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 전문가 '위기극복 해법은...'
중 저가 물량공세 맞대응 한계
해법은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
생산원가 낮춰 경쟁력 확보 가능
미, 전방위적 관세 폭력 현실화
현지생산 늘려 리스크 최소화해야
'결국 해받은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이다.
기술 수준을 높여 고객사로부터 신뢰를 높이는 길밖에 없다.'(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미국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대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축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중국이 기술 술기와 미국의 관세 전쟁 리스크가 한꺼번에 덮치면서 국내 반도체, 배터리,디스플레이 등
첨단 전력 산업들의 '페펙트스톰'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의 저가물량 공세로 이미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는 와중에 미국의 전방위 관세 폭격까지 현실화하면서다.
첨단 전략산업들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여파가 큰 만큼 이번 전례 없는 복합 위기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중 더블펀치 강타...한국 경제 '흔들'
이데일리가 최근 잇따라 만난 전략산업 유관기관 고위 인사들의 위기감은 예상보다 더 컸다.
이미 추월을 허용한 배터리와 디스플레이에 이어 '최후의 보루' 반도체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많았다.
안기현 전무는 '이미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겪었듯 중국이 우리를 추월하면 다시는 회복할 수 없게된다'며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중국 메모리 업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최신 D 램인 DDR5를 시작에 내놓은 사례를 거론했다.
낸드플래시 역시 사정은 다르지 않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달말 양쯔메모리(YMTC)의 자회사 치타이(ZhiRai)는 294단 메모리를 탑재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제품을 중국 시장에 출시했다.
단수로만 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배터리 업계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박태성상근부회장은 '국내 배터리 산업은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지만,
매년 점유율이 하락하는 추세여서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중국 기업들이 배터리 과잉 생산 문제를
자국 내에서 해결하지 못해 해외시장에서 저가 물량 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디스플레이 산업 역시 액정표시장치(LCD)에 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까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미국이 특정 중국 기업 들을 타깃으로 제재를 강화하면 한국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지만,
중국산 디스플레이 전반을 규제하면 삼성전자, LG전자 같은 완성품 업체 등에 피해가 갈 수 있어 상황은 생각보다 복잡다단하다.
이처럼 얽히고설킨 복합위기를 풀어 나가기 위해 산업계 고위 인사들이 첫손에 꼽는 해법은 결국 기술력 강화였다.
안기현 전무는 '결국 기술 개발이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HBM뿐 아니라 인공지능(AI) 메모리 등
부가가치가 높은 반도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동욱 부회장은 '한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OLED 경쟁력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반등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만큼
LCD와의 가격을 좁히는 등 OLED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대중국 공급망 의존 낮춰야
벅태성 부회장은 '한국 기업들이 지속 가능하지 않은(중국의) 물량 공세에 대응할 필요가 없다'며
'오히려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원가를 낮추고 기술 초격차를 확보하는 등 질적 성장을 지속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로봇, AI, 자율주행 등 차세대 첨단 기술 뿐 아니라 국방, 우주안보 등
안보 관련 분야에 필수인 배터리 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2기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두고서는 현지 투자를 강화하고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등
공급망을 안정화할 필요가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박태성 부회장은 '미국 현지화전력 강화, 대중국 공급망 의존도 축소 등의 대응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동욱 부회장은 '디스플레이 기업들은 베트남에 많이 진출해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대미 무역흑자 규모가 큰) 베트남에 대한
부정적으로 볼 여지가 있다'며 '미국에서 어떤 시나리오를 가지고 들어오느냐에 따라 우리의 시나리오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업계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지유.김소연.조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