 악영향 등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피터 카일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은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의 규모와 영향을 먄밀히 검토해
올바른 시스템을 거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프랑스 국가정보자유위원회(CNIL)와 독일 당국도 딥시크 앱에 대한 규제 조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딥시크의 개인보호 약관은 수집된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고 명시하고,
연관된 분쟁은 중국 정부 법률의 작용을 받는다고 덧붙이고 있다.
또 이용자들이 입력한 각종 기록과 콘텐츠를 회사 재량에 따라 법 집행기관 및 공공기관과 공유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코스피는 31일 딥시크 충격을 뒤늦게 반영해 2510대로 밀려났다.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19.43퐁니트(0.77%) 내린 2517.37로 장을 마감했다.
SK하이닉스는 9.86% 급락했다.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등 다른 반도체주와 전력설비주도 동반 하락했다.
반면 네이버, 카카오 등 딥시크 수혜주로 부각된 소프트웨어 종목은 강세를 보였다.
'딥시크 충격에도 ...매타.MS '경쟁력 위해 막대한 지출 필수적'
올 메타 650억.MS 800억 달러 투자
저커버그 '투자, 시간 지날수록 이득'
나델라 'AI수요, 기하급수적 늘 것'
딥시크, 국내경기서 챗GPT 능가 주장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모델이 미국 첨단 정보통신(IT) 업계에 큰 충격을 안겼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 와 메타 등 미국 빅테크의 최고경영자(CEO)들은 AI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막대한 지출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내놨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30일 실적 발표 후 가진 회견에서 'AI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는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략적 이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도 'AI에 대한 막대한 지출은 AI 활용에 방해가 됐던 용량 제약을 완화할 것'이라며
'AI의 효율성과 접근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더 많은 수요가 발생할 것' 이라고 밝혔다.
MS는 이번 회계연도에 AI 분야에 80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메타도 65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임을 밝혔다.
중국 딥시크가 AI 모델 개발에 약 600만달러를 투자했다고 밝힌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지만,
이는 개발비용 총액이 아니라 컴퓨팅 파워에 지출된 금액으로 여겨진다.
이런 가운데 딥시크는 중국과학원이 소셜미디어 공식계정을 통해 개최한
물리 경시대회에서 AI 선두주자로 여겨지는 챗GPT를 능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과학원 물리연구소는 '최근 장쑤성에서 열린 텐무배 이론물리 경시대회에서 출제된 문제를 AI가 풀도록 했더니
딥시크 최신 모델인 R1의 점수가 챗GPT 최신 모델의 점수를 제쳤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7개 문제 채점 결과 140점 만점에 딥시크가 100점으로 1등, 다음으로 챗GPT이 97점,
클로드 소넷이 71점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딥시크는 국내에서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서 공통과목 34문항 가운데 5문제를 틀렸지만,
현대문학 관련 지문과 맞춤법.어휘 관련 문제에선 빠르게 정답을 내놨다.
수학에선 2점짜리 계산 문제를 쉽게 맞췄으나 복잡한 추론이 필요한 고난도 문항은 풀지 못했다.
딥시크창업자인 40세 량원펑에대해서도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광둥성 잔장시 우촨 출신인 그는 공학 분야에서 손꼽히는 명문대인 저장대에서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대학 동창 2명과 함께 '하이 플라이어'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하고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선구적으로 적용해
자금을 끌어모은 뒤 2023년 딥시크를 창업했다.
CNN 방송은 그를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샘 올트먼에 빗대
'AI 기술 전도사로 중국의 샘 올트먼이 됐다'고 표현했다. 신창호 선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