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1부
구독76추천4
그냥 누군가에게 “저 기자는 참 대단했어. 고마웠어. 멋졌어. 열심히 살았어”라고 기억되는 기자였으면 좋겠습니다.
크게보기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일주일째를 맞은 4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체크인카운터가 텅 비어 있다. 뉴스1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많은 지역 공항들은 관제 인력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은 결원 충원 과정에서 일부 관제사가 사표까지 낸 것으로 나타났다. 관제사 부족으로 지방 공항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무안공항 소속 관제사는 총 7명이다. 이 중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 당시 근무를 섰던 2명이 업무에서 빠진 상태다. 이에 무안공항을 관리하는 부산지방항공청(부항청)은 인근 공항 관제사를 무안공항으로 보내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무안공항으로 발령받은 관제사 1명이 사표를 냈고 비슷한 시기에 또 다른 부항청 소속 관제사 1명이 사직서를 냈다.
항공업계에서는 관제사들의 과도한 업무와 열악한 처우가 누적되면서 인력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부항청은 무안과 김해, 대구, 여수, 울산 등 9개 공항을 관리하는데, 총 관제사가 50여 뿐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 권고 기준의 절반 수준이다. 인력은 적은데 업무량은 많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2023년 무안공항 관제탑은 하루 평균 111대에 대한 관제 업무를 수행했다. 다른 지방공항들보다 3배 가량 많다.
이에 항공업계에서는 민항기 운영을 하지 않는 일부 공항 운영을 일시 중단시켜서라도 관제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한 관제사는 “관제사 부족은 인력 돌려막기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관제사 처우 개선 등으로 필수 인력을 확보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무안 발령난 관제사 사표…지방공항 인력 확보 비상
무안공항, 참사 47일 전에도 조류 충돌로 긴급 회항
30cm 콘크리트 상판, 10m까지 날아가… “당시 충격 보여줘” 지적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추천 많은 댓글
2025-01-06 17:15:32
이번 기회에 저런 엉터리 공항은 그냥 없애버리고 다른 용도로 재개발 해라. 다른 공항들도 마찬가지다.
추천16비추천02025-01-06 17:43:12
이재명이 범인이다
추천9비추천02025-01-06 17:15:35
처우? 공회전 공항에 직원들....
추천3비추천12025-01-06 18:11:59
말 똑바로해 제주항공 참사가 아니라 무안공항 참사. 그런데 폭팔은 했나? 어떻해 제조 영상 말고는 하나도 안보여 유족도 몊명만 나오고. 1809명 이라며? 왜 이리 조용해? 냄새가 너무 많이나 그와중에 애도기간 종료 분향소 미설치. 오늘부로 유족 다 집에가 이게 말이돼?
답글0개추천0비추천02025-01-06 17:51:33
국회의원 필요없는 좌파놈들 줄이고 그 돈으로 국민을 안전을 위해 관제사를 늘려라
답글0개추천2비추천02025-01-06 17:46:12
하기싫은 사람 집에 보내라,그곳에 고추말리고 벼 말리면되니까
답글0개추천0비추천12025-01-06 17:43:55
삭제된 댓글입니다.
답글0개2025-01-06 17:43:12
이재명이 범인이다
답글0개추천9비추천02025-01-06 17:15:35
처우? 공회전 공항에 직원들....
답글0개추천3비추천12025-01-06 17:15:32
이번 기회에 저런 엉터리 공항은 그냥 없애버리고 다른 용도로 재개발 해라. 다른 공항들도 마찬가지다.
답글0개추천16비추천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