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재집 제7권 =잡저(雜著)-《대학》 팔조목에 대한 변증〔大學八條目辨〕
박주(朴洲)가 일찍이 그 문인에게 말하기를 “《대학》을 읽는 자는 마땅히 팔조목(八條目) 전문(傳文)에서 이른바 ‘양심(良心)의 발현(發見)되는 곳’을 보아야 비로소 발붙일 곳이 있게 된다.”라고 하였는데, 내 생각에는 양심이 발현되는 것을 구하는 것은 좋지만 팔조목 전문에서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여긴다. 왜냐하면 양심이 발현되는 것은 사람의 성정이 발현되는 것이며 이것이 명덕(明德)의 발현을 이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팔조목의 전은 명(明) 위에 하나의 명 자를 드러내었으니 이것은 밝게 하는 공부를 이르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하나의 거울이 본래는 밝은데 먼지와 티끌이 쌓이게 되어 사물을 비추지 못하다가 다행히 한 곳이 드러나 이로 인해 갈고 닦는 공부를 더하면 온전한 본 모습이 다시 밝아져서 처음처럼 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한 곳이 드러난 것이 밝은 거울의 발현인가. 갈고 닦는 공부가 밝은 거울의 발현인가.
《대학》 한 책은 학문하는 것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첫머리에서 밝은 덕을 밝힌다[明明德]는 뜻을 드러내었으나, 전문에서는 처음에 밝은 덕을 밝힌다는 뜻의 전체 대용을 드러내지 않고 스스로 밝히는 공부를 말했을 뿐이다. 하물며 팔조목의 전문(傳文)에 다시 양심의 발현을 말하겠는가. 만약 반드시 팔조목의 전문에서 양심을 찾게 되면 이는 마치 밝은 거울의 진면목을 버려두고 모래를 잡고 갈면서 “여기에서 밝은 거울이 드러나는 곳을 보아야겠다.”라고 하는 것과 같으니, 또한 잘못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혹자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격물(格物)ㆍ치지(致知)의 전(傳)에 이르기를 ‘그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따라 더욱 궁구한다.’라고 하였고, 소주(小註)에 ‘양지양능(良知良能)’이라 하였으니, 이것이 양심의 발현처가 아닌가?”라고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이것은 격물ㆍ치지의 공을 해석한 것으로 이미 알고 이미 능한[已知已能] 것을 미룬 것이다. 이미 이(已) 자를 붙였으니 발현할 때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어디에 양심이 발현된 것이 보이는가?’ 하였다. 이르기를 ‘주 선생(朱先生)이 밝은 덕을 밝히다 에서의 명(明) 자를 해석하기를 「마땅히 그 발(發)하는 바에 따라서 마침내 밝힌다.」라고 하였으니, 이 발 자가 곧 이른바 양심의 발현되는 곳으로, 배우는 자가 발을 붙일 곳이다. 아마도 이것을 버리고 팔조목의 전문에서 구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주-D001] 박주(朴洲) :
?~1604. 다른 이름은 박형(朴泂)이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형지(泂之), 호는 정산(鼎山)이다.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이며, 이중호(李仲虎)에게 배웠다. 예조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고, 군직에도 올라 종신록(終身祿)을 받기도 했으나, 시국이 어수선해지자 원주(原州) 정산(鼎山)에 은거하였다. 노수신(盧守愼), 허엽(許葉) 등과 친하였으며, 제자들에게는 당론에 참여하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주-D002] 팔조목(八條目) :
《대학장구》의 ‘격물(格物)ㆍ치지(致知)ㆍ성의(誠意)ㆍ정심(正心)ㆍ수신(修身)ㆍ제가(齊家)ㆍ치국(治國)ㆍ평천하(平天下)’를 말한다.
[주-D003] 그 이미 …… 궁구한다 :
격물(格物)ㆍ치지(致知)의 뜻을 해석한 전문의 5장의 주희 주에 “이 때문에 대학(大學)에서 처음 가르칠 때에 반드시 배우는 자들로 하여금 모든 천하의 사물에 나아가서 그 이미 알고 있는 이치를 인하여 더욱 궁구해서 그 극에 이름을 구하지 않음이 없게 하는 것이다.[是以大學始敎, 必使學者, 卽凡天下之物, 莫不因其已知之理而益窮之, 以求至乎其極.]”라고 하였다.
[주-D004] 마땅히 …… 밝힌다 :
《대학장구》 삼강령(三綱領)의 주희 주에 “배우는 자가 마땅히 그 발하는 바를 인하여 마침내 밝혀서 그 처음을 회복하여야 한다.[學者當因其所發而遂明之, 以復其初也.]”라고 하였다.
ⓒ 한국국학진흥원 | 김우동 (역) | 2018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5&cate1=Z&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BT_0220A_0080_01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