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엘비(028300)가 강세다.
21일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의 글로벌 임상 3상이 통과할 경우 국내 최초 매출 1조원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이 될 것이란 분석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날 21일 오병용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이치엘비는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의 중국과 한국 이외 전세계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며 “아파티닙의 임상 3상은 현재 글로벌 12개국(미국,유럽 포함) 95개 병원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진행률은 이미 50%를 넘어섰다”고 진단했다. 한국 판권은 부광약품이 보유 중이다.
그는 “아파티닙의 중국 판권을 핸루이(Hengrui)사의 매출 추이를 분석할 때 향후 에이치엘비의 실적 성장세를 가늠할 수 있다”며 “핸루이사는 아파티닙에 대해 지난 2014년 위암 3차 치료제로 중국 임상 후 판매를 기반으로 시가총액 15조원의 대형 제약사로 성장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아파티닙의 중국 내 매출은 약 3500억원에 달했고, 2021년에는 6000억원 이상이 예상되고 있다. 오 연구원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0%정도임 고려할 때, 에이치엘비가 글로벌 판매를 시작한다면 보수적으로 생각해도 단기적으로 중국의 2~3배정도의 매출이 예상된다”며 “단순하게 시판 초기 연간 3500억원의 매출과 70% 영업이익률을 가정해보면 2450억원의 영업이익이 산출돼 국내 신약개발 상위제약사인 한미약품 영업이익의 두 배가 된다”고 추정했다.

에이치엘비-신라젠 급등으로 신약관련 기업들 주가 급등.
이번에 신라젠과 함께 신약개발 참여한다는 소식으로 급등발생중.
내년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에 대한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급등했다.
아파티닙 치료 기전은 연 매출 7조원이 넘는 로슈의 아바스틴과 같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바스틴은 주사약이고 아파티닙은 경구용 알약이다.
에이치엘비는 신라젠과면역항암제 신약 개발 경쟁사이다.
양사 모두 3상 임상 중인데 신라젠의 경우 시가총액이 3조 원에 달하는 반면 에이치엘비는 5000억 원이 체 되지 않는다.
아파티닙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준비 중인 미국 신약 개발 회사 LSB바이오파트너스의 최대 주주다. LSB바이오파트너스 측은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과 임상 3상을 위한 사전 미팅을 마쳤다. 아파티닙은 전이성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아파티닙은 2014년 12월 중국에서 판매를 개시한 후, 시판 2년차인 올해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자회사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이 인공간을 개발 중인 라이프리버와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호재다.
문제는 시장인데... 시장부담과 요즘 급락하는 바이오섹터라는게 약점입니다.
추격매수는 부담.
에이치엘비 (028300)
에이치엘비(028300)는 구명정 제조 및 GRE,GRP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입니다.종속회사로는 바이오연구를 주사업으로 하는 라이프리버가 있습니다. 40년동안 구명정 생산하여 왔으며 소형엔진과 다수의 구명정 모델을 개발하여 년간 700대의 구명정을 생산하는 능력을 갖추었습니다.
14년기준 국내 점유율은 50% 15년 약 5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주목할만한 사업은 바이오 사업입니다.
에이치엘비 (028300) 기업분석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당월로 216-53
구명정, 바이오사업
최대주주 : 진양곤 11.31%
대표이사 : 박정민
경력 : 예당컴퍼니 경영지원본부장
하이쎌㈜ 경영관리본부장
*요약재무제표
시총 6350억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11.2%(273.6억) 대폭증가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적자 전환하여 41.4억원 적자를 보임
부채비율 부담 없음.
부담물량
BW 15.12.01 : 20만주 상장
CB 16.1.29 : 130만주 상장
@요약 - 아파티닙 표적항암제 기대.
결론 : 에이치엘비의 자회사는 LSK바이오파마 입니다. 지분59.19%보유하고 있습니다. LSKB는 표적항암제 아파티닙을 개발중에 있습니다. 아파티닙의 예상 가치는 1조9500억원에 달한다는 소식에 에이치엘비의 주가는 2월달에 급등을 하였습니다.
중국 내 매출을 근거로 미래의 추정이익을 활용하여 계산한 것이고 따라서 에이치엘비의 지분 가치는 1조1500억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에이치엘비의 구명정의 기대보다 아파티닙의 기대가 더 큰 것으로 잘 관심있게 지켜보시길 바랍니다.
그외의 사업으로는 바이오인공간이 있습니다. 간의 기능을 대체하는 인공간도 미래에 주목을 하고 있어야 하는 사업으로 보입니다.
@아파티닙이란??
과거 생물학적제제가 없었을 때에는 일반적인 항암화학요법으로 위암을 치료했었는데, 지금은 위암을 타겟으로 여러 생물학적제제들이 개발 중이고 일부 사용되고 있습니다. 1차 치료를 할 때 병용요법으로서 허셉틴(트라스트주맙, 로슈)이 사용되고 있고, 2차 치료제로는 사이람자(라무시루맙, 릴리)가 메인 치료제가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생물학적 제제들이 위암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가, 3상에서 많은 약물들이 실패했습니다. 그와중에 유일하게 3차치료제로 제대로 먹혀 들어간 것이 아파티닙입니다.
실제로 '아파티닙'은 VEGFR-2 저해제로서 2차치료제 사이람자와 같은 기전을 갖고 있습니다. 암세포가 겁나게 자기몸집을 키우기 위해서는 혈관을 통해 각종 자양분을 공급받아야 합니다. 자양분을 공급해주는 빠이프(혈관)을 만들도록 다른 세포에 명하는 인자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이고 이게 작용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막아버리는 약이 VEGFR-2 antagonist - 아파티닙이 됩니다.
*아파티닙 관련 재료
1)미국에서 베링거인겔하임의 아파티닙(afatinib)이 확대 승인을 받았다
임상시험에서 아파티닙이 타쎄바에 비해 폐암 진행의 위험을 18%, 사망할 위험을 19% 감소시키고 질병 조절률도 40%에서 51%로 더욱 개선시킨데 따른 결정이다.
@국가암정보센터에서 나온 통계자료(*이게 가장 최근의 통계치입니다.)

@사업내용
-인공간 사업 (그외. 모낭세포치료제, 간세포치료제 )
바이오 인공간은 간이식 대기중인 급성 간부전 환자 등을 표함한 간질환 환자를 위한 간 보조장치로서 환자의 간이 재생되거나 간이식을 받을 때까지 체외에서 간의 기능을 대체하는 바이오 인공간 입니다.



@아파티닙

@투자참고사항
아파티닙이라는 물질에 대해 지분관계는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아파티닙의 판권은 세 회사가 나눠가지고 있습니다.

주식특전사 클럽
기관의 시스템을 붕괴시키는 급등주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클릭한번에 주식인생이 바뀔수도 있습니다.
주식은 성공한 사람을 따라해야 성공합니다.
7000% 수익율 비법을 공개합니다.
피땀흘려 모은 돈 허무하게 날리시겠습니까? 후회하기전에 특전사가 되십시요.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ㅅㄱᆞ합니디ㅡ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