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고속(안성-구리)개통과 투자지역·내역 분석(신년맞이 서비스 무료 특강/4일)
https://cafe.daum.net/whangsa114/I9Ub/2820
국가산단 지정...최대 360조원 투자
경기도 용인시가 세계 최대의 ‘반도체 특화도시’로 탈바꿈한다.
용인 반도체 특화 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는 것은 물론, 대규모 반도체 제조공장과 발전기, 수십여개의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협력기업 등이 입주하기 때문이다.
단지 준공 시에는 최대 360조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ㆍ이하 국토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의 산업단지계획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국가산단으로 지정(12월31일 고시)하고 관계기간과 사업시행자ㆍ입주기업 간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실시협약은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비롯해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이상일 용인시장, 김용관 삼성전자 사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도시공사(LH) 사장 등이 참석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반도체 제조공장(Fab) 6기와 3기의 발전소, 60개 이상의 소부장 협력기업 등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전체 단지 준공 시까지 최대 360조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가 이뤄져 160만명의 고용과 400조원의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
그간 정부는 시간이 보조금이라는 인식으로 입지규제 해소와 대규모 인프라 공급을 위한 범부처 협업체계를 신속 구축하는 등 속도전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당초 2025년 3월로 제시한 목표보다도 3개월 앞당겨 국가산단을 12월에 조기 지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후보지 선정부터 국가산단 지정까지 통상적으로 4년 이상이 소요되는데, 이를 1년9개월로 단축한 것이어서 그만큼 정부와 관계기관들이 용인 반도체 특화 도시가 우리나라의 미래라는 생각으로 ‘총력전’을 벌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지난 2023년 3월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를 선정한 이후, 다음 달인 4월 LH를 사업 시행자로 선정했다.
이후 6월 입주기업(삼성전자)과 선제적 입주협약을 체결하면서 사업주체를 명확화하는 한편 공공기관 예타면제(2023년 11월)와 각종 영향 평가 등 인허가 패스트트랙을 통해 산단 지정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왔다.
특히, 산단 부지는 평택 상수원보호구역 등 입지규제로 인해 당초 공장 설립이 불가능한 지역이었지만, 올해 4월 관계기관 상생협약 등을 토대로 기관 간 의견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조율해 온 것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이번 국가산단 지정 시점에는 실시협약을 통해 얽혀있던 입지규제 해제 절차를 모두 마무리하는 범부처 협력 성과를 확보한 것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기 지정은 그간 관계기관간 긴밀한 협력을 토대로 이뤄낸 값진 결실이다”라며 “앞으로도 용인 국가산단을 흔들림 없이 신속히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