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1 |
|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개요 |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 |
개요 | A군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al, GAS)에 의한 침습적 감염으로 인하여 드물게 발생하는 독성 쇼크 증후군(toxic shock syndrome, TSS) |
병원체 | Streptococcus pyogenes (S.pyogenes, Gram-positive) |
질병분류 | B95.0 & A48.3(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A군 연쇄구균 & 독성쇼크증후군) |
현황 | 국외 | - Streptococcal pyogenes에 의한 독성쇼크증후군은 1987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연간 1.5-5.2명/100,000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짐1)
- Streptococcal pyogenes에 의한 침습적 감염은 1940년 항생제의 사용과 함께 감소하기 시작하여 거의 보고되지 않았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북미를 중심으로 집단발생이 다시 보고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증가2)
- (유럽) ‘22년 하반기 유럽 내 침습성 A군 연쇄상구균(iGAS) 및 성홍열 사례 및 사망이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WHO에서는 유럽 내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의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22년 하반기 영국의 실험실 감시에서 항생제 내성이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고 새로운 변이가 발견되지 않아 일반인의 감염 위험성은 낮게 평가함3)
(일본) 보건당국은 2023년 941명으로 역대 최대 발생, 2024년 9주차까지 일본 전체 47개 현 중 45개 현에서 414건 발생 보고4)되어 증가 예상, 원인규명을 위하여 조사 중 |
국내 | - 1980년대부터 침윤성 연쇄구균 감염증 증가, 2000년 STSS 최초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생 중5) |
임상증상 | (초반)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호흡기 증상(고열, 오한, 근육통, 메스꺼움, 구토) 등 발생 (중후반) 저혈압, 빈맥, 호흡곤란, 피부괴사, 패혈증, 다발성 장기부전 |
감염경로 | 점막 또는 상처 부위 통해 주로 감염, 비말 감염도 가능 2차전파 사례는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음6) |
잠복기 | 감염경로 및 부위에 따라 잠복기 다양 |
치명률 | 30~70% (소아의 경우, 치명률이 성인보다 낮음)6) |
진단 | 감염된 부위(혈액, 상처, 인후 등)에서 채취한 검체 배양검사(3~4일 소요) |
치료 | - 조기 진단 및 치료 중요 - 입원 치료(수액, 항생제 투여), 감염 조직의 수술(제거) - 면역 글로불린 및 스테로이드 등 투여, 대증 치료 |
고위험군 | - 65세 이상 고령층 - 최근 수술받은 경우(상처가 있는 경우 등) - 노출되는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수두 등) - 알코올 의존증 및 당뇨병 환자 |
예방 | - 기침예절 실천 -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의심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료 받기 * 고열, 발진, 심각한 근육통, 상처부위의 발적, 부종 등 -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하고 상처부위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 - 수두 및 인플루엔자 백신접종 권고7) *인플루엔자 및 수두 감염시 A군 연쇄상구균의 감염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음 |
<출처>
1. Cone LA, Woodard DR, Schlievert PM, Tomory GS. Clinical and bacteriologic observations of a toxic shock-like syndrome due to Streptococcus pyogenes . N Engl J Med 1987;317:146-9.
2. Stevens DL, Tanner MH, Winship J, et al. Severe group A streptococcal infections associated with a toxic shock-like syndrome and scarlet fever toxin A. N Engl J Med 1989; 321:1-7.
3. WHO, Incresaed incidence of scarlet fever and invasive Group A Streptococcus infection- multi country, ‘22.12.15.
4. 일본 보건부 및 국립감염병연구소, 주간감염병보고서(Infectious Disease Weekly Report, IDWR)
5. 이신원, 오명돈 외 8명, Group G streptococcus에 의한 독소충격증후군 1례, Infection Chemotherapy, 2010;42(3):187-189)
6. 미국CDC, Group A streptococcus Disease, www.cdc.gov/groupastrep/diseases-hcp/Streptococcal-Toxic-Shock-Syndrome.html
7. 미국CDC, Group A streptococcus Disease, https://www.cdc.gov/groupastrep/igas-infections-investigation.html
8. 근육괴사를 동반한 A군 β용혈성 연쇄구균에 의한 독성 쇼크증후군 환자 1례(대한응급의학회지 제15권 제5호, 2004.8.)
9. 그룹 A 연쇄구균 폐렴에 동반된 독성쇼크증후군 1예(대한내과학회지: 제88권 제5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