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I 전력수요 대응 보고서
적기구축 법제도 개선 촉구
'용인 반도체단지 운용 차질'
우리나라 전력수요 증가에 비해 송전망 구축이 늦어지면 현재 건설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운용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20일 '산업계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전력공급 최적화 방안'
보고서에서 '최근 20년 동안 전력수요는 98% 늘었지만 송전설비(회선길이)는 26% 증가에 그쳤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대 전력수요는 2003년(47GW) 대비 2023년(94GW) 98% 늘었다.
이에 맞춰 발전설비 용량도 154% 증가(56GW-143GW) 했다.
반면 송전설비(회선길이)는 같은 기간 26% (2만8260서킷키로미터-3만5596서킷킬로미터) 증가에 그쳤다.
대한상의 SGI는 '중앙집중형 전력 공급 시스템에선 발전설비 용량과 전력수요가 증가하면
송전설비도 비례해 늘어나야 한다'며 '최근 송전망 건설 사업이 잇따라 지연돼
늘어난 전력수요를 충족하지 못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송전망 구축지연으로 첨단산업 전력 공급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구축이 마무리되는 2050년 10GW(기가와트) 이상 전력수요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박경원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기존 수도권 전기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가운데 추가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잔력을 공급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때 송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송전망 건설지연이 수요처 전력공급 제약 외에도
발전사업 성장저해
전력 생산비용 증가 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상의 SGI는 전력망 적기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주문했다.
국회에 발의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법안'이 통과가 되면 전력망 확충에 크게 기여할 것이란 분석이다.
현재까지 발의된 법안은 공통으로
국무총리 소속 국가기간전력망확충위원회 설치
사업 관련 인허가 절차 개선
사업구역 주민과 사업시행자에 대한 특별지원 강화 등을 담았다.
박양수 대한상의 SGI 원장은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력공급은 첨단산업을 포함한 산업계 경쟁력 확보에 필수'라고
말했다. 유선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