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 나는 1905년생이다!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감수성, 신세대적인 삶을 꿰뚫는 자유로운 상상력의 작가 김영하가 1905년생으로 다시 태어났다. 그를 주목받는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은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이후 본격적인첫 장편이라 할 수 있는 <검은 꽃>에서, 그는 엉뚱하게도 멕시코의 에네켄 농장으로 일하러 팔려간(?) 조선인들 - 이들이 바로 조선 최초의 멕시코 이민자들이다 - 의 이야기를 그렸다. 그의 주무기인 경쾌한 문체와 자유로운 상상력의 바탕 위에 단단하게 자리잡은 서사는 그 어느 작품에서보다 돋보인다. 기울어져가는 대한제국의 폐권을 놓고 러시아와 일본이 전쟁에 돌입한 즈음인 1905년 4월 영국 기선 일포드 호는 조선인 1033명을 싣고 제물포항을 출발하여 외교관은 커녕 교민 하나 없는 멕시코로 출발한다. 다양한 출신 성분을 지니고 있지만 재산이 없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조선인 승객들은 멕시코에 가면 좋은 일자리와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고 승선한 것이다. 하지만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낯선 환경과 에네켄 농장에서의 가혹한 노동이었다. 그들은 대륙식민회사의 농간에 의해 일손이 부족한 멕시코에 채무노예로 팔려간 것이다. 4년이라는 의무기간 동안 그들은 여러 농장에 분산 수용되어 비안간적 대우를 받으며 착취를 당한다. 간혹 파업이나 봉기 등을 통해 반항해보지만 직접적 폭력에 의해 죽임을 당하거나 농장주에 유리한 현지 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희생을 강요당한다. 4년이란 계약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사람들은 경제적 자립을 이루지도 못하고 고국으로 돌아가지도 못한 책 멕시코 전역을 떠도는 신세가 되며 그들 중 일부는 멕시코에 불어닥친 혁명과 내전의 바람에 휩쓸려 죽고 죽이는 싸움을 벌인다. 그 와중에 이웃나라인 과테말라에서도 정변이 일어나 혁명군측에서 조선인들에게 거액을 제시하며 참전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리하여 42명의 조선인들이 과테말라 북부 밀림지대에 도착해 한동안 정부군과 교전하는데, 그들을 이끈 인물이 그곳에 '신대한'이라는 국호로 내건 소국을 세우자는 제안을 해서 그곳에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소강상태가 지난 후 그들은 정부군의 대대적인 소탕 작전에 의해 대부분 전사하고 만다. 이러한 줄거리는 이 작품을 자칫 구한말을 배경으로 한 민족수난사의 일종으로 오해하게 할 소지가 있다. 민족수난사에 대한 소설화가 의미없는 것은 아니지만 김영하가 겨냥하는 것은 근대 이후 우리 민족이 걸어야했던 여정에 대한 냉정한 성찰이다. 그리하여 이 작품의 주요인물, 즉 열한 명의 데스페라도들이 태평양을 건너 먼 이국으로 갔다가 끝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은 지난 세기 우리 민족이 직간접적으로거쳐온 삶에 대한 알레고리의 의미를 지닌다. 백년 전 멕시코로 떠난 열한 명의 데스페라도들은 이제 소설 속의 인물이 아니다.
저도 얼마전에 흥미롭게 읽었어요. 영화 애니깽으로 얼핏 알고 있던 우리 역사의 일면을 고증소설처럼 엮은 이 책으로 다시 읽으면서 가슴도 많이 아프고, 그렇더군요. 좋았지만 저도 끝 부분이 아쉬웠어요. 이정의 죽음도 그렇고.. 한 편의 소설로 엮기에는 역사적인 사실의 방대함과 주인공들의 삶을 그리기에 짧았던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첫댓글 재밌게 본 책이에요
저도 얼마 전 읽었는데 앞부분은 정말 재밌는데 마무리가 조금 아쉬웠던 기억이 나네요.
저도 얼마전에 흥미롭게 읽었어요. 영화 애니깽으로 얼핏 알고 있던 우리 역사의 일면을 고증소설처럼 엮은 이 책으로 다시 읽으면서 가슴도 많이 아프고, 그렇더군요. 좋았지만 저도 끝 부분이 아쉬웠어요. 이정의 죽음도 그렇고.. 한 편의 소설로 엮기에는 역사적인 사실의 방대함과 주인공들의 삶을 그리기에 짧았던 것인지도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