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65세이상 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빈곤문제가 더 크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노인빈곤율은 38.2%로 한국전체 빈곤율 14.9%보다 훨씬 높습니다.
노인빈곤율은 여성이 43.2%로 남성의 31.8%보다 높고 농어촌은 57.6%로 대도시 42.1%에 비해 높습니다.
은퇴후에도 과거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를 마련해야한다는 대안이 현실성이 없어 보입니다.
Poverty hits older adults harder in fast-aging society
빈곤은 빠른 고령화사회에서 노년층에게 더 큰 타격
By Yi Whan-Woo 이환우 기자
Posted : 2025-02-10 16:27 Updated : 2025-02-10 16:28
Korea Times
Women more vulnerable than men
남성보다 여성이 더 취약
Kim Young-soon, an office cleaner in her early 70s, says she grapples with high costs of living as her disposable income has been decreasing in recent years.
70대 초반의 사무직 청소부 김영순 씨는 최근 몇 년간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면서 높은 생활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Disposable income refers to the amount of money that is left for personal expenses and savings, after taxes, insurance, interest and other payments.
가처분 소득은 세금, 보험, 이자 및 기타 지출후 개인 지출과 저축을 위해 남은 금액을 의미한다.
“The employer would not hike my salaries, due to the high vacancy rate of office buildings amid the sluggish economic growth,” Kim said, adding she is financially distressed with high borrowing rates after taking out bank loans to lease an apartment.
김씨는 "경제성장이 부진한 가운데 오피스 빌딩의 높은 공실률 때문에 고용주가 내 급여를 인상하지 않았다"며 아파트 임대를 위해 은행대출을 받은 후 높은 대출금리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Living by herself away from her children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Kim also said she is “financially worse off than her friends who live with spouses and rely on dual income for living.”
남편이 사망한 후 자녀들과 떨어져 혼자 살던 김씨는 "배우자와 함께 살면서 맞벌이에 의존하는 친구들보다 경제적으로 더 열악하다"고 말했다.
Kim illustrates the serious nature of Korea's aggravating elderly poverty rate, especially after the country became a super-aged society in 2024 and is on course to get old older at a much faster pace.
김씨는 특히 2024년 초고령 사회가 되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노인 빈곤율 악화의 심각한 특성을 잘 보여준다.
A super-aged society is where those aged 65 or older make up a 20 percent or higher share of the country’s entire population.
초고령 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이다.
According to data compiled by Statistics Korea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lative poverty rate for older adults was measured at 38.2 percent in 2023. The rate is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whose disposable income is less than the median income of their peer group.
통계청과 보건복지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노인 상대 빈곤율은 38.2%로 측정되었다. 이 비율은 가처분 소득이 또래 집단의 중위소득보다 낮은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다.
The rate ticked up from 38.1 percent in 2022, marking an increase for the second straight year after decreasing steadily in preceding years.
이 비율은 2022년 38.1%에서 증가하여 전년 대비 꾸준히 감소한 데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The rate diminished from the mid- to lower-40 percent range between 2013 and 2019, before dropping to 38.9 percent in 2020 and again to 37.6 percent in 2021.
이 비율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40%대 중반에서 후반으로 감소한 후 2020년에는 38.9%로 떨어졌고, 2021년에는 다시 37.6%로 떨어졌다.
The 2023 figure was higher than Korea’s overall poverty rate of 14.9 percent and 9.8 percent for the working-age population aged between 18 and 65.
2023년 수치는 18세에서 65세 사이의 생산가능인구에서 한국의 전체 빈곤율인 14.9%와 9.8%보다 높았다.
The poverty rate for older adult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at 43.2 percent compared to 31.8 percent for men.
노인빈곤율은 여성이 43.2%로 남성의 31.8%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The finding came as there are more women than men older than 65. For instance, the number totaled 5.69 million for women and 4.54 million for men in December 2024.
이 연구결과는 65세 이상의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예를 들어, 2024년 12월 기준으로 여성은 총 569만 명, 남성은 454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Hanyang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Ha Joon-kyung warned that poverty-related issues will “increasingly haunt Korea” as it ages faster.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하준경 교수는 빈곤 문제가 고령화속도가 빨라질수록 "점점 더 한국을 괴롭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Citing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e professor explained that it took 20 years for older adults to account for 11 percent of the entire population but only another 15 years to reach 20 percent.
통계청의 자료를 인용하여, 교수는 노인들이 전체 인구의 11%를 차지하는 데 20년이 걸렸지만, 20%에 도달하는 데는 15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If the trend continues, the rate is projected to hit 25.3 percent in 2030 and 40.1 percent in 2050.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2030년에는 25.3%, 2050년에는 40.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A fast-aging society may weaken Korea’s international competence on productivity unless corresponding measures are taken,” the professor said.
"빠른 고령화 사회는 상응하는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한국의 생산성에 대한 국제적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라고 교수는 말했다.
An OECD report, titled “Pension at a Glance 2023,” showed that Korea’s elderly poverty rate is the highest among the OECD member states. Based on data from 2020, the report indicated that Korea marked 40.4 percent, which was nearly triple the OECD average of 14.2 percent.
'연금 2023'이라는 제목의 OECD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40.4%로 OECD 평균인 14.2%의 3배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
In particular, the report noted that no OECD countries except Korea had an elderly poverty rate above 40 percent. The rate was higher for older people, coming to 31.4 percent for those aged between 66 and 75, compared to 52 percent for those 76 and older.
특히 보고서는 한국을 제외한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40%를 넘는 국가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66~75세 노인의 빈곤율은 31.4%에 비해 76세 이상 노인의 52%로 에 높았다.
Separate OECD data also showed Korea’s older population faces disproportionately high economic inequality than other age groups.
별도의 OECD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불균형적으로 높은 경제적 불평등에 직면해 있다.
The Gini coefficient, a measurement of income disparity, was 0.376 for those aged 66 and older in the country,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of 0.331.
소득 격차를 측정하는 지니계수는 66세 이상의 경우 0.376으로 전국 평균인 0.331보다 높았다.
For OECD member states, the average Gini coefficient for older populations was 0.306, which was lower than the overall population’s 0.315.
OECD 회원국의 경우, 고령인구의 평균 지니계수는 0.306으로 전체 인구의 0.315보다 낮았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Lee Chul-hee said fostering a favorable working environment is crucial for older adults to “practice professionalism even after their retirement and make the sufficient income they deserve.”
서울대 경제학과 이철희 교수는 고령자들이 "은퇴 후에도 전문성을 발휘하여 충분한 수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유리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The professor noted an increasing number of older adults are forced to continue working after retirement as they have insufficient money.
교수는 은퇴 후에도 돈이 부족해 계속 일해야 하는 노인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Yet, many of them end up with jobs that do not match their pre-retirement career or skills.
하지만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은퇴전 경력이나 기술과 맞지 않는 직업을 가지게 된다
A 2024 report from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howed that people, as they get older, had a higher possibility of obtaining jobs that are far from optimizing productivity.
한국개발연구원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생산성을 최적화하지 못하는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The report took into account jobseekers' aptitudes, talents, passion and other factors.
그 보고서는 구직자들의 적성, 재능, 열정 및 기타 요인들을 고려했다.
The gap between ideal and actual jobs for these workers, according to the report, especially widened as people reached 50 or older.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근로자의 이상적인 일자리와 실제 일자리 사이의 격차는 특히 50세 이상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벌어졌다.
Concerning possible measures to help older adults land jobs that match their pre-retirement careers, Chung-Ang University economics professor Ma Kang-rae said “removing unfounded bias against senior workers should be a precondition.”
노년층이 은퇴 전 경력에 맞는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가능한 조치에 대해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마강래 교수는 "고령 근로자에 대한 근거 없는 편견을 해소하는 것이 전제 조건"이라고 말했다.
The professor said employers avoid hiring older adults because they think retirees are not as committed as young peers in terms of work mindset.
교수는 고용주들이 은퇴자들이 업무 마인드 측면에서 젊은 동료들만큼 헌신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노인 고용을 기피한다고 말했다.
A civic activist group, Workers’ Solidarity, also said job matching for older adults is a more urgent matter in rural areas. It pointed out the elderly poverty rate is 57.6 percent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nationwide, compared to 47 percent in small cities and 42.1 percent in metropolitan cities.
시민운동가 단체인 노동자연대도 농촌 지역에서 노인 일자리 매칭이 더 시급한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전국 농어촌 지역의 노인 빈곤율은 57.6%로, 소도시 47%, 대도시 42.1%에 비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ElderlyPoverty노인빈곤 #Super-AgedSociety초고령사회 #DisposableIncome가처분소득 #GenderDisparity성별불균형 #JobMatching일자리매칭