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 귀밝이술 / 태안 임석순
정기(精氣)를 나누고
부럼 깨고 정(情)을 나누는 달
조상께 차례(茶禮)
제사 지주(祭祀之酒) 올렸네
아침 밥상 머리
남녀노소 귀밝이술 마셔라
아이들은 입술, 술 묻혀
“귀 밝아라, 눈 밝아라.”
덕담 되어주노니
함께 밥자리, 술자리
가족 화평, 화목 되어라
고유 전통 영원할 지니
우리의 멋! 노~옵~게 되살려
옆집, 앞집, 뒷집 이웃 동네 돌며
정(情)을 나눠 보자꾸나
오곡백과 조화되어
지화자! 좋을 씨구~
나누고 나누어라.
*제주(祭酒) = 귀밝이술 = 청주
*주정(酒正), 청주 ‘제사 지주(祭祀之酒)’
*정조차례(正朝茶禮)에 올린 제주 사용.
정월 대보름날 / 김정택
휘영청
보름달의
소식이 깜깜하다
구름이
시샘하여
온종일 우는걸까
허공의
문 활짝 열어
너를 찾아 가련다
바람은
오고 가며
저리도 가볍는데
해마다
쌓인 염원
무게만 더해가네
중생의
아둔한 소원
달님에게 빌고 빈다.
내 더위 사가라 / 전영금
정월 열나흗날
오곡밥에 아홉 가지나물로
겨울 기운을 떨어내고
보름날 아침이 오면
일어나지도 않은 친구 이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
친구는 깜짝 놀라
속상해하며 또 다른 친구한데 가서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 더위를 판다
그걸 보고 내가 너무 야비했나
나도 속상해했다
더위를 사간 친구는
더위를 또 다른 친구에게 팔기 위해
골목길을 누벼야 했던 친구들
이렇게 보름날 더위를 팔고 사다 보면
어느새 꽃피는 봄이 오곤했다
내 더위 사가라
올해는 누구에게 팔까
지금 생각해 보면 웃음이 절로 나오지만
보름날엔 달을 보고 네 이름 부르며
친구야 미안했다
올해는 네 더위 내가 사갈게...
정월 대보름 밤 / 유등자
꽃갈모자 상모 머리 춤추는
풍물단 추동리 사람들
장구 징 꽹과리 신나게 두드려 준다
대보름 밤 장독대 촛불 켜 놓은 고사떡
시루채 들고 나와
추동 골 나무 어른 가랑이 밑에 놓고
백 년 허리 새끼줄에 붉은 고추 달아주고
논농사 풍년에 백 살까지 살겠다고
비나이다 비나이다
아녀자들 삼삼오오 줄을 지어
두꺼비 같은 아들 하나 낳으면 좋겠는데
은하수 절구 찧는 달빛 아래 시는 흐르고
무명실 타래 꼬아놓고
고사 올리고 풍장 치고
귀 밝은 술 마시며 기우는
정월 대보름 밤 축제
논두렁에 집 불 깡통
불씨들이 솟아오르고
온 마을 평안과 소원 기원하며
역풍에 갈 곳 잃은 한반도 아픔 설움
백 살 나무 어른 혼령님께 두 손 모아...
정월 대보름 풍경 / 유응교·건축가 시인
흥겨운 풍물놀이 패가
집집이 찾아다니며
지신밟기를 하고
오곡으로 찰밥을 지어
소쿠리에 담아내면
나는 으레 이웃집으로
희덕거리며
찰밥을 얻으러
쏜살같이 내달렸다.
대보름 전날은
상자일(上子日이)이라
쥐불놀이를 하였으니
빈깡통에 바람구멍을 송송 뚫어
쇠줄로 묶어 들고
숯불을 담아 빙글빙글 돌리며
논두렁으로 내달렸다.
쥐를 잡고 벌레를 죽여
마른풀이 재가 되어 거름이 되게 하면
풍년이 들기 때문이었다.
아침 일찍
무병장수를 빌며 부럼을 깨물고
귀밝이술로 청주 한 잔을 억지로 마시고
살찌라고 두부를 먹은 뒤에
친구 이름 불러내어
더위를 파는 맛은 고소했다
해가 뉘엿뉘엿 할 무렵
생솔가지와 대나무를 잘라내어
논바닥에 달집을 지어 놓고
연을 높이 매단 후에
한해의 모든 액을 거두어 가게하고
달이 동산에 휘영청 뜨기를 기다려
불을 질러 꼬실라 대니
온 동네가 불꽃으로 휘황하고
대나무 튀는 소리가
가슴을 콩닥거리게 하였다.
어른들은
새끼를 꼬아
암줄과 숫줄을 만들어
길게 용처럼 늘어놓고
윗 뜸과 아랫 뜸끼리 줄다리기를 하여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든다 하였으니
벌겋게 상기된 얼굴마다
힘줄이 솟아오를 즈음
나는 잘 익은 농주를 가지러
집으로 내달렸다.
그 허연 고샅길에
슬쩍슬쩍 마시던 술에 취하여
버얼건 얼굴로
비틀거리며 달집을 돌고 돌았다.
그때 소원을
제대로 빌지도 못하고
비틀거리던 걸음을
지금까지 계속하는 것이었다.
배경 음악
까투리 사냥 / 김세레나
첫댓글
겪어보고 인내해야 알게 됩니다
길은 걸어 가 봐야 길을 알게되고
산은 올라 가 봐야 험한 줄 알게된다.
길이 멀어지면 말의 힘을 깨닫게 되고
산이 높아지면 공기의 소중함도 깨닫게 된다.
사람은 겪어 보아야 사람을 알게되고
긴 세월이 지나가봐야 그 사람의 마음도
엿보게 된다.
현자 가로되
동녘은 밝기 직전이 가장 춥고
물은 끓기 직전이 가장 요란하듯이
행복은 막연히 오는 것이 아니라
늘 인고의 시간을 거쳐서 다가온다.
-'인생사용 설명서' 중-
좋은 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움 가득한
하루 되시고
건강한
시간 되세요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토속신앙의 귀밝아 지라고 술을
마시는 것등 우리민족은 예부터
이웃과 나누는 정으로 정월대보름달
을 거스르는 깡통불 돌리기등 풍습
을 만들었던 것 같네요
글 잘 보고 갑니다
방갑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방갑습니다
즐겁고 행복한날 되세요
감사합니다^^
정월 대보름
음악도 흥겹고 좋은글
감사합니다
어서오세요
좋은하루되시고 감사합니다^^
오늘은 오곡밥에 나물을 넣어 먹는
정월 대보름 입니다
어릴적 기억으로는 보름날에도
들판에 흰눈이 널려있고 추웠던 기억이 납니다
건강한 보름날 되시길 빕니다
시인님 정월 대보름 추위가
매섭네요
보름달은 볼수있을지 모르겠네요
달님에게 소원 빌어 꼭 이루어 지시길 바래요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상 잘했습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대보름에 먹는 귀밝기 술
좋은 내용이네요
시인님 방갑습니다
더위도 팔고 귀밝기 술도
드셨나요
보름 추위가 매섭네요
따듯한 밤 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