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요일 금값은 미중관세 분쟁 속에 안전자산투자선호로 온스당 2,844.5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행정부의 예측불가능성과 불투명한 인플레이션완화조짐으로 안전자산 선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3.75그램의 금이 올해 초보다 7% 상승한 564,00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우상향하는 금값의 상승추세는 언제까지 계속될까요?
Gold shines over other assets amid Trump uncertainties
트럼프 불확실성 속에서 다른 자산보다 빛나는 금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Posted : 2025-02-05 16:26 Updated : 2025-02-05 17:20
Korea Times
Gold prices rose to an all-time high of $2,844.56 (4.11 million won) per ounce, Tuesday (local time), buoyed by investor preference for safe-haven assets amid an escalating U.S.-China tariff dispute, market watchers said Wednesday.
화요일(현지 시간) 금값은 미중 관세 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에 힘입어 온스당 2,844.56달러(411만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시장 전문가들이 수요일 밝혔다.
In contrast, the increasingly risk-averse sentiment has lessened the investor appetite for equities and bitcoins, they said.
반면, 점점 더 위험을 회피하는 심리가 커지면서 주식과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낮아졌다고 그들은 말했다.
The global shift toward the precious metal is prompting many Koreans to increase holdings in commercial lender-mediated gold investments and gold bars.
귀금속으로의 글로벌 전환으로 인해 많은 한국인들이 상업 대출기관의 금 투자와 금괴 보유를 늘리고 있다.
Experts say the popularity of the hedge against geopolitical uncertainty and inflation will continue for the time being, due to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s penchant for unpredictability and U.S. inflation showing no immediate signs of tempering to below 2 percent.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성향과 미국 인플레이션이 2% 이하로 완화될 조짐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의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한다.
According to market data, spot gold traded at $2,844.56, after hitting a record high of $2,845.14 earlier in the session.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현물 금은 세션 초반에 사상 최고치인 2,845.14달러를 기록한 후 2,844.56달러에 거래되었다.
U.S. gold futures traded at $2,875.80, up by 0.7 percent.
미국 금 선물은 0.7% 상승한 2,875.80달러에 거래되었다.
The all-time high came on the heels of China’s tariffs on U.S. imports, an immediate response to the new U.S. duties, reminiscent of the trade feud between the world's top two economies under the first Trump administraton.
사상 최고치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중국의 관세 부과에 이어 나온 것으로, 새로운 미국 관세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으로,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세계 상위 두 경제국 간의 무역분쟁을 떠올리게 한다.
China said it would implement a 15 percent tariff on coal and liquefied natural gas, coupled with a 10 percent tariff on crude oil, agricultural machinery and large-engine cars imported from the U.S. effective Feb. 10.
중국은 2월 10일부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에 15%의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에서 수입되는 원유, 농기계, 대형 엔진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This followed Trump’s announcement of a 25 percent levy on Canadian and Mexican imports as well as a 10 percent tax on Chinese goods.
이는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의 세금을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 10%의 세금을 부과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The measure against China came into force. However, Mexico and Canada avoided it after Trump agreed to a 30-day pause conditioned upon steps to appease the U.S. concerns over border security and drug trafficking.
중국에 대한 조치가 발효되었다. 그러나 멕시코와 캐나다는 트럼프가 국경 보안과 마약 밀매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조건으로 30일간의 중단에 동의한 후 이를 피했다.
To ride on higher demand for the precious metal, Korea’s leading commercial lenders are rushing to strengthen their lineups of gold-related products.
귀금속에 대한 수요 증가에 발맞추기 위해 한국의 주요 상업 대출 기관들은 금 관련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
The combined balance of gold banking at KB Kookmin, Shinhan and Woori came to 835.3 billion won as of end-January, up 268.5 billion won, or 47.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1월 말 기준 KB국민, 신한, 우리은행의 골드뱅킹 합산 잔액은 8,353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85억 원(47.4%) 증가했다.
The number of gold banking accounts came to 275,424, up 9.2 percent from 252,332 accounts.
골드뱅킹 계좌 수는 252,332개에서 9.2% 증가한 275,424개로 집계되었다.
Gold banking is whereby account holders can buy as little as 0.01 grams without storage concerns.
골드 뱅킹은 계좌 소유자가 보관문제 없이 최소 0.01그램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lso on the rise are gold bar sales.
골드바 판매도 증가하고 있다.
KB Kookmin, Shinhan and Hana sold a combined 137.7 billion worth of gold bars, up 167 percent from 51.5 billion won a year earlier.
KB국민, 신한, 하나는 총 1,377억 원 상당의 금괴를 판매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515억 원에서 167% 증가한 수치이다.
This amounted to 1,243 kilograms, up 92.9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s 644 kilograms.
이는 전년도 644킬로그램에서 92.9퍼센트 증가한 1,243킬로그램에 해당한다.
The uptrend of gold will continue throughout the first half, according to Hong Dong-hee, a senior investment strategist at Standard Chartered Bank Korea.
홍동희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수석 투자전략가에 따르면, 금의 상승세는 상반기 내내 계속될 것이다.
“Expectations of a U.S. Federal Reserve easing and demand for safe-haven assets under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will keep the gold price elevated,” he said.
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완화 기대와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금값을 계속 상승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Investors will find gold attractive when the Fed cuts its rates, in his view, since yields on bonds and savings accounts drop, offsetting the opportunity costs for holding the non-yielding precious metal.
채권과 저축계좌의 수익률이 하락하여 수익률이 하락하지 않는 귀금속 보유의 기회 비용을 상쇄하기 때문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투자자들은 금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They can increase holdings in dollar-priced gold, aided by the Fed's monetary easing and the resulting depreciation of the U.S. dollar.
연준의 통화 완화와 그에 따른 미국 달러 가치 하락에 힘입어 달러 가격의 금 보유량을 늘릴 수 있다.
“A weaker dollar can enable investors to buy more gold for cheaper, pushing up the price. This together with steady demand for greater hedging against Trump's tariff and trade uncertainties are factors for a sustained bullish run of gold,” Hong said.
"달러 약세는 투자자들이 더 많은 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하여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는 트럼프의 관세 및 무역 불확실성에 대한 헤지에 대한 꾸준한 수요와 함께 금의 지속적인 강세를 위한 요인이다."라고 홍 전략가는 말했다.
According to the Korea Gold Exchange, 3.75 grams of gold traded at 564,000 won, up 7 percent from early this year.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3.75그램의 금이 올해 초보다 7% 상승한 564,000원에 거래되었다.
This was an over 12 percent increase from the end-November figure of 503,000 won.
이는 11월 말의 503,000원보다 12%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Meanwhile, the benchmark KOSPI plunged to an intraday low of 2,437.61 points, Monday, all but reversing gains of the past month. The index closed at 2,509.27 points, Wednesday, up 1.11 percent from the previous session.
한편, 벤치마크 코스피는 월요일 장중 최저치인 2,437.61포인트까지 급락하며 지난달 상승 반전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수요일 지수는 전 세션 대비 1.11% 상승한 2,509.27포인트로 마감했다.
Bitcoin surged to an all-time high of over $106,490, mid-December but has since plummeted to $92,380 end-December. It continues to fluctuate between a range of $93,000 and $105,400.
비트코인은 12월 중순 106,49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12월 말 92,380달러까지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93,000달러에서 105,400달러 사이에서 계속 변동하고 있다.
#Goldprices금값 #Tradetensions무역긴장 #Safe-havenassets안전자산 #Trumpadministration트럼프행정부 #Inflation인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