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개월간 2% 미만을 유지하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월에 2.2%를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경기침체속에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하고있습니다.
게다가 원-달러 환율도 1,400원대 중반을 기록하고 있어서 우려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민간소비촉진과 관세압박속의 수출업체 지원을 위한 추경예산이 추가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Inflation rebound rekindles stagflation concerns
인플레이션 반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5-02-06 16:49 Updated : 2025-02-06 16:49
Korea Times
A rebound in consumer inflation last month is stoking concerns that Korea may face the possibility of stagflation — a combination of stagnant economic growth and high inflation.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반등하면서 한국이 정체된 경제성장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결합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These concerns have gained traction, especially as the value of the Korean won remains persistently unstable against the dollar, staying well below the psychological threshold of 1,400 won.
이러한 우려는 특히 원화가치가 달러대비 지속적으로 불안정하여 심리적 기준치인 1,400원을 훨씬 밑돌고 있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고 있다.
A weaker won is driving up the prices of crude oil and other imported goods, which, in turn, are putting upward pressure on production costs and the prices of domestic goods.
원화약세는 원유 및 기타 수입품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으며, 이는 다시 생산비용과 국내 상품가격에 상승압력을 가하고 있다.
“Consumer prices may continue to rise, and seriously dampen any cooling trajectory for inflation in Korea and the possibility of further stagflation,” Korea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Kang Sung-jin said.
"소비자 물가가 계속 상승하여 한국의 인플레이션과 추가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한 냉각 경로가 심각하게 약화될 수 있다,"라고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강성진 교수가 말했다.
The professor referred to Statistics Korea's announcement on Wednesday of a 2.2 percent increase in consumer inflation in January compared to a year earlier.
이 교수는 수요일 통계청의 1월 소비자 물가상승률 발표를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Consumer inflation had remained below 2 percent for the previous five months. As a result, the January figure marked the largest year-on-year increase since July, when it rose by 2.6 percent.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지난 5개월 동안 2% 미만을 유지했다. 그 결과 1월 수치는 2.6% 상승한 7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Among major goods, petroleum product prices rose 7.3 percent from a year earlier, marking the largest year-on-year increase since July, when they rose by 8.4 percent.
주요 상품 중 석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3% 상승하여 7월 8.4% 상승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Statistics Korea attributed the surge in consumer prices to the volatile won-dollar exchange rate, which was caused by the political turmoil brought about by President Yoon Suk Yeol’s imposition of martial law in December.
통계청은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시행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변동성이 큰 원-달러 환율이 소비자물가 급등의 원인으로 꼽았다.
The Bank of Korea (BOK) also analyzed that the exchange rate is contributing to uncertainties about inflation, noting that it will release an adjusted inflation forecast for 2025 later this month.
한국은행은 또한 환율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확실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이달 말 2025년 조정 인플레이션 전망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According to market observers, the Korean won trading at below the 1,400 level per dollar may become the new normal, a level previously only seen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2022 U.S. rate hike campaign.
시장 관찰자들에 따르면, 달러당 1,400선 이하에서 거래되는 원화가 새로운 정상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2년 미국 금리인상 캠페인 동안에만 보였던 수준이다.
Market observers' gloomy outlook comes as the Korean economy this year is expected to experience low levels of growth falling below 2 percent, with the trend likely to persist in the coming years.
시장 관찰자들의 우울한 전망은 올해 한국 경제가 낮은 수준의 성장률이 2%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이러한 추세는 향후 몇 년 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Such low levels of growth were only witnessed in times of crisi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이러한 낮은 성장률은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만 목격되었다.
Under these circumstances, U.S. President Donald Trump's threat to impose steeper tariffs on America's major trading partners is heightening concerns that the export-reliant Korean economy could be destabilized further.
이러한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들에게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가 더욱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Korea’s trade surplus with the U.S. amounted to $60.2 billion as of November, placing the country eighth on the list of nations with which the U.S. has a trade deficit, according to th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11월 기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602억 달러로,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한 국가목록에서 8위를 차지했다.
Korea’s trade surplus was higher than the $54.8 billion posted by ninth-ranked Canada, which was one of Trump’s first targets in the tariff war.
한국의 무역흑자는 관세 쟁에서 트럼프의 첫 번째 목표 중 하나였던 9위 캐나다가 기록한 548억 달러보다 높았다.
Meanwhile, economists said that a possible supplementary budget aimed at stimulating lackluster private spending and supporting embattled exporters facing Trump’s tariffs could provoke further inflation.
한편, 이코노미스트들은 부진한 민간 지출을 촉진하고 트럼프의 관세에 직면한 수출업체를 지원하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이 추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has repeatedly called for the allocation of an extra budget in addition to its regular 673.3 trillion won ($460.97 billion) budget for 2025.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025년 정기예산 673조 3천억 원(4,609억 7천만달러) 외에 추가경정예산 배정을 거듭 요구해왔다.
The ruling People’s Power Party was previously against the idea, as it is opposed the government’s belt-tightening fiscal policy. But Rep. Ahn Cheol-soo of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proposed on Monday that 20 trillion won be allocated for a supplementary budget.
집권 국민의힘은 이전에 정부의 긴축재정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이에 반대했다. 그러나 집권 국민의힘의 안철수 의원은 월요일에 추가경정예산으로 20조 원을 배정할 것을 제안했다.
#Inflation인플레이션 #Stagflation스태그플레이션 #Exchangerate환율 #Economicgrowth경제성장 #Supplementarybudget추가경정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