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괘사(卦辭) - 2
彖曰益은 損上益下하니 民說无疆이오
(단왈익) (손상익하) (민열무강)
自上下下하니 其道 大光이라.
(자상하하) (기도 대광)
利有攸往은 中正하야 有慶이오 利涉大川은
(이유유왕) (중정) (유경) (이섭대천)
木道 乃行이라. 益은 動而巽하야 日進无疆하며
(목도 내행) (익) (동이손) (일진무강)
天施地生하야 其益이 无方하니 凡益之道
(천시지생) (기익) (무방) (범익지도)
與時偕行하나니라.
(여시해행)
●단에 가로되 益은 위를 덜어 아래에 더함이니, 백성의 기뻐함이
지경이 없음이요(경계가 없이 널리) 위로 부터 아래로 내리니 그 도가
크게 빛남이니라.
'이유유왕' 은 가운데 하고 바르게 하여 경사가 있음이요, '이섭대천'은
木道가 이에 행함이라.
益은 움직이고 겸손해서 날로 나아감이 지경이 없으며, 하늘이 베풀고
땅이 낳아서 그 더함이 방소가 없으니, 무릇 익의 도가 때와 더불어 함께
행하느니라.
(說(=悅) - 기쁠 열. 疆 - 지경 강(강역). 乃 - 이에 내. 施 - 베풀 시.
凡 - 무릇 범. 與 - 줄 여. 더불을 여. 偕 - 함께할 해. )
★뜻풀이
益은 否괘의 九四陽을 덜어 下괘인 坤백성에 더하여 초구가 되니, 坤백성
의 기쁨이 한 없이 크며, 上괘 乾王의 존귀함으로 下괘 坤백성의 비천하데
로 내려오니 그 아래로 내려오는 도가 크게 빛남이라.
괘사에 '이유유왕' 이라고 한 것은 九五가 강건중정으로 尊位에 있고, 六二가
유순중정으로 臣下의 位에서 정응으로 응하니 천하의 복과 경사가 되는 것
이요, '이섭대천' 이라고 한 것은 하괘인 震(陽木)과 상괘인 巽(陰木) 동방목
의 道가 행해지는 것이다.
益은 하괘 震으로 움직이고, 상괘 손으로 겸손하여, 점차 덕을 숭상하고 업을
넓히는 것이 전체괘상인 離(日 : 火) 가 나아감에 지경이 없는 것 같으며, 乾
하늘이 巽命으로 베풀고, 坤땅이 震木으로 생하여 그 이익됨이 두루하여 미
치지 않는 곳이 없으니, 무릇 益의 도가 봄과 여름의 天施地生하여 仁(五常
으로 봄(木)의 덕목이 仁이다) 을 베푸는 때와 더불어 행하는 것이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주역 풍뢰익을 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