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미망인의 눈물●
(애국가 이야기)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비둘기가 날고
성화가 타오른 다음
애국가가 장엄하게
울려퍼졌을 때
이를 보고 있던 서양할머니
한 분이 손수건으로
눈언저리를닦고 있었다.
왜 한국 애국가를 듣고
서양할머니가...하는
의문이 생김직하다.
이유없이 울리는
없는 법이니까?
할머니 나이는 당시엔 70세, 국적은 스페인,
이름은 롤리타 탈라벨라 안.
1936년 8월 1일,
나치 치하의 베를린올림픽
개막식이 끝나고 일장기를
단 한국선수 김용식, 이규환,
장이진, 손기정, 남승룡 등이
모여 앉아 잡담을 하고 있었다
그 자리에 재독동포 한 사람이 헐레벌떡 달려왔다.
억센 평안도 사투리로
자신이 지었다는
'조선응원가'를 불러
주겠다면서
구깃구깃한 악보 하나를
꺼내 들고 손짓, 발짓,
고갯짓으로
장단을 맞추어가며
그 응원노래를 불렀다.
그 조선응원가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그런 일이 있은지 보름 후에
마라톤의 손기정 선수가
제1착으로
경기장 안에 뛰어들자
스탠드한쪽에서 돌연
이 노래가 흘러나왔다.
서너 명의 재독동포 앞에서
미치광이처럼 두 손을 저으며 지휘하고 있는
이는 바로 보름 전에
조선응원가를 불러주던
바로 그 젊은이였다.
그 젊은이가 바로
안익태 였다.
그는 베를린올림픽 두 달 전에
지금 우리가 부르고 있는
조선 애국가의 작곡을
완성하였고 올림픽에
조선선수들이 참가한다는
소식을 듣고서 응원가로
임시변통을 한 것이었다.
이 애국가를 짓게 된
동기는 이렇다.
그가 미국 커티스
음악학교 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있었을때 샌프란시스코의 한국인
교회를 들른 적이 있었다.
그 교회에서 개작하여 부른
애국가 곡조가 이별할때
부르는 슬프디 슬픈
스코틀랜드 민요였었다.
그래서 슬픔을 이겨내고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애국가 곡조가
절실하다고 생각한
그는 전 세계 40여개 국가를 수집-비교 검토해 가며,
5년 만에 지어낸 곡이
베를린 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던 바로
그 애국가인 것이다
1948년 정부수립과 더불어
정식국가로 채택되었을 때
안익태는 이승만 대통령에게
이런 펀지를 띄웠다.
'이 애국가는 제가 지은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지으신 것입니다.
본인은 다만 하느님의 영감을 대행한것 뿐입니다.
77년 전 나라조차 없이
일본국 명의로출전한 올림픽 개막식에서 처음 불렀던
그 노래를~
지금은 별세하고 없는
안익태씨 미망인
롤리타 안 여사가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울려 퍼지는 애국가를
어찌눈물없이 들을 수
있었겠는가?
개막식의 애국가는
우리민족 모두가 울먹였어야
했던---그 때 와는 본질이 다른 애국가였던 것이었다.
- [안익태의 생애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