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유시인
중세 유럽에서 봉건제후의 궁정을 찾아다니며 스스로 지은 시를 낭송하던 시인.
12세기 초엽부터 남프랑스에서는 봉건 대제후(大諸侯)들 사이에서 궁정의 귀녀(貴女)를 중심으로 하는 좁지만 화려한 사회가 이루어져, 귀녀숭배와 궁정풍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연애의 이념이 생겨났다. 기사(騎士)인 시인은 그러한 환경과 이념 속에서 사랑하는 마음속의 귀녀에게 영원한 사모를 바쳐 그것을 때로는 난삽할 만큼 정교한 시형으로 다듬어 작곡하여 그것을 성(城)에서 성으로, 궁정·귀녀를 찾아다니면서 노래불렀다. 이러한 시인·기사가 트루바두르, 즉 음유시인이다. 400여 명의 이름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만 봐도 그 수가 얼마나 많았는지 짐작할 수 있다. 단 그 내용은 일정하며, 결코 보답을 받을 수 없는 귀녀에의 사랑의 탄원과 봉사의 맹세이다. 또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 해도, 이마에 키스를 받는 정도가 고작이었다.
그러나 시인은 그 '콩솔라멘테'라는 키스의 영예를 간직하기 위해 더한층 정성을 바친다. 그리스도교의 마리아 숭배를 세속적인 사랑에 대체한 것이며, 또한 봉건제의 주종(主從) 관계를 연애 관계로 꾸며낸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 보는 견지에 따라서는 여성 이외의 전쟁과 종교가 그들의 영감의 원천이기도 했다. 어쨌거나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음유시인들의 이 서정시야말로 근세 유럽의 시의 원조가 되었다.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가 그 원조이지만, 브라유의 성주(城主) 조프레 뤼델, 베르나르 드 방타두르 등이 잘 알려진 음유시인이다. 이 새로운 시의 경향은 북으로 옮아가서 북프랑스에도 퍼지게 되어, 이른바 '트루베르(trouvère)'라고 일컬어지며 음유시인들을 낳게 했으며, 그것들은 더욱 북으로 퍼져, 독일에도 파급되어 많은 미네(Minne:사랑)의 시인을 배출하는 기연(機緣)이 되었다. 독일의 음유시인은 미네젱거(Minnesänger)라고 했다. 또한 남방의 이탈리아에서는 '트로바토레(trovatore)'의 활약이 매우 컸으며, 기타 영국·에스파냐 등의 근대 서정시의 발생에 끼친 영향도 적지 않다.
1)음유시인이 지은 서정시
고귀한 집안의 어린 처녀여!
어머니와 함께 이토록 예절바르고 상냥한 처녀를 낳았으니
그대의 아버지는 천상 기사였을 것이오.
그대를 자세히 보면 볼수록
그대가 더욱 사랑스럽게 느껴지고
내 기쁨은 그만큼 커진다오.
그녀로 인해 나는 떨며 전율하노라
그녀 같은 여자는
결코 태어난 적이 없으므로
그녀를 생각하면 어느 누구도 절망할 수 없다네.
그녀에게서 기쁨이 생겨나기 때문이지.
그리고 그녀를 칭찬하거나 좋게 말하는 사람은
결코 거짓말을 할 수 없다네.
그녀는 지금껏 세상이 보여준
최고로 멋지고 우아한 여인이기 때문이지.
여인이여! 당신을 처음 본 순간,
나는 다른 생각을 할 수 없었고,
나의 마음은 오직 그대에게로만 향하였네.
당신의 달콤한 미소와 부드러운 표정에 그리움이 사무쳐
나 스스로 나의 모든 것을 잊고 말았네.
그녀의 순백(純白)은
상아의 그것보다 더욱 희다네.
순백이 빛날 때 햇빛조차 초라하기 그지없네.
거울을 바라보던 가장 아름다운 여인은
담비처럼 희고 부드러운 무엇을 결코 보지 못했다네.
백합이나 장미 그 어떤 꽃보다 싱그러운 모습을 보지 못했다네.
그리고 그 여인처럼 나를 한숨짓게 하는 것은 없다네!
곧 내게로 온다는
사랑에 대한 그녀의 징표나 증거가 없다면
나는 이제 죽으리라.
사랑하는 사람이여, 나는 어느 쪽으로 가야 하나?
당신으로 인해 내가 치유될 것인가?
아니면 나는 간절한 소망으로
죽어버리고 말겠지.
오, 그녀의 고결한 마음이
나의 욕망을 알아준다면......
하지만 어쩌랴! 나는 칭찬할 줄도 아부할 줄도 모른다네.
가슴 속에는 말하지 못한 감정만 수북이 쌓여 있다네.
오, 하느님!
진실한 여인이 잘못을 알아차릴 수만 있다면,
아첨꾼과 바람둥이들만
그들의 머리에 뿔을 달고 있다면.
다른 시인들보다 내가 노래를 훨씬 잘 부른다는 사실은
이상한 일이 아니라네.
마음 속에서 사랑의 감정이 자꾸만 솟아나니 난들 어떡하나!
사랑의 요구에 따를 수 밖에.
가슴 속에 달콤한 사랑의 풍미를 지니지 않은 사람은
시체와 다를 바 없다네!
2)카르미나·부라나
카르미나·부라나」는「보이렌의 시가집」(詩歌集) - SONG OF BEUREN - 이란 뜻이다. 이 시가집은 1803년 독일 뮌헨 남쪽으로 수킬로 떨어진 바이에른 지방의 베네딕크 보이렌(BENEDIKTBEUREN)의 수도원에서 발견된 데서「카르미나·부라나」란 이름이 붙었다. 익명의 유랑승이나 음유시인에 의한 세속의 시가집으로 13세기∼14세기에 걸쳐 골리야드(GOLIARD)로 불린 유량학생에 의거 라틴어로 쓰여졌다. 약 250여곡 풍의 몇 곡은 보표를 갖지 않는 네오마에 의하여 선율이 기보되어 있다. 전체는 4개의 부문 1) 도덕적 풍자적인 시 2) 연애시 3) 술잔치의 노래, 유희의 노래 4) 종교적인 내용을 가진 극시로 이루어져 있고 외설에 가까운 것도 있다.「카르미나·부라나」는 악보에 의한 해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상상으로 연주되고 있다. 원사본은 현재 뮌헨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제1곡 ;「운명의 여신이여」합창. 마지막곡인 25번째 곡으로 반복되는「운명의 여신이여」는 온음표에 의한 박자가 느린 서주가 있는 다음에 갑자기 템포가 빨라지면서 주제가 변함없이 집요하게 되풀이된다.
가사 ; 오 운명이여 / 늘 변하는 달과 같이 / 돌아오르다가 기우는 / 그대 운명이여 / 얄궂은 운명은 / 때론 가혹하게 / 때론 친절하게 우리를 대한다 / 우리의 욕망을 희롱하고 / 얼음과 같이 녹고 마는 / 권력과 빈곤을 주기도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