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아시안게임 역대 최다 금메달
여 500m 개인전서 금. 은. 동메달 싹쓸
최민정 3관왕, 김길리. 박지원. 장성우 2관왕
두꺼운 선수층에 신구조화까지 이뤄
내년 동계올림픽 '금빛 질주' 기대감
대한민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2025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역대 최고 성적으로 '세게 최강'의 위용을 뽐냈다.
대표팀은 9일까지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2025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로 쇼트트랙 종목 일정을 마쳤다.
1999년 강원 대회, 2003년 아오모리 대회와 같은 금매달 6개를 수확하며이번 대회 목표를 달성했다.
여기에 동메달까지 추가하며 크게 웃었다.
최대 경쟁자이자 주최국 중국, 금메달 2개에 만족
최대 경쟁자로 여겨졌던 개최국 중국(금메달 2개)을 압도하며 거둔 성과여서 더욱 돋보인다.
고르지못한 빙질, 좁은 트랙 등 우려했던 변수를 실력으로 이겨내고 값진 성과를 냈다는 평가다.
출발부터 좋았다.
데표팀은 8일 첫 메달이 걸린 혼성 계주 20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대회 직전부터 박지원(29.서울시청)은 '시작을 알리는 혼성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면 남녀 선수단
모두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대표팀은 현지에서도 첫 금메달이 걸린 혼성 계주 준비에 심혈을 기울였고, 그 결과 첫 금빛 질주에 성공했다.
첫 단추가 잘 끼워지자, 대표팀은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여자 1500m에서 '새로운 에이스' 김길리(21.성남시청)가개인전 첫 금메달을 딴ㅆ다.
이에질세라 남자부 에이스 박지원도 1500m에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표효했다.
여자 500m는 이번 대회 최대 하이라이트였다.
쇼트트랙 강국임에도 좀처럼 500m에서 힘을 쓰지 못하던 한국의은 최민정(27.성남시청), 김길리, 이소연(32.스포츠토토)이
동메달을 휩쓸었다.
최민정은 한국 여자 선수 중 최초로 동계 아시안게임 500m 금메달 획득이라는 새 역사도 썼다. 안중근 의사의 얼이 서린
하얼빈 하늘에 태극기 3개를 동시에 휘날렸기에 더 의미가 컸다.
안중근 의사 얼 서린 하얼빈 하늘에 태극기 휘날려
쇼트트랙 종목 일장 마지막 날이었던 이날도 금빛 소식은 계속 들려왔다.
여자 1000m에 나선 최민정이 1분29초637의 대회 신기록으로 또 하나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민정은 혼성 계주, 500m에 이어 1000m까지 정상에 서며 '3관왕'에 성공했다.
남자 1000m의 장성우(23.화성시청)도 11000m에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며 개인전 첫 금메달을 따냈다.
비록 남녀 계주에서는 막판 삐끗해 나란히 매달 획득에 실패했으나 '금매달 6개 획득 목표'는 이미 달성한 상태였다.
최민정을 비롯해 김길리(혼성계주 1500m), 장성우(혼성계주.1000m) 등 다수의 다관왕울 배출하며
두터운 선수층을 확인한 점도 긍정적이다.
김길리, 박지원, 장성우는 각각 4개의 메달을 수확해 모든 종목에서 경쟁력이있다는 걸 보여줬다.
신구 조화도 눈에 뛴다.
'돌아온 여제' 최민정은 휴식과 재정비를위해 2023~2024시즌 태극마크를반납했다가 1년 만에 복귀했다.
복귀 후 첫 국제 종합대회에서 3관왕으로 여전한 기량을 뽐냈다.
여기에 지난 시즌 국제빙상연맹(ISU) 세계 랭킹 1위 김길리는 2관왕에 올라 든든한 모습을 보여줬다.
남자부 선봉 박지원에 장성우, 김태성(24.화성시청) 등도 경험치를 더했다.
일정을 마친 대표팀의 시선은 2026 말라노.코르타니담패초 동계 올림픽으로 향한다.
두꺼운 선수층과 신구 조화까지 이뤄내면서 올림픽에서도 금빛 질주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허윤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